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와 청소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사회와 청소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합\'과도 일맥상통하는 결과
■ 청소년 패션문화가 갖는 한계점과 대책
- 한계점
첫째 원천과 주체성이 모호하다.
둘째 서구의 반항적이고 일탈적인 하부문화가 국내 매스컴을 통해 무비판적으로 도입, 전파된 결과이다.
셋째 정통적이고 전통적인 것을 이해하지 못한 국내 청소년들이 외국의 감각문화에 먼저 심취해 있다.
넷째 대한적인 보급을 위한 정책과 지원이 거의 없은 것이 우리나라의 실정이다.
- 대 책
첫째 학교 교육과정에 대중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강좌를 포한 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체험수련활동 프로그램과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셋째 더 적극적으로는 우리 청소년들과 외국의 청소년들이 상호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여 상대방 의 문화를 체험하도록 한다.
■ 청소년 옷의 문화에 대한 나의 견해
- 제가 생각하기에는 청소년의 옷의 문화는 자기를 표현이기 보다는 TV에 나오는 연예인 모방을 하고 더
비슷하게 할수록 자신들이 대리 만족을 느끼는 것 같습니다.
◎ 두 번째 문화 : 청소년의 음악문화
■ 힙합문화
자유로운 비상을 위한 날개 짓
(예화) 약간의 낡은 듯한 아디다스 운동화, 엉덩이에 걸쳐진 펑퍼짐한 힙합 청바지, 하얀색 라운드 티셔츠 차림의 000는 한쪽 귀에 조그만한 링 귀걸이를 걸고 있는 점에는 17살 평범한 고교생의 모습과 별로 달라 보이지 않는다. 000은 힙합이라면 자다가도 벌떡 얼어날 만큼 힙합에 푹 빠져있는 자칭 힙합 마니아이다. 잠은 친구네 자취방에서 주로 자고 낮에는 파트타임으로 주유소에서 일을 하고. 학교는 때려치운 것은 아니고 내년에 다시 다닐 것이다. 000이 학교를 다니지 않는다고 불량 청소년으로 판단해서는 안된다. 000의 꿈은 위대한 힙합댄서가 되는 것이다. 000에거 있어서 힙합은 무엇일까? 그냥 모든게 좋아요.
힙합에 대해서 거창하게 말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전 그런 멋있는 말은 잘 못하고 그냥 다 좋아요. 음악이랑 춤도 좋고 힙합하는 사람들도 좋고 그냥 이세상에서 나랑 제일 잘 맞는 게 힙합인 것 같아요...
① 힙합의 기원
힙합은 HIP(엉덩이)+HOP(몸을 흔들어 추는 춤)의 복합어이다. 그러나 힙합은 단순히 춤의 장르만을 지칭
하는 것이 아니라 미국의 빈민가 흑인지역으로부터 1970년대에 시작되어 지금 전 세계로 퍼져있는 독특한 문화로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힙합에는 음악을 비롯하여 춤, 미술, 철학, 라이프스타일 등이 모두 포함
되어 있다.
② 힙합의 구정 요소
힙합은 그 구성요소로 디제잉(Djing: 음반은 켜 놓고 손으로 “치키치키”하며 스크래치를 만들어 내는
사람), 랩핑(Rapping: 음악에 맞춰 랩을 하는 것 ), 그래피티(graffiti: 일명 막서 예술이라하며 거리의 벽이나 지하철 들에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는 것) 비보잉(B-boying: 브레이크 댄스를 추는 것) 등을 포함하고 있다.
③ 우리나라에서의 힙합 전파
우리나라에서 힙합이 대중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1992년 서태지와 아이들의 ‘난알아요’를 통해서
였다. 비슷한 시기에 출현한 듀스도 힙합을 전파하는데 단단한 몫을 담당했다.
■ 인간적인 기계음, 테크노
- 1990년대 후반에 이르러 테크노댄스가 유행의 한가운데에 서게 되었다. 힙합이 주로 10대의 청소년들
사이에 유행되었다면 테크노는 20대의 감성에 어필하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하겠다.
① 테크노란?
- 테크노란 전자음악과 그에 부합되는 춤을 지칭한다.
② 테크노의 특징
- 전자기기를 이용한다는 점 이외에도 특정한 비트나 사운드가 약간의 변형을 거치면서 끊임없이 반복된 다는 점이다. 테크노는 DJ를 중심으로 전개된다는 특징이 있다.
③ 테크노의 효과
- 생각을 단순화 시킨다. 생각을 디지털이 구성과 같은 ‘0’과 ‘1’로 단순화시켜 모든 스크레스와 고민, 슬픔 들을 ‘0’과 ‘1’로 표현해 버린다. 지난 세대의 비하면 상대적으로 물리적 문화적 풍요를 누리고 있지만 내면에서는 공허를 지우지 못하고 있는 오늘의 젊은 세대읠 심리를 테크노음악이 대변해 주고 있다.
※ 청소년 음악에 대한 자료
(세계일보 , 2002. 6. 19.)
- 10대들은 어떤 음악을 원하나?
질풍노도의 시기를 겪는 10대 청소년들의 감성은 어떤 음악을 원하고 있을까? 방송 음악프로가 댄스가요로 채워져 10대 취향 일색이라지만 그거 기성세대의 노파심일 수도 있다. 우리나라 대중음악에 대한 10대들의 생각은 그냥 즐기고 듣는데 그치지 않는다. 댄스음악을 즐기지만 가끔 비판의 시작을 갖고 비틀기를 시도하고 문제점을 찾아보기도 한다.EBS특집 2002년 한국 대중음악과 10대는 우리나라 음악계에 대해 10대들이 어떤 생각을 지니고 있는지 다양하게 짚어본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서울에 있는 중고생 400명중 67%가 매일 가요를 즐겨 듣는다.라고 답했고, 가끔 듣는다.도 27%로
나왔다 장르별로는 댄스와 발라드를 즐겨 듣는다는 대답이 3분의2나 차지했다. 그러면서도 외모가 실력보다 더 대우받는 것, 지나친 상업성, 립싱크 과다, 다양성 부족을 단점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
댄스음악에 대한 10들의 이런 양면적 태도는 음악을 접하는 유일한 통로가 방송이기 때문에 싫어도 어쩔수 없이 댄스
가요로 획일화된 음악에 벗어 날 수 없는데서 비롯된다.
이협희 PD는 “대중음악에 대해 늘 함께 있어 심장 같다는 아이들에게 음악은 일상의 활력소 이자 안식처이다“ 라고
말했다.
■ 청소년의 대중음악 : 육체성의 미학
- 대중음악에서 신세대 문화와 관련하여 가장 논쟁적인 주제는 단연 랩과 댄스음악, 그리고 서태지
신드롬이다.
- 랩
빈민가 흑인 청소년들에게 빈곤과 소외, 현실에 대한 분노를 표현하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며 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기제 -> 전세계청소년들의 하위문화 체계의 일부로 자리잡음.
멜로디와 화성이 최소화되고 리듬위주 - 기성세대에 대한 강한 불만과 공격성
한국의 랩 -> 공격적 메시지보다는 빠르고 강한 비트와 리듬을 중심으로 감각적인 댄스음악의 형태로
받아들여짐.
\'서태지와 아이들\' -> 빠르게 속사포처럼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09.27
  • 저작시기2004.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23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