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들어가며
Ⅱ. 본 론
1. 문헌 고찰
2. 약물 조사
3. 간호사정
4. 간호진단
5. 간호진단기록지
6. 간호계획
7. 간호수행기록지
참고문헌
Ⅱ. 본 론
1. 문헌 고찰
2. 약물 조사
3. 간호사정
4. 간호진단
5. 간호진단기록지
6. 간호계획
7. 간호수행기록지
참고문헌
본문내용
드물게 두통, 졸음, 현기, 불면, 신경과민, 저림, 착란, 환각, 경련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9. 감각기: 드물게 시야몽롱, 이명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10. 순환기: 드물게 혈압상승, 혈압저하, 심계항진, 빈맥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11. 기타: 때때로 부종, 드물게 전신권태, 발한, 탈모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4. RINITIDINE TAB
①약물의 상품명: 라니티딘 정
②약물의 성분: Ranitidine HCl (ranitidine으로서 150mg).
③약물의 분류: Antacids & Antiulcerants
④약물의 용량:
1. 성인: 라니티딘으로서 1회 150mg을 1일 2회, 오전 및 취침전에 경구투여한다
1)위.십이지장 궤양: 1회 150mg을 1일 2회 투여하거나 1회 300mg을 1일 1회 취침시에 투여한다. 특히, 십이지장궤양환자에 1회 300mg을 1일 2회, 오전 및 취침전에 투여하면 보다 높은 치료율을 얻을수 있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 투여로 인한 궤양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장기 투여시 위.십이지장궤양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병용요법에 있어서도 용법,용량은 같다. 보통은 4주이내,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투여로 인한 질환은 보통 8주 이내에 치유되나 간혹 환자에 따라 치유기간이 연장될 수 있다. 본제의 단기요법으로 효과가 우수하였던 재발성 궤양환자들에 대해서는 유지요법으로 150mg을 1일 1회, 취침전에 투여한다
2)역류성 식도염: 8주동안 1회 150mg을 1일 2회 투여하거나 1회 300mg 1일 1회 취침전에 투여한다. 중증역류성 식도염환자에 대해서는 1회 300mg 1일 4회로 증량할 수 있다
3)졸링거-엘리슨증후군: 초기용량으로서 1회 150mg 1일 3회로 치료를 시작하며, 필요에 따라 증량할 수 있다. 중증질환의 경우 의사의 지시에 따라 1일 6g까지 투여할 수 있다
4)소화성궤양, 급성스트레스성궤양 및 급성위점막병변에 의한 상부소화관출혈의 경우에는 보통 주사제로 치료를 개시하고 경구투여가 가능하게 된 경우에는 경구투여로 바꾸어 1회 150mg을 1일 2회 투여한다
5)마취전 투약(멘델슨증후군 예방): 마취유도 2시간전에 150mg을 투여한다. 이 경우 수술전야에도 150mg을 투여하면 더욱 좋다
2. 소아: 소아에 대한 임상연구는 확립되어 있지 않으나 8-18세의 경우 1회 150mg(체중 kg당 2mg)을 1일 2회까지 투여할 수 있다
3. 신장애환자: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50ml/min이하인 심한 신장애환자의 경우 150mg을 1일 1회 취침전에 복용한다. 이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투여간격을 12시간 또는 그 이상으로 늘릴 수 있다. 혈액투석은 약물의 혈중농도를 감소시키므로 혈액투석직후 투약계획을 재조정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⑤약물의 투여방법: 경구투여
⑥약물의 작용 및 효과
-작용-
1. 항궤양효과: 본제는 독특한 화학구조의 H2수용체 길항제로 기존의 약물에 비해 강력한 위산분비 억제작용이 있는 위.십이지장궤양 치료제이다
2. 안전성: 본제는 기존의 약물에 나타나던 남성의 성기능부전, 성성화유방 등 항남성 호르몬작용이나 노인의 중추신경계에 대한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며 간의 효소기능에도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타 약물과 병용투여시 약물대사에 따른 부작용이 극소화된 제제이다
3. 간편한 복용: 본제는 1회 150mg씩 1일 2회 투여 또는 1일 1회 취침전 300mg 투여로 치료효과를 발휘하는 복용이 간편한 제제이다.
-효능/효과-
1. 위.십이지장궤양, 졸링거-엘리슨증후군, 역류성 식도염, 마취전 투약(멜델슨증후군의 예방), 수술후궤양,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ASID) 투여로 인한 위.십이지장궤양
2. 다음 질환의 위점막 병변(미란, 출혈, 발적, 부종)의 개선: 급성위염, 만성위염의 급성악화기, 상부소화관 출혈(소화성궤양, 급성스트레스성 궤양, 급성 위점막 병변에 의한).
⑦약물의 부작용 및 부작용의 치료방법
1. 쇽: 드물게 쇽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는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2. 과민증: 드물게 두드러기, 발진, 발열, 기관지경련, 저혈압 등의 과민반응, 혈관신경성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3. 혈액: 몇몇환자에서 과립구감소증, 혈청 크레아티닌치 상승이 보고된바 있으나 가역적이며, 드물게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골수형성부진, 재생불량성빈혈과 함께 무과립구증, 범혈구감소증, 매우 드물게 후천성 면역용혈성빈혈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때때로 호산구 증다증이 나타날수 있다
4. 간장: 드물게 황달, 때때로 일시적이고 가역적인 간기능장애(SGOT, SGPT, r-GPT, AL-P치의 상승), 간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5. 순환기계: 드물게 서맥, 방실블록, 빈맥, 부전수축과 같은 부정맥이 나타날 수 있다
6. 소화기계: 때때로 변비, 설사, 드물게 구역, 구토, 복부팽만감, 복통, 급성췌장염, 식욕부진이 나타날 수 있다
7. 정신신경계: 드물게 현기, 졸음, 가역성의 착란상태, 경련, 두통, 두중감, 불면, 흥분, 우울, 불안, 환각이 나타날 수 있다
8. 내분비계: 여성형 유방, 음위 및 성욕감퇴 등이 보고된 바 있으나 본제와의 인과관계는 확립되지 않았다
9. 근골격계: 드물게 관절통이 나타날수 있다
10. 피부: 드물게 경미한 다형홍반을 포함하는 발진, 탈모가 보고된 바 있다
11. 기타: 드물게 탈모증, 경미한 다형홍반과 같은 발진, 설염, 때때로 피부 가려움이 나타날수 있다.
5.Tylenol ER
①. 약물의 상품명: Tylenol ER
②.약물의 화학명: Acetaminophen
③. 약물의 분류: Analgesics& Antipyretics(4b)
④. 약물의 용량: 12세 이상의 소아 및 성인:8시간마다 2정씩, 1일 최대 6정
⑤. 약물의 투여방법: PO
⑥.약물의 작용 및 효과:본제는 이중 서방제형으로, 지속적인 진통효과를 요하는 통증에 효과적인 진
9. 감각기: 드물게 시야몽롱, 이명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10. 순환기: 드물게 혈압상승, 혈압저하, 심계항진, 빈맥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11. 기타: 때때로 부종, 드물게 전신권태, 발한, 탈모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4. RINITIDINE TAB
①약물의 상품명: 라니티딘 정
②약물의 성분: Ranitidine HCl (ranitidine으로서 150mg).
③약물의 분류: Antacids & Antiulcerants
④약물의 용량:
1. 성인: 라니티딘으로서 1회 150mg을 1일 2회, 오전 및 취침전에 경구투여한다
1)위.십이지장 궤양: 1회 150mg을 1일 2회 투여하거나 1회 300mg을 1일 1회 취침시에 투여한다. 특히, 십이지장궤양환자에 1회 300mg을 1일 2회, 오전 및 취침전에 투여하면 보다 높은 치료율을 얻을수 있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 투여로 인한 궤양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장기 투여시 위.십이지장궤양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병용요법에 있어서도 용법,용량은 같다. 보통은 4주이내,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투여로 인한 질환은 보통 8주 이내에 치유되나 간혹 환자에 따라 치유기간이 연장될 수 있다. 본제의 단기요법으로 효과가 우수하였던 재발성 궤양환자들에 대해서는 유지요법으로 150mg을 1일 1회, 취침전에 투여한다
2)역류성 식도염: 8주동안 1회 150mg을 1일 2회 투여하거나 1회 300mg 1일 1회 취침전에 투여한다. 중증역류성 식도염환자에 대해서는 1회 300mg 1일 4회로 증량할 수 있다
3)졸링거-엘리슨증후군: 초기용량으로서 1회 150mg 1일 3회로 치료를 시작하며, 필요에 따라 증량할 수 있다. 중증질환의 경우 의사의 지시에 따라 1일 6g까지 투여할 수 있다
4)소화성궤양, 급성스트레스성궤양 및 급성위점막병변에 의한 상부소화관출혈의 경우에는 보통 주사제로 치료를 개시하고 경구투여가 가능하게 된 경우에는 경구투여로 바꾸어 1회 150mg을 1일 2회 투여한다
5)마취전 투약(멘델슨증후군 예방): 마취유도 2시간전에 150mg을 투여한다. 이 경우 수술전야에도 150mg을 투여하면 더욱 좋다
2. 소아: 소아에 대한 임상연구는 확립되어 있지 않으나 8-18세의 경우 1회 150mg(체중 kg당 2mg)을 1일 2회까지 투여할 수 있다
3. 신장애환자: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50ml/min이하인 심한 신장애환자의 경우 150mg을 1일 1회 취침전에 복용한다. 이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투여간격을 12시간 또는 그 이상으로 늘릴 수 있다. 혈액투석은 약물의 혈중농도를 감소시키므로 혈액투석직후 투약계획을 재조정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⑤약물의 투여방법: 경구투여
⑥약물의 작용 및 효과
-작용-
1. 항궤양효과: 본제는 독특한 화학구조의 H2수용체 길항제로 기존의 약물에 비해 강력한 위산분비 억제작용이 있는 위.십이지장궤양 치료제이다
2. 안전성: 본제는 기존의 약물에 나타나던 남성의 성기능부전, 성성화유방 등 항남성 호르몬작용이나 노인의 중추신경계에 대한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며 간의 효소기능에도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타 약물과 병용투여시 약물대사에 따른 부작용이 극소화된 제제이다
3. 간편한 복용: 본제는 1회 150mg씩 1일 2회 투여 또는 1일 1회 취침전 300mg 투여로 치료효과를 발휘하는 복용이 간편한 제제이다.
-효능/효과-
1. 위.십이지장궤양, 졸링거-엘리슨증후군, 역류성 식도염, 마취전 투약(멜델슨증후군의 예방), 수술후궤양,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ASID) 투여로 인한 위.십이지장궤양
2. 다음 질환의 위점막 병변(미란, 출혈, 발적, 부종)의 개선: 급성위염, 만성위염의 급성악화기, 상부소화관 출혈(소화성궤양, 급성스트레스성 궤양, 급성 위점막 병변에 의한).
⑦약물의 부작용 및 부작용의 치료방법
1. 쇽: 드물게 쇽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는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2. 과민증: 드물게 두드러기, 발진, 발열, 기관지경련, 저혈압 등의 과민반응, 혈관신경성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3. 혈액: 몇몇환자에서 과립구감소증, 혈청 크레아티닌치 상승이 보고된바 있으나 가역적이며, 드물게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골수형성부진, 재생불량성빈혈과 함께 무과립구증, 범혈구감소증, 매우 드물게 후천성 면역용혈성빈혈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때때로 호산구 증다증이 나타날수 있다
4. 간장: 드물게 황달, 때때로 일시적이고 가역적인 간기능장애(SGOT, SGPT, r-GPT, AL-P치의 상승), 간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5. 순환기계: 드물게 서맥, 방실블록, 빈맥, 부전수축과 같은 부정맥이 나타날 수 있다
6. 소화기계: 때때로 변비, 설사, 드물게 구역, 구토, 복부팽만감, 복통, 급성췌장염, 식욕부진이 나타날 수 있다
7. 정신신경계: 드물게 현기, 졸음, 가역성의 착란상태, 경련, 두통, 두중감, 불면, 흥분, 우울, 불안, 환각이 나타날 수 있다
8. 내분비계: 여성형 유방, 음위 및 성욕감퇴 등이 보고된 바 있으나 본제와의 인과관계는 확립되지 않았다
9. 근골격계: 드물게 관절통이 나타날수 있다
10. 피부: 드물게 경미한 다형홍반을 포함하는 발진, 탈모가 보고된 바 있다
11. 기타: 드물게 탈모증, 경미한 다형홍반과 같은 발진, 설염, 때때로 피부 가려움이 나타날수 있다.
5.Tylenol ER
①. 약물의 상품명: Tylenol ER
②.약물의 화학명: Acetaminophen
③. 약물의 분류: Analgesics& Antipyretics(4b)
④. 약물의 용량: 12세 이상의 소아 및 성인:8시간마다 2정씩, 1일 최대 6정
⑤. 약물의 투여방법: PO
⑥.약물의 작용 및 효과:본제는 이중 서방제형으로, 지속적인 진통효과를 요하는 통증에 효과적인 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