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3월 24일
까지 오심이 유발되는
요인을 알고, 피할 수
있다고 말한다.
2. 대상자는 3월 25일
까지 예전보다 오심이 완화되었으며, 음식물
을 섭취하고 소화시키 는 데에 있어 어려움
을 느끼지 않는다고
이야기한다.
1-① 대상자에게 오심을
유발시키는 요인을 사정
한다.
1-② 오심을 유발하는
환경적 요인을 통제한다.
(예 : 소음, 역한 음식 냄새와 같은 악취 등)
2-① 대상자가 오심이
완화된 정도를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2-② 대상자에게 오심을
완화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규칙적인 식사, 식사시
자세, 천천히 씹어 먹기,
부드러운 음식 먹기
호흡법(심호흡)
음료수(시원한 물 등)
2-③ 대상자에게 규칙 적으로 식사하고, 음식
물을 천천히&잘게 씹어
서 삼키도록 교육한다.
1-② 소음이나 악취
는 오심을 유발한
다. (간호진단과 계
획 2001)
2-② 규칙적인 식사
는 위산의 역류를
예방한다. (간호진단
1995)
앉은 자세, 심호흡,
탄산음료/더운차 등
은 오심의 완화를 돕
는다. (간호진단과
계획 2001)
2-③ 잘게 부숴진 음
식물은 약해진 위장에 부담을 덜어주어 소화
가 보다 잘되도록 돕
는다. (성인간호학下
1998, p. 1198)
간 호 진 단
목적 / 기대되는 결과
간 호 지 시
과 학 적 근 거
수면환경의
변화와
질병과 관련된
「수면장애」
대상자는 이제 충
분히 숙면을 취할 수 있으며 수면의
질에 만족한다고 말
한다.
1. 대상자는 3월 23
일까지 수면양상에
변화를 주는 요인들
을 설명할 수 있으
며 숙면을 위한 방
법에 대해 알고 적
용할 수 있다고 말
한다.
2. 대상자는 3월 24
일까지 수면 후 충
분히 휴식을 취한
느낌을 받게 되었다
고 말한다.
1-① 대상자의 평소 수
면 양상(잠드는데 걸리
는 시간, 밤중에 깨는
횟수, 수면습관 등)과
수면에 대한 요구를 사
정한다.
1-② 대상자에게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스트레스,
호흡곤란이나 통증을 유발
하는 질병 등)에 대해 설
명하게 하고 수면을 돕기
위한 방법을 교육하고 실
행하도록 돕는다.
수면 습관 들이기
(기상/수면 시간 정하기)
낮 동안의 적절한 활동/
운동과 낮잠자지 않기
편안하고 쾌적한 침실
환경 (병원소음의 통제,
병실온도와 환기, 최소
소음, 조명의 조절)
적절한 야식
부드러운 음악이나 명상
테잎
가벼운 식이의 섭취
(따뜻한 우유, 크래커)
1-③ 수면을 위한 목적으
로 수면제를 이용하는 것
은 가급적 피하도록 교육
한다.
2-① 대상자로 하여금 수
면을 방해하는 요인과 촉
진하는 요인을 말하도록
한다.
2-② 대상자에게 수면을
취하는데 도움을 주는 음
악을 권한다.
1-① 휴식과 수면은
인간생활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
다.(기본간호학
2000, p.125)
1-② 심한소음, 강
한광선, 불편한 침
대나 환경 등은 모
두 수면을 방해하
는 요소이다.(간호
진단 1995, p.242)
수면 전 습관적 행
위는 대상자가 취
침을 준비하며 이
완할 수 있도록 한
다. (기본간호학
각론 2000, p.154)
취침 저 가벼운 식
이의 섭취는 공복
에 의한 수면장애
를 방지한다. (간
호진단 1995,
p.247)
1-③ 수면제는 단기
수면장애에만 효과
가 있으며 장기복
용 시 오히려 수면
장애를 유발한다.
(간호진단 2000,
p. 246)
2-② 클래식과 같은
조용하고 부드러운
음악이나, 명상 테
잎은 수면을 취하
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간 호 진 단
목적 / 기대되는 결과
간 호 지 시
과 학 적 근 거
낮은 학습요구도와
관련된
식이요법
운동요법에 대한
「지식부족」
대상자는 당뇨병 환자의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에 대하여 이해하고 있으며 그대로 실천한다.
1. 대상자는 3월 23일까지 당뇨환자의 바람직한 식이요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1-① 대상자의 당뇨병 식
이요법에 대한 지식을 사
정한다.
1-② 대상자의 평소 식습
관(일일 식사와 간식의 섭
취횟수와 종류양기호
식품의 유무)을 사정하고,
체중신장을 측정한 뒤
영양사에게 적절한 식단을
의뢰한다.
1-③ 대상자에게 당뇨병
환자 식사요법 팜플렛과
식품교환표를 제공하고 식
사요법의 원칙에 대하여 교육한다.
적절한 열량 섭취, 규칙
적이고 천천히, 골고루 먹
는 식사
단순당(설탕, 꿀, 사
탕)과 지방, 염분의 섭취 를 제한
섬유소의 충분한 섭취
1-④ 대상자에게 주의해 야 할 음식물/기호물에 대 해서 설명한다.
(예 - 혈당수치를 올리기
쉬운 음식 : 단순당질이
많은 사탕, 꿀, 쨈, 케
까지 오심이 유발되는
요인을 알고, 피할 수
있다고 말한다.
2. 대상자는 3월 25일
까지 예전보다 오심이 완화되었으며, 음식물
을 섭취하고 소화시키 는 데에 있어 어려움
을 느끼지 않는다고
이야기한다.
1-① 대상자에게 오심을
유발시키는 요인을 사정
한다.
1-② 오심을 유발하는
환경적 요인을 통제한다.
(예 : 소음, 역한 음식 냄새와 같은 악취 등)
2-① 대상자가 오심이
완화된 정도를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2-② 대상자에게 오심을
완화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규칙적인 식사, 식사시
자세, 천천히 씹어 먹기,
부드러운 음식 먹기
호흡법(심호흡)
음료수(시원한 물 등)
2-③ 대상자에게 규칙 적으로 식사하고, 음식
물을 천천히&잘게 씹어
서 삼키도록 교육한다.
1-② 소음이나 악취
는 오심을 유발한
다. (간호진단과 계
획 2001)
2-② 규칙적인 식사
는 위산의 역류를
예방한다. (간호진단
1995)
앉은 자세, 심호흡,
탄산음료/더운차 등
은 오심의 완화를 돕
는다. (간호진단과
계획 2001)
2-③ 잘게 부숴진 음
식물은 약해진 위장에 부담을 덜어주어 소화
가 보다 잘되도록 돕
는다. (성인간호학下
1998, p. 1198)
간 호 진 단
목적 / 기대되는 결과
간 호 지 시
과 학 적 근 거
수면환경의
변화와
질병과 관련된
「수면장애」
대상자는 이제 충
분히 숙면을 취할 수 있으며 수면의
질에 만족한다고 말
한다.
1. 대상자는 3월 23
일까지 수면양상에
변화를 주는 요인들
을 설명할 수 있으
며 숙면을 위한 방
법에 대해 알고 적
용할 수 있다고 말
한다.
2. 대상자는 3월 24
일까지 수면 후 충
분히 휴식을 취한
느낌을 받게 되었다
고 말한다.
1-① 대상자의 평소 수
면 양상(잠드는데 걸리
는 시간, 밤중에 깨는
횟수, 수면습관 등)과
수면에 대한 요구를 사
정한다.
1-② 대상자에게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스트레스,
호흡곤란이나 통증을 유발
하는 질병 등)에 대해 설
명하게 하고 수면을 돕기
위한 방법을 교육하고 실
행하도록 돕는다.
수면 습관 들이기
(기상/수면 시간 정하기)
낮 동안의 적절한 활동/
운동과 낮잠자지 않기
편안하고 쾌적한 침실
환경 (병원소음의 통제,
병실온도와 환기, 최소
소음, 조명의 조절)
적절한 야식
부드러운 음악이나 명상
테잎
가벼운 식이의 섭취
(따뜻한 우유, 크래커)
1-③ 수면을 위한 목적으
로 수면제를 이용하는 것
은 가급적 피하도록 교육
한다.
2-① 대상자로 하여금 수
면을 방해하는 요인과 촉
진하는 요인을 말하도록
한다.
2-② 대상자에게 수면을
취하는데 도움을 주는 음
악을 권한다.
1-① 휴식과 수면은
인간생활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
다.(기본간호학
2000, p.125)
1-② 심한소음, 강
한광선, 불편한 침
대나 환경 등은 모
두 수면을 방해하
는 요소이다.(간호
진단 1995, p.242)
수면 전 습관적 행
위는 대상자가 취
침을 준비하며 이
완할 수 있도록 한
다. (기본간호학
각론 2000, p.154)
취침 저 가벼운 식
이의 섭취는 공복
에 의한 수면장애
를 방지한다. (간
호진단 1995,
p.247)
1-③ 수면제는 단기
수면장애에만 효과
가 있으며 장기복
용 시 오히려 수면
장애를 유발한다.
(간호진단 2000,
p. 246)
2-② 클래식과 같은
조용하고 부드러운
음악이나, 명상 테
잎은 수면을 취하
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간 호 진 단
목적 / 기대되는 결과
간 호 지 시
과 학 적 근 거
낮은 학습요구도와
관련된
식이요법
운동요법에 대한
「지식부족」
대상자는 당뇨병 환자의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에 대하여 이해하고 있으며 그대로 실천한다.
1. 대상자는 3월 23일까지 당뇨환자의 바람직한 식이요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1-① 대상자의 당뇨병 식
이요법에 대한 지식을 사
정한다.
1-② 대상자의 평소 식습
관(일일 식사와 간식의 섭
취횟수와 종류양기호
식품의 유무)을 사정하고,
체중신장을 측정한 뒤
영양사에게 적절한 식단을
의뢰한다.
1-③ 대상자에게 당뇨병
환자 식사요법 팜플렛과
식품교환표를 제공하고 식
사요법의 원칙에 대하여 교육한다.
적절한 열량 섭취, 규칙
적이고 천천히, 골고루 먹
는 식사
단순당(설탕, 꿀, 사
탕)과 지방, 염분의 섭취 를 제한
섬유소의 충분한 섭취
1-④ 대상자에게 주의해 야 할 음식물/기호물에 대 해서 설명한다.
(예 - 혈당수치를 올리기
쉬운 음식 : 단순당질이
많은 사탕, 꿀, 쨈, 케
키워드
추천자료
[인간복제][배아복제][인간체세포배아복제]인간복제와 배아복제의 구분, 한국의 생명복제 기...
[녹차][녹차의 의미][녹차의 효능][녹차 다이어트][녹차에 대한 오해][녹차문화][차][녹차잎]...
운동과 성인병 -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관절염, 골다공증
[뇌졸중][뇌졸중 증상][뇌졸중 예방][뇌졸중 치료]뇌졸중의 정의, 뇌졸중의 원인, 뇌졸중의 ...
[농산가공]사과를 이용한 Jam & Jelly 제조
정신분열증
정신간호학 - 정신분열병 케이스 스터디
[노년기 영양과 식생활] 노년기 영양의 특징과 종류, 건강식생활 및 식생활관리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모성간호학][Oligohydramnios][양수과소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분만1,2,3,4기][분만기록지]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롯데 자일리톨 껌 Lotte Xylitol Gum
추천레포트[알코올 중독 해결책과 기관방문] 알코올 중독의 개념과 특성, 진단 및 알코올 중...
백내장(Cataract) 케이스 스터디 A+ - (백내장 케이스 스터디, 백내장 간호과정, 백내장 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