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형교육론 모방으로서의 미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형교육론 모방으로서의 미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보인다는 점을 주지시켜 단순히 풍경을 그대로 베끼는 것이 아니라 보는 사람에 따라, 기분에 따라, 시간에 따라 다르게 그려진다는 것을 알게 해야 한다. 모방으로서의 미술을 가르칠 때 자연의 모방뿐 아니라 기존의 작품의 모방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금산초등학교 교생실습 때 특강으로 반만 그려진 그림을 완성하는 강의를 받은 적이 있다. ‘모나리자’ 그림이 반만 그려진 종이를 주고 나머지를 상상하여 완성해 보는 것이다. 초등학교 6학년생들이 완성한 그림을 직접 보았는데 ‘모나리자’라는 한 가지 그림으로 다양한 표현이 가능했다. 어떤 학생들은 이미 알고 있던 그림을 그대로 그리기도 하고 어떤 학생은 남자로 바꾸거나 이야기를 넣는 등 여러 가지 그림이 되었다. 그들은 각자 자신의 그림을 그린 것이다. 특강해 주신 선생님의 말에 의하면 이러한 활동은 그림을 잘 그리는 아이들뿐 아니라 그림에 자신이 없는 아이들도 재미있게 활동할 수 있다고 하셨다. 실제 수업시간에 이를 활용하여 모방이란 단순히 베끼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생각이 가미된 활동이라는 점을 인식시킬 수 있을 것이다.
고대 그리스의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예술을 기술적인 것으로 파악했다. 자연적 사물을 가장 실재에 가깝게 모방해 내는 기술(솜씨)를 예술로 보았다. 즉 예술은 인간의 정신활동이 모방을 통해 형태를 얻게 하는 제작활동이었다. 즉 고대와 중세의 예술이란 기본적으로 기술을 뜻했다. 하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미술의 의미는 달랐고 그에 따라 미술교육의 역사도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다.
최근의 미술교육의 흐름으로 크게 창의성 미술 교육과 이해 중심 미술교육이 있다. 창의성 미술 교육은 미술을 통해 인간의 잠재력, 특히 자유로운 표현을 통해 창의성을 계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는데 치젝, 허버트 리드, 로웬펠드 등이 주장한 견해이기도 하다. 또 하나의 흐름은 미술의 본질적인 면에 가치를 두고 미적 경험이나 미적 자각, 미적 반응을 통해 미적 감수성과 미술을 이해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이해 중심 미술교육이다. 이해 중심 미술 교육은 미술적 현상을 이해하는 데 미술 교육 목적을 두는 흐름으로 아이스너와 학문에 기초한 미술교육 DBAE, 미적 교육 등의 흐름을 말한다.
초등학교의 미술교육은 남다른 재능을 찾아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상상력과 창의성을 길러 주는 것이다. 최근의 아동들은 대부분 미술학원에서 몇 달 또는 몇 년씩 그림을 배우고 있다. 문제는 대부분의 미술학원들이 부모들의 식견이나 요구에 편승하여 그림을 배우는 경우가 많다. 잘 그린 그림에 편승하여 그림을 배우면 배울수록 점점 그림과 멀어지는 경향을 보이거나 상상력과 창의력이 무시된 도식적이거나 식상한 방식에 빠져 상품화된 듯한 그림으로 일관된다는 사실을 염두 해 두어야 한다. 그래서 어린시절의 그림 그리기 모방은 문제가 될 수 있다.
아동들은 자신의 방식과 상상력으로 자신만의 표현이 우러나올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인생에서 놓칠 수 없는 중요한 시기이다. 상상력과 표현사이의 갈등이 연속되면서 창의적이 작품이 탄생되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므로 초등학교 시절의 미술교육은 가급적 자녀의 상상에 의한 갈등과 고민 자체에 찬사를 보낼 수 있는 따뜻한 배려에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흔히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만 이러한 방법을 시도해 보려는 경향을 있으나 고 학년으로 갈수록 사실적 표현에 익숙해져 가도록 바쁘게 지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인생에서 가장 왕성한 상상력이 길러지는 초등학교 시절에는 가급적 상상력을 증대하여 상상에 의한 표현과의 갈등과 문제 속에서 창의성을 길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부모나 기성인들을 모방하고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3.30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19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