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공간과 새로운 글쓰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이버 공간과 새로운 글쓰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이버 공간에서의 글쓰기 특징
1-1. 작가-독자 관계 해체
1-2. 실재와 비실재의 구분 와해 : 가상현실의 도래
1-3. 언어 형태의 변화
1-4. 읽기 양식의 변화
- 눈으로 읽기에서 몸으로 읽기로
2. 나를 보여주는 글쓰기 문화코드, 싸이월드
2-1. 사이버 공간의 커뮤니케이션
2-2. 키치의 이론적 고찰
2-3. 싸이월드의 현재
2-4. 가상공간에서의 키치적 그래픽 유형
2-5. 싸이월드의 글쓰기
2-6. 새로운 사이버 계급과 공동체의 등장
3. 한 줄 글쓰기의 힘 - 리플문화
3-1. 작품의 전개를 바꿀 수 있는 힘
3-2. 새로운 여론의 형성 혹은 조작

Ⅲ. 결론

본문내용

사이버 공간과 새로운 글쓰기
Ⅰ. 서론
Ⅱ. 본론
1. 사이버 공간에서의 글쓰기 특징
1-1. 작가-독자 관계 해체
1-2. 실재와 비실재의 구분 와해 : 가상현실의 도래
1-3. 언어 형태의 변화
1-4. 읽기 양식의 변화
- 눈으로 읽기에서 몸으로 읽기로
2. 나를 보여주는 글쓰기 문화코드, 싸이월드
2-1. 사이버 공간의 커뮤니케이션
2-2. 키치의 이론적 고찰
2-3. 싸이월드의 현재
2-4. 가상공간에서의 키치적 그래픽 유형
2-5. 싸이월드의 글쓰기
2-6. 새로운 사이버 계급과 공동체의 등장
3. 한 줄 글쓰기의 힘 - 리플문화
3-1. 작품의 전개를 바꿀 수 있는 힘
3-2. 새로운 여론의 형성 혹은 조작
Ⅲ. 결론
Ⅰ. 서론
현대 사회의 미디어가 발달하면서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방식의 글쓰기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즉각적인 반응을 하고, 유명한 작가가 아니더라도 글을 쓸 수 있게 되었으며, 자신만의 공간에 자신의 작품이나 하루하루의 일과를 올리면서 한 번도 본 적 없는 사람들과 만나게 되었다.
이러한 글쓰기 방식은 단순히 새로운 글쓰기 장르의 개척이 아니라 사람들의 문화와 생활방식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여기에서는 사이버 공간과 새로운 미디어가 나타남에 따라 달라지는 글쓰기와 그 문화에 대해서 싸이월드와 리플문화를 중심으로 이야기 해 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사이버 공간에서의 글쓰기 특징
1-1. 작가-독자 관계 해체
문학이라는 개별 예술 영역 내에서 디지털 기술이 가져온 변화의 핵심은 전통적 작가­독자의 관계 해체라 볼 수 있다. 문예지나 단행본 출판의 형태로 문학작품이 전파되는 시절에는 작가와 독자가 엄격히 분리되었다. 이러한 작가-독자의 수직적 계열화는 인쇄 매체의 독점적 성격 때문에 견고히 유지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제는 사이버 공간을 통하여 누구든 작품을 올릴 수 있고, 누구든 작품에 대한 비평을 쓸 수 있다. 즉, 글을 쓰는 사람과 읽는 사람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아 양방향의 글쓰기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 포스트모던적인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는 대중 참여의 기회를 제공하고 창조자와 관객사이의 차이를 흐릿하게 하는 영향을 미쳤다.『사이버 문학의 이해』,김종회 최혜실 편저 , 집문당, 2003, p71.
또한 이것은 기존의 ‘작가-독자’의 관계와 문학 생산 및 유통 구조를 변화시켰다. “작가=능동성/독자=수동성”이라는 도식에서 벗어나 독자도 글쓰기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하버마스는 일상의 평등주의적 공간인 ‘생활세계’를 강조함으로써 체제에 대한 생활세계의 ‘식민지화’ 를 저지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사이버 세계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 역시 민주주의적 공공영역을 만들어내어 체제에 의한 통제를 견제할 수 있는 영역으로 의미가 크다고 보여진다.
『사실성과 타당성』, 위르겐 하버마스, 박영도한상진 옮김, 나남 , 2001 참조.
1-2. 실재와 비실재의 구분 와해 : 가상현실의 도래
쟝 보드리야르는 소비의 사회로 규정되는 현대사회를 상징적 기호와 이미지에 의해 그 가치가 결정되는 세계로 보고 있다 『소비의 사회 』,장 보드리야르 , 이상률 옮김 , 문예출판사 , 1992.
. 따라서 우리가 소비하는 것은 상품이라기보다는 미디어에 의해 가치가 결정된 상징적 기호와 이미지이다. 기호들은 객관세계에 있는 지시체를 분리시키고, 그것은 재조직화 되어 새로운 의미화 양식을 끊임없이 창출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과거의 언어 패러다임은 전복되고 언어는 더 이상 리얼리티를 재현하지 않으며, 주체의 도구적 합리성을 강화시키는 중립적인 도구도 되지 못한다. 그리하여 사이버 공간에서 의사전달은 언어뿐만 아니라 다양한 미디어 (이모티콘을 포함하여) 를 통해 자신의 상상력을 외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자신의 전자대리인(아바타)를 통하여 가상의 공간을 만들어 무한한 공간 속에 다중 자아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음을 경험하기도 한다. 이미지가 만연한 시대에 익숙한 우리는 자신이 원하는 기호와 이미지를 만들어서 자신을 드러낸다. 그리고 이러한 가상현실에서는 어느 특정 시각에 어는 한 장소에 있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여러 곳에 부재하면서도 현존하게 된다.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것이 가상에서는 가능하게 됨으로써 현실보다도 더 현실적인 경험을 하게 된다. 이것이 보드리야르가 말하는 ‘하이퍼리얼리티’ 즉, 과잉현실이 된다. 보드리야르는 이러한 과잉현실을 ‘시뮬라시옹’ 이라는 용어로 설명하고 있는데 시뮬라시옹은 오리지널과 복제물의 구분 그 자체가 소멸되어 “원천이나 실재없이 실재적인 것의 모형들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우리가 현실이라고 믿는 그런 정형화된 현실들을 가공해내는 모든 작업을 말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번 발표를 준비하면서 시뮬라시옹의 세계를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가령, 인터넷은 사이버라는 가상의 공간을 따로 만들어 줌으로써 이 세계가 사실은 환상, 또는 가상의 공간이나 그러한 가상은 인터넷에서만 가능하다고 생각하게 만들기 위해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인터넷외의 세계가 가진 허위를 은폐시킨다는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감옥은 이 세계가 사실은 감옥임을 은폐하기 위해 “따로” 만들어진 졌다고 볼 수 있다.
『시뮬라시옹』,장 보드리야르 , 하태환 옮김, 민음사, 2001참조.
이러한 현상은 우리의 일상 속에 내재해 있으며 ‘싸이월드’나 ‘블로그’ 등을 통해서 잘 파악할 수 있다.
1-3. 언어 형태의 변화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이 다양하게 확산됨으로써 사람들끼리 가상공간에서 채팅창을 통해 얘기를 나누기 시작했고 이 과정에서 채팅언어라는 새로운 문자와 조어법이 등장한 것을 지적할 수 있겠다. 실제로 얼굴을 마주하고 얘기 하는 것이 아니기에 빠른 시간 내에 자신의 생각을 전달 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이유에서 축약형 언어 형태의 변화가 생겨났다. 키보드에 바탕을 둔 새로운 문자와 외계어, 조어법, 가령 ‘어솨여, 방가방가, 안냐세여, ^^ , 어?愷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03.19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03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