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목차
Ⅰ. 문제제기
Ⅱ. 현황 및 실태
1. 노인문제의 대두
2. 노인복지시설현황
Ⅲ. 문헌고찰
1. 노인복지의 개념과 그 필요성
2. 시설보호와 재가보호
3. 노인복지시설
4. 시설노인의 우울증
Ⅳ. 해결방안
1. 사회인식적 측면
2. 제도적 측면
3. 복지시설 측면
4. 재정적 측면
Ⅴ. 결론
1. 사회인식적 측면
2. 제도적 측면
3. 복지시설 측면
4. 재정적 측면
Ⅵ. 전문가인터뷰
Ⅶ. 나의 견해 및 느낌
Ⅸ. 논문 초록
Ⅱ. 현황 및 실태
1. 노인문제의 대두
2. 노인복지시설현황
Ⅲ. 문헌고찰
1. 노인복지의 개념과 그 필요성
2. 시설보호와 재가보호
3. 노인복지시설
4. 시설노인의 우울증
Ⅳ. 해결방안
1. 사회인식적 측면
2. 제도적 측면
3. 복지시설 측면
4. 재정적 측면
Ⅴ. 결론
1. 사회인식적 측면
2. 제도적 측면
3. 복지시설 측면
4. 재정적 측면
Ⅵ. 전문가인터뷰
Ⅶ. 나의 견해 및 느낌
Ⅸ. 논문 초록
본문내용
우 최근에 와서 노인복지시설이 늘어나는 추세에 있으나 주로 자립능력이 없는 불우노인을 위한 시설로 운영되고 있어 노인복지시설을 필요로 하는 일반 노인들에게는 별로 혜택을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정부차원에서 모든 노인에게 혜택을 줄 수 있는 노인 시설을 확충하고 특히 유료노인복지시설에 더 큰 비중을 두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노인복지시설의 실태를 분석함에 있어서 유료노인복지시설에 역점을 두고 지금까지 유료노인복지시설이 미진했던 요인을 분석하면서 바람직한 제도와 시설운영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그러므로 노인복지에 대한 일반적 이론에 비중을 두기보다는 시설적 측면에 더 큰 비중을 두고 고찰하였다. 이론을 전개함에 있어서 이 분야 저서와 논문을 주로 참조하였으며 최근 통계와 노인복지시설의 운영상황에 대하여는 담당공무원들과 면담을 통하여 필요한 자료를 습득하였다.
2. 시설거주 노인의 우울증 원인에 대한 경로분석
- 초록
본 연구는 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의 우울증의 중요한 요인들을 찾고, 경로분석을 통해 그 메카니즘을
밝힘으로서 우울증 예방을 위한 이해를 넓히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조사대상은 307명의 경기도지역 시설에 머물고 있는 노인들이었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사용된 독립변수는 사회인구학적 변수로 나이, 성별, 종교, 교육정도가, 건강관련변수로 주관적 건강상태평가와 신체활동능력, 그리고 사회적지지 변수가 고려되었다. 자아통제감은 건강관련변수와 우울증을 매개해주는 변수로 사용되었다. 조사결과 자아통제감은 시설노인의 우울증을 매개해 주는 변수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설생활특성변수가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변수로는 종교, 주관적 건강상태평가, 사회적지지 등이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 주제어: 사회적지지, 시설노인, 시설생활만족도, 우울증, 자아통제감
* 투고일: 2005. 2. 28 *심사완료일: 2005. 7. 20
3. 노인장기요양보호사업의 비교연구
- 초록
이 논문에서는 노인장기요양보호사업의 체계와 구성요소에 대한 개념적 접근을 시도하고 그 사업체계의 제반 상황적 조건위에서 각기의 구성요소가 어떻게 상호 관련되어 있으며 이들 요소 중 무엇이 정책적 과제가 되는지 파악하여 보았다. 이러한 개념적 틀에 더하여 선진국의 노인장기요양보로사업의 경험을 비교연구하고 선진국의 경험이 시사해 주는 함의에 비추어 한국노인장기요양보호사업의 정책과제를 제시해보았다. (1)가족보호체계를 유지해 나가되 사회적 보호(공식적)체계를 점진적으로 강화해야 한다. (2) 서비스의 접근성을 제고하면서 제정문제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시설보호체계와 지역사회보호체계를 동시개발 해 나가야 한다. (3) 이 사업의 무한정성이라는 특성 때문에 재정적 수요가 크게 늘어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그 대책을 세우되 재원조달 기제를 다양화 하여 사회보장재정, 정부재정 등 공적재원을 확충하면서 유료화정책을 통해 사적재원도 활용하여야 한다. (4) 개별관리제도 등 서비스 전달체계를 효율적으로 만들어야 한다.
4. 우리나라 노인의료시설의 유형과 시설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s and Present Statistical Conditions of Health Care Facilities for the Aged in Korea
- 초록
Korea is facing the problems of old aging society recently. In the future the problems will become more serious. Specially health care services for the aged are very poor in aspect of both systems of services and supplies of facilities.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types as well as present statistical conditions of health care facilities for the aged in Korea.
* 주제어 : 노인의료시설, 노인의료복지시설, 요양시설, 전문병원, 시설유형, 시설현황
5. 노인장기요양보호시설의 기능분석과 정책과제
- 초록
현재 우리나라의 장기요양보호 관련시설은 크게 생활시설에 장기간 입소시켜 보호하는 시설과 재가보호를 지원하는 시설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이러한 장기입소형 생활시설이나 재가보호의 지원시설이 1990년 중반 이후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기는 하나, 고령화사회에 돌입한 이후 급속도로 각종 노인문제가 표출되고 있고, 그 중에서도 일상적인 생활동작을 스스로 하지 못하여 타인의 간병, 또는 수발을 받아야 하는 장애노인들에 대한 요양보호 필요에 비해서는 아직도 시설이 부족하며, 시설의 기능도 명확하게 명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고에서는 장기요양보호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시설의 유형들을 기능적인 측면의 문제점 및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장기요양보호대책을 수립함에 있어서 고려할 수 있는 정책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6. 시설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자아존중감에 대해 살펴보고,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파악하여 이들에 대한 시설차원의 개입을 위한 함의를 찾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의 노인복지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이며,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의 면접에 의해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시설거주노인의 자아존중감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가노인에 대한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사회적지지, 건강상태평가, 성별, 배우자 동거여부 등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인 것으로 밝혀졌다. 시설생활특성 변인들은 설명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노인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개입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주제어: 자아존중감, 시설거주노인, 사회적지지, 시설생활 특성
* 투고일: 2004. 8. 31 *심사완료일: 2004. 11. 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노인복지시설의 실태를 분석함에 있어서 유료노인복지시설에 역점을 두고 지금까지 유료노인복지시설이 미진했던 요인을 분석하면서 바람직한 제도와 시설운영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그러므로 노인복지에 대한 일반적 이론에 비중을 두기보다는 시설적 측면에 더 큰 비중을 두고 고찰하였다. 이론을 전개함에 있어서 이 분야 저서와 논문을 주로 참조하였으며 최근 통계와 노인복지시설의 운영상황에 대하여는 담당공무원들과 면담을 통하여 필요한 자료를 습득하였다.
2. 시설거주 노인의 우울증 원인에 대한 경로분석
- 초록
본 연구는 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의 우울증의 중요한 요인들을 찾고, 경로분석을 통해 그 메카니즘을
밝힘으로서 우울증 예방을 위한 이해를 넓히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조사대상은 307명의 경기도지역 시설에 머물고 있는 노인들이었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사용된 독립변수는 사회인구학적 변수로 나이, 성별, 종교, 교육정도가, 건강관련변수로 주관적 건강상태평가와 신체활동능력, 그리고 사회적지지 변수가 고려되었다. 자아통제감은 건강관련변수와 우울증을 매개해주는 변수로 사용되었다. 조사결과 자아통제감은 시설노인의 우울증을 매개해 주는 변수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설생활특성변수가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변수로는 종교, 주관적 건강상태평가, 사회적지지 등이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 주제어: 사회적지지, 시설노인, 시설생활만족도, 우울증, 자아통제감
* 투고일: 2005. 2. 28 *심사완료일: 2005. 7. 20
3. 노인장기요양보호사업의 비교연구
- 초록
이 논문에서는 노인장기요양보호사업의 체계와 구성요소에 대한 개념적 접근을 시도하고 그 사업체계의 제반 상황적 조건위에서 각기의 구성요소가 어떻게 상호 관련되어 있으며 이들 요소 중 무엇이 정책적 과제가 되는지 파악하여 보았다. 이러한 개념적 틀에 더하여 선진국의 노인장기요양보로사업의 경험을 비교연구하고 선진국의 경험이 시사해 주는 함의에 비추어 한국노인장기요양보호사업의 정책과제를 제시해보았다. (1)가족보호체계를 유지해 나가되 사회적 보호(공식적)체계를 점진적으로 강화해야 한다. (2) 서비스의 접근성을 제고하면서 제정문제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시설보호체계와 지역사회보호체계를 동시개발 해 나가야 한다. (3) 이 사업의 무한정성이라는 특성 때문에 재정적 수요가 크게 늘어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그 대책을 세우되 재원조달 기제를 다양화 하여 사회보장재정, 정부재정 등 공적재원을 확충하면서 유료화정책을 통해 사적재원도 활용하여야 한다. (4) 개별관리제도 등 서비스 전달체계를 효율적으로 만들어야 한다.
4. 우리나라 노인의료시설의 유형과 시설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s and Present Statistical Conditions of Health Care Facilities for the Aged in Korea
- 초록
Korea is facing the problems of old aging society recently. In the future the problems will become more serious. Specially health care services for the aged are very poor in aspect of both systems of services and supplies of facilities.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types as well as present statistical conditions of health care facilities for the aged in Korea.
* 주제어 : 노인의료시설, 노인의료복지시설, 요양시설, 전문병원, 시설유형, 시설현황
5. 노인장기요양보호시설의 기능분석과 정책과제
- 초록
현재 우리나라의 장기요양보호 관련시설은 크게 생활시설에 장기간 입소시켜 보호하는 시설과 재가보호를 지원하는 시설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이러한 장기입소형 생활시설이나 재가보호의 지원시설이 1990년 중반 이후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기는 하나, 고령화사회에 돌입한 이후 급속도로 각종 노인문제가 표출되고 있고, 그 중에서도 일상적인 생활동작을 스스로 하지 못하여 타인의 간병, 또는 수발을 받아야 하는 장애노인들에 대한 요양보호 필요에 비해서는 아직도 시설이 부족하며, 시설의 기능도 명확하게 명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고에서는 장기요양보호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시설의 유형들을 기능적인 측면의 문제점 및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장기요양보호대책을 수립함에 있어서 고려할 수 있는 정책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6. 시설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자아존중감에 대해 살펴보고,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파악하여 이들에 대한 시설차원의 개입을 위한 함의를 찾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의 노인복지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이며,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의 면접에 의해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시설거주노인의 자아존중감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가노인에 대한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사회적지지, 건강상태평가, 성별, 배우자 동거여부 등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인 것으로 밝혀졌다. 시설생활특성 변인들은 설명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노인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개입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주제어: 자아존중감, 시설거주노인, 사회적지지, 시설생활 특성
* 투고일: 2004. 8. 31 *심사완료일: 2004. 11. 12
추천자료
미국 노인권익 운동과 복지정책의 교훈 ( 노인문제 노인복지정책 )
장애노인 및 노인학대문제와 복지정책 : 노인문제 노인복지
[사회복지] 우리나라 노인 복지의 문제점과 대책방안(노인복지 노인문제)
노인과 부양가족의 일상생활을 통해본 노인문제 : 노인복지
[사회복지] 고령화 시대에 따른 노인복지문제와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우리나라 노인복지정책 결정과정에서의 문제점에 대해(우리나라에서 현재 나타나고 있는 노인...
우리나라 노인복지정책 결정과정에서의 문제점이 무엇인가를 설명하세요. 우리나라 현재 나타...
[노인][노인교육][노인교육 과제][고령화사회][교육욕구][노인복지][노인문제]노인의 특징, ...
[고급노인복지연구] 고령화 사회에서의 노인문제와 노인사목
우리나라노인복지정책 결정과정에서의 문제점이 무엇인가를 설명. 우리나라 현재 나타나고 있...
[노인복지] 한국 노인문제 실태 및 노인복지 국내외 노인문제 해결 방안
[노인복지] 여성노인, 노인문제에 대한 이론적 관점 (인구학적 배경, 경제적(빈곤) 측면, 의...
[사회복지개론] 노인문제의 중요성과 노인복지 - 노인, 노인의 문제, 고령화 사회의 노인문제...
노인문제를 포함한 노인복지의 이슈 1개를 정하여 현황과 원인을 밝히고, 현재의 노인세대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