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조기법
(1)주형재료
(2)주조기법 공정과정
(3)주조기법을 사용한 유물
2. 투조기법
3. 조금기법
(1)선조기법
(2)어자문기법
(3)상감기법
4. 도금기법
(1)도금기법
(2)금니기법
(3)금은평탈 기법
(4)재금기법
(5)화도기법
5. 누금세공기법
6. 단조기법
(1)주형재료
(2)주조기법 공정과정
(3)주조기법을 사용한 유물
2. 투조기법
3. 조금기법
(1)선조기법
(2)어자문기법
(3)상감기법
4. 도금기법
(1)도금기법
(2)금니기법
(3)금은평탈 기법
(4)재금기법
(5)화도기법
5. 누금세공기법
6. 단조기법
본문내용
한다.
포목상감할 수 있는 금속은 질량이 강하고 적합하며 그 이유는 금속판이 부드러우면 포목한 배선이 문드러질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철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며, 적동, 950℃이하의 은 등 단단한 금속이 적당하다.
상감하는 금속은 순도가 높고 부드러운 것을 택하는 것이 좋은데 순금, 순은, 순백금 등 두께가 0.02~0.04㎜정도의 박을 가공하여 사용한다. 바탕금속이 동일 경우에는 0.01㎜의 박을 사용한다.
조선조시대의 유물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기법으로 특히 생활용품을 대상으로 한 점으로 보아 조선조 중기를 전후해서 포목상감이 시도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ㄹ. 부조상감 (고육상감)
부조상감은 바탕이 되는 금속을 평상감과 같은 방법으로 문양에 맞추어 쪼아내어 공간을 만든 다음 상감할 금속을 바탕금속의 표면보다 높게 끼워 문양이 두드러져 보이게 하는 기법이다.
상감된 위에 다시 조각을 하기도 하고 입체적으로 돋보이게 하는 효과도 낼 수가 있다. 또한 상감된 문양위에 다시 상감을 하는 수도 있다.
ㅁ. 소입상감 (부식상감)
소입상감은 기법은 금도금의 기법을 응용한 것으로 바탕위에 문양을 파고 그 부분에 수은과 금의 합금(Amalgam)을 바르고 이것을 태워서 도금하고 숫돌로 갈아서 문양 될 부분이외의 부분을 떨어뜨린다. 이로써 정으로 파낸 부분만 도금이 남아서 흡사 평상감과 같이 보인다. 이러한 상감법은 호흡기 장애의 위험이 뒤따르므로 주의가 요망된다. 근래에는 대신 은땜을 주로 사용한다.
ㅂ. 절상감
절상감은 상감된 문양을 내부와 외부에서 다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법으로 상감될 금속의 형태를 실톱 등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자르고 바탕금속을 같은 모양으로 투각한 후 서로 맞추어 땜을 하고 표면을 다듬어 마무리 하는 방법이다.
4. 도금기법 (鍍金技法)
도금기법은 금을 아밀감하여 표면에 입히는 도금(鍍金, gilding)기법과, 사경(寫經)할 때 쓰이는 금니(金泥, gold paint)기법, 그리고 금박도금(金箔鍍金, gold leaf) 등 금으로 가공한 기법을 말한다.
< 금동제사리외함 >
너비 17.2cm, 높이 18cm인 이 금동제사리외함은 동판에 도금을 한 사각형의 형태로 4면에 덩굴무늬를 좌우대칭으로 뚫어새기고, 몸체를 받치고 있는 기단부의 무늬도 뚫어 새겼다.
지붕 위에는 덩굴무늬를 새기고 지붕 꼭대기, 모서리, 지붕마루에는 연꽃으로 장식하였다. 지붕 끝에는 나뭇잎모양의 장식을 달아놓았다. 안정된 각부 비례와 정제된 모습으로 지금까지 발견된 신라 사리함 중에서 가장 세련된 작품이다.
다음으로 각각의 기법에 대해 알아보겠다.
(1) 도금기법 (鍍金技法)
도금기법이란 먼저 가느다란 금막대기나 금박조각을 만든 다음, 황금을 수은에 녹여서 찬물에 부으면 니상(泥狀)으로 변하는데 이것이 금니(金泥) 즉 금아말감이다.
다음으로는 동(銅), 동합금(銅合金)한 동기의 표면을 초염, 명반(明礬) 등의 혼합액체로 닦아낸 다음 금니를 바른다. 이때에는 금색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가열하면 수은(융점 38도)은 증발하고 금만 남아 도금이 되는 것이다. 이것을 개금(開金)이라 하고, 마지막 단계로 압광(壓光), 즉 마노(瑪瑙)나 경도(硬度) 78도의 옥석(玉石)으로 문질러 광을 낸다.
이것은 고대로부터 쓴 기법으로 금동물(金銅佛)의 대부분은 이런 방법으로 제작된 것이다.
(2) 금니기법 (金泥技法)
금니란 도가니에 얇게 저민 금1에 수은 7의 비율로 섞어 400도로 가열하여 니상(泥狀)이 된 것을 말한다. 금아말감에 대하여는 금 1에 수은 6의 비율로 한다고 한다. 또 이 금아말감을 만들 때 수은의 양이 너무 많아서 아말감이 묽어지면 종이나 사슴가죽에 싸서 강하게 비틀어 짜면 액상(液狀)의 수은이 줄어들어 진하게 만들 수도 있다고 한다.
아마도 착금이라는 것은 이 금니를 금사(金絲), 금편(金片)과 함께 이용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수은이 증발할 때 생기는 유해가스 때문에 칠을 발라서 금박(金箔, gold leaf)을 붙이는 이른바 칠박법(漆箔法, gold foil applied with lacquer)도 금 이용의 한 방편이 된다.
합금(合金)이란 동(銅)이나 은에 적당량의 금을 넣어 독특한 경도(硬度)와 색채를 내게 한 것으로 금공(金工)에 널리 쓰이기도 한다.
(3) 금은평탈 기법 (金銀平脫, embedding of gold and silver plate cutout)
금은평탈 기법은 성당(盛唐)시기인 당현종(唐玄宗)
포목상감할 수 있는 금속은 질량이 강하고 적합하며 그 이유는 금속판이 부드러우면 포목한 배선이 문드러질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철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며, 적동, 950℃이하의 은 등 단단한 금속이 적당하다.
상감하는 금속은 순도가 높고 부드러운 것을 택하는 것이 좋은데 순금, 순은, 순백금 등 두께가 0.02~0.04㎜정도의 박을 가공하여 사용한다. 바탕금속이 동일 경우에는 0.01㎜의 박을 사용한다.
조선조시대의 유물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기법으로 특히 생활용품을 대상으로 한 점으로 보아 조선조 중기를 전후해서 포목상감이 시도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ㄹ. 부조상감 (고육상감)
부조상감은 바탕이 되는 금속을 평상감과 같은 방법으로 문양에 맞추어 쪼아내어 공간을 만든 다음 상감할 금속을 바탕금속의 표면보다 높게 끼워 문양이 두드러져 보이게 하는 기법이다.
상감된 위에 다시 조각을 하기도 하고 입체적으로 돋보이게 하는 효과도 낼 수가 있다. 또한 상감된 문양위에 다시 상감을 하는 수도 있다.
ㅁ. 소입상감 (부식상감)
소입상감은 기법은 금도금의 기법을 응용한 것으로 바탕위에 문양을 파고 그 부분에 수은과 금의 합금(Amalgam)을 바르고 이것을 태워서 도금하고 숫돌로 갈아서 문양 될 부분이외의 부분을 떨어뜨린다. 이로써 정으로 파낸 부분만 도금이 남아서 흡사 평상감과 같이 보인다. 이러한 상감법은 호흡기 장애의 위험이 뒤따르므로 주의가 요망된다. 근래에는 대신 은땜을 주로 사용한다.
ㅂ. 절상감
절상감은 상감된 문양을 내부와 외부에서 다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법으로 상감될 금속의 형태를 실톱 등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자르고 바탕금속을 같은 모양으로 투각한 후 서로 맞추어 땜을 하고 표면을 다듬어 마무리 하는 방법이다.
4. 도금기법 (鍍金技法)
도금기법은 금을 아밀감하여 표면에 입히는 도금(鍍金, gilding)기법과, 사경(寫經)할 때 쓰이는 금니(金泥, gold paint)기법, 그리고 금박도금(金箔鍍金, gold leaf) 등 금으로 가공한 기법을 말한다.
< 금동제사리외함 >
너비 17.2cm, 높이 18cm인 이 금동제사리외함은 동판에 도금을 한 사각형의 형태로 4면에 덩굴무늬를 좌우대칭으로 뚫어새기고, 몸체를 받치고 있는 기단부의 무늬도 뚫어 새겼다.
지붕 위에는 덩굴무늬를 새기고 지붕 꼭대기, 모서리, 지붕마루에는 연꽃으로 장식하였다. 지붕 끝에는 나뭇잎모양의 장식을 달아놓았다. 안정된 각부 비례와 정제된 모습으로 지금까지 발견된 신라 사리함 중에서 가장 세련된 작품이다.
다음으로 각각의 기법에 대해 알아보겠다.
(1) 도금기법 (鍍金技法)
도금기법이란 먼저 가느다란 금막대기나 금박조각을 만든 다음, 황금을 수은에 녹여서 찬물에 부으면 니상(泥狀)으로 변하는데 이것이 금니(金泥) 즉 금아말감이다.
다음으로는 동(銅), 동합금(銅合金)한 동기의 표면을 초염, 명반(明礬) 등의 혼합액체로 닦아낸 다음 금니를 바른다. 이때에는 금색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가열하면 수은(융점 38도)은 증발하고 금만 남아 도금이 되는 것이다. 이것을 개금(開金)이라 하고, 마지막 단계로 압광(壓光), 즉 마노(瑪瑙)나 경도(硬度) 78도의 옥석(玉石)으로 문질러 광을 낸다.
이것은 고대로부터 쓴 기법으로 금동물(金銅佛)의 대부분은 이런 방법으로 제작된 것이다.
(2) 금니기법 (金泥技法)
금니란 도가니에 얇게 저민 금1에 수은 7의 비율로 섞어 400도로 가열하여 니상(泥狀)이 된 것을 말한다. 금아말감에 대하여는 금 1에 수은 6의 비율로 한다고 한다. 또 이 금아말감을 만들 때 수은의 양이 너무 많아서 아말감이 묽어지면 종이나 사슴가죽에 싸서 강하게 비틀어 짜면 액상(液狀)의 수은이 줄어들어 진하게 만들 수도 있다고 한다.
아마도 착금이라는 것은 이 금니를 금사(金絲), 금편(金片)과 함께 이용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수은이 증발할 때 생기는 유해가스 때문에 칠을 발라서 금박(金箔, gold leaf)을 붙이는 이른바 칠박법(漆箔法, gold foil applied with lacquer)도 금 이용의 한 방편이 된다.
합금(合金)이란 동(銅)이나 은에 적당량의 금을 넣어 독특한 경도(硬度)와 색채를 내게 한 것으로 금공(金工)에 널리 쓰이기도 한다.
(3) 금은평탈 기법 (金銀平脫, embedding of gold and silver plate cutout)
금은평탈 기법은 성당(盛唐)시기인 당현종(唐玄宗)
키워드
추천자료
[노인복지A+] 노인상담의 정의, 목적, 기능,특징, 실천과정, 상담기법과 노인상담 프로그램 ...
[공정관리] 공정관리의 의의와 기능, 공정계획과 PERT기법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인지행동모델의 철학, 이론적 기반, 주요 가정, 개입목표, 개입과정, 개...
(사회복지실천기술론)과제중심모델의 등장배경, 특징, 개념, 개입목표, 개입과정, 개입기법
[사회심리학] 사회적 영향(이론)에 관한 연구 (태도의 특징과 기능, 태도변화 이론, 설득과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심리사회치료모델 - 심리사회 치료모델의 철학과 기본개념, 심리사회 ...
가족복지론,경험적 가족치료 모델과 이야기치료 모델,주요개념과 치료전략,satir의 경험적 가...
[이야기치료] 이야기치료 발달 배경, 이야기치료 목표, 이야기 치료 과정, 치료자 역할, 이야...
[간호와 경영] 의사결정 _ 주요용어, 의사결정의 개념과 중요성, 의사결정 이론, 의사결정과 ...
[심리치료와 상담] 게슈탈트(Gestalt) 치료 이론의 치료목표와 치료원리 및 치료기제와 치료기법
[행동대안(行動代案)의 모색] 행동대안 모색 - 대안모색의 의의, 대안의 개념과 특징, 대안 ...
[가족상담기법] 가족상담 기법, 기법형성과정, 가족상담 기법의 유형
[다문화사회와 교육] 간문화교육과 사업의 방법 및 수단 - 간문화교육 방법의 약자, 인지적 ...
실존주의적 상담이론에 대한 실존주의적 인간관에 대하여 논하고 실존주의 상담이론에 대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