목차
목 차
서론 ............................... p.1
본론 ................................ p.1
가. 상례의 목적 ............................. p.1
나. 상례의 절차
1. 전통상례의 절차....................... p.1
2. 현대식 상례의 절차 .................. p.1
첫째날의 절차 ....................... p.1
1) 임종(臨終) ............................... p.1
2) 수시(收屍) .............................. p.2
3) 고복 ...................................... p.2
4) 발상 ..................................... p.2
5) 부고(訃告) ............................. p.2
둘째 날의 절차 ...................... p.2
6) 염습 ..................................... p.2
7) 입관(入棺) .............................. p.2
8) 성복 ...................................... p.3
둘째 날의 절차 ..................... p.3
9) 발인(發靷) ............................... p.3
10) 운구(運柩) ............................. p.3
11) 하관(下官) ............................. p.3
12) 성분 .................................... p.3
13) 위령제(慰靈祭) ........................ p.3
14) 삼우(三虞) ............................. p.3
15) 탈상(脫喪) ............................ p.4
기타사항 ............................... p.4
- 입상주와 호상(護喪) .................... p.4
- 설전 ....................................... p.4
- 호상소 설치 .............................. p.4
- 장례준비 ................................. p.4
결론 .................................... p.4
참고문헌 .......................... p.5
서론 ............................... p.1
본론 ................................ p.1
가. 상례의 목적 ............................. p.1
나. 상례의 절차
1. 전통상례의 절차....................... p.1
2. 현대식 상례의 절차 .................. p.1
첫째날의 절차 ....................... p.1
1) 임종(臨終) ............................... p.1
2) 수시(收屍) .............................. p.2
3) 고복 ...................................... p.2
4) 발상 ..................................... p.2
5) 부고(訃告) ............................. p.2
둘째 날의 절차 ...................... p.2
6) 염습 ..................................... p.2
7) 입관(入棺) .............................. p.2
8) 성복 ...................................... p.3
둘째 날의 절차 ..................... p.3
9) 발인(發靷) ............................... p.3
10) 운구(運柩) ............................. p.3
11) 하관(下官) ............................. p.3
12) 성분 .................................... p.3
13) 위령제(慰靈祭) ........................ p.3
14) 삼우(三虞) ............................. p.3
15) 탈상(脫喪) ............................ p.4
기타사항 ............................... p.4
- 입상주와 호상(護喪) .................... p.4
- 설전 ....................................... p.4
- 호상소 설치 .............................. p.4
- 장례준비 ................................. p.4
결론 .................................... p.4
참고문헌 .......................... p.5
본문내용
진 옷을 아래옷부터 웃옷의 차례로 입힌다. 옷고름은 매지 않으며, 옷깃은 산 사람과 반대로 오른쪽으로 여민다. 수의를 다 입힌 다음 손발을 가지런히 놓고 이불로 싼 뒤 가는 베로 죄어 맨다. 그리고 버드나무 숟가락으로 쌀을 퍼서 망자의 입에 넣고 또 구멍이 없는 구슬을 넣는 반함(飯含)을 한다.
입관(入棺)
운명 후 24시간이 지나면 입관을 한다. 입관할 때는 시신과 관벽 사이의 공간을 깨끗한 백지나 마포로 채워 시신이 관 속에서 흔들리지 않게 한다. 망인이 입던 옷을 돌돌 말아서 빈곳을 채우기도 한다. 시신을 고정시키고 홑이불로 덮고 광 뚜껑을 덮은 다음 은정을 박는다. 관 위에 먹으로 ‘(직함) (본관) (성명)의 널’, 여자의 경우 ‘유인 (본관) (이름)씨의 널’이라고 쓰고, 장지를 싼 뒤 노끈으로
입관(入棺)
운명 후 24시간이 지나면 입관을 한다. 입관할 때는 시신과 관벽 사이의 공간을 깨끗한 백지나 마포로 채워 시신이 관 속에서 흔들리지 않게 한다. 망인이 입던 옷을 돌돌 말아서 빈곳을 채우기도 한다. 시신을 고정시키고 홑이불로 덮고 광 뚜껑을 덮은 다음 은정을 박는다. 관 위에 먹으로 ‘(직함) (본관) (성명)의 널’, 여자의 경우 ‘유인 (본관) (이름)씨의 널’이라고 쓰고, 장지를 싼 뒤 노끈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