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이 사용하는 언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군인이 사용하는 언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조사대상
2) 조사방법
3) 조사결과

3. 결론

본문내용

연변장 / 연병장
감옥 : 영창
-군기교육대
초소
위병소 - 부대의 정문
면회소
<훈련의 종류>
유격훈련
-PT체조
-레펠훈련
-기합 : 얼차레, 얼차례, 얼차렷
행군
<행동과 관련>
군장 뺑뺑이(운동장 도는 것)
조뺑이 깐다(되게 고생하는 것)(준말=뺑이친다)
-뺑끼치다(전혀 필요 없는 일을 힘들게 한다)
짱박힌다(숨는다)
짱박는다(숨긴다)
꼬장(선임해병이 후임해병에게 불만을 표현할 때 하는 행동,폭력을 동반할 때가 많음)
쪼인트(군화발에 까이는 것)
작업원(뭔가를 하기위해 동원되는 병력)
이빨깐다(재미있는 이야기 또는 무용담을 늘어놓는다)
-노가리깐다
이빨쎄다(허풍이나 말솜씨가 유창하다)
빡쎄다(힘들다, 어렵다)
거수경례
관등성명
암구어 / 암구호
보초서다
점호
- 일석점호
- 일조점호
종결어미 ‘-습니다.’ 사용
4. 결과 분석
⑴ 다음과 같은 말은 군인이라는 특수 직업에 의해 사용되는 전문어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사전적인 정의나 기타 다른 사전을 참고하여 용어를 설명하겠다.
현ː역(現役)[명사]
1.상비 병역의 한 가지. 부대에 편입되어 실지의 군무(軍務)에 종사하는 병역, 또는 그 군인. ↔예비역.
2.실지로 어떤 직위에 있거나 직무를 수행하고 있는 일, 또는 그 사람.
공익근무요원 : 보충역 또는 현역병 입영대상자 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예술·체육분야의 특기를 가진 사람
방위 : 96년 7월에 마지막 방위가 소집해제하고 방위가 없다. 방위는 군부대에서 기동대 또는 동사무소에서 병사업무를 담당하였는데, 방위제도가 없어지고 새로 생긴 제도가 상근예비역과 공익근무요원이다. 상근예비역은 군부대에 소속되어 무기경계, 예비군업무를 담당하고 공익은 행정관서에서 보조업무를 한다.
☞ 이 부분에서는 현역군인과 기타 다른 군인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그 종류를 조사한 것이다. 여기에서 ‘방위’라는 제도가 없어졌으며, 그 대신에 상근예비역과 공익근무요원이 생겼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 제도는 없어졌지만 아직까지 일반인들 사이에서는 사용되고 있다. 없어진 기간이 그리 오래되지 않아서 아직 사어(死語)가 되지는 않았지만, 오랜 시간이 지나면 사어가 되어버릴 지도 모른다.
전ː경(戰警) [명사] <전투 경찰대>의 준말.
의경 : 의무경찰이라고도 하며 법률상 정식 명칭은 전투경찰대설치법시행령 제2조제1항제5호에 명시된 \"의무전투경찰순경\"(이하 \"의경\"이라 한다)이다.
헌ː병(憲兵) [명사] 군의 병과(兵科)의 한 가지. 군의 경찰 업무를 맡아봄. 엠피(MP).
아ː르오ː티ː시ː(ROTC) [명사] 대학생에게 일정 기간 군사 교육·군사 훈련을 실시하여 졸업과 동시에 소위로 임명하는 단체. 학생 군사 교육단.Reserve Officer’s Training Corps]
하ː사―관(下士官) [명사] ‘부사관(副士官)’의 구용어.
제대(除隊) [명사] [하다형 자동사·하다형 타동사] 현역 군인이 규정된 연한이 차거나 그 밖의 일로 복무 해제되어 예비역에 편입되는 일. ¶만기(滿期) 제대 . ↔ 입대 .
의가사 제대(依家事除隊) [명사] 군대에서, 현역으로 복무 중에 있는 사람이 가정 사정으로 말미암아 제대하게 되는 일.
훈ː련―병(訓鍊兵) [훌―] [명사] 훈련 기관에서 훈련을 받고 있는 병사. (준말) 훈병
이ː등―병(二等兵 )[명사] 국군의 사병 계급의 하나. 군의 가장 아래의 계급. (준말)이병
일병(一兵)[명사] <일등병>의 준말
상ː병 (上兵) [명사] <상등병>의 준말
병장 (兵長) [명사] 국군의 사병 계급의 하나. 상등병의 위, 하사의 아래
소ː대―장(小隊長) [명사] 소대를 지휘 통솔하는 직위, 또는 그 직위에 있는 장교. [보통, 소위나 중위로써 임명함.]
중대―장(中隊長) [명사] 군대에서, 중대를 지휘 통솔하는 지휘관. [보통, 대위(大尉)로써 임명함.]
대ː대―장(大隊長) [명사] 대대를 지휘 통솔하는 지휘관. [보통, 중령(中領)으로서 임명함.]
연대―장(聯隊長) [명사] 연대를 지휘 통솔하는 지휘관. [보통, 대령(大領)으로 임명함.]
사단―장(師團長) [명사] 사단을 지휘·통솔하는 지휘관. [보통, 소장(少將)으로써 보함.]
분대―장(分隊長) [명사] 분대를 지휘 통솔하는 직위, 또는 그 직위에 있는 부사관. [보통 하사로서 임명함.]
휴가(休暇)[명사]
1.(학교나 직장 따위에서) 일정한 기간 동안 쉬는 일, 또는 그 겨를. 방가(放暇).
2.말미.
백일휴가 : 입대 후 100일 후에 나오는 휴가
위로휴가 : 위로해주는 차원에서의 휴가
포상휴가 : 칭찬하고 권장하여 상을 주는 차원에서의 휴가
일병휴가 : 일병 달고 2개월 정도 후면 나오는 9박10일 정기휴가
상병휴가 : 상병 진급 후에 3개월 이내에 받는 정기휴가
병장휴가(말년휴가) : 제대하기 1달 이내에 나가는 14박15일 정기휴가
외ː박(外泊)[ 외―/웨―][명사][하다형 자동사] 자기 집이나 정해진 데가 아닌 곳에 나가서 잠. 외숙(外宿). -> 군대에서는 토요일에 나갔다가 일요일에 복귀하는 것.
-포상외박
-정기외박
외ː출(外出)[외―/웨―][명사][하다형 자동사] (집이나 직장 등에서) 볼일을 보러 나감. 출타(出他). (비슷한말)나들이
보ː병(步兵) [명사] 육군 병과의 하나. 소총이나 기관총 등을 가지고 싸우는 육군의 주력 부대, 또는 그에 딸린 군인. 보졸(步卒).
포병(砲兵) [명사] 육군 병과의 한 가지. 대포 종류로 장비된 군대, 또는 그에 딸린 군인
통신병 : 부대 간의 통신을 유지
인사병 : 인사관리 업무 담당하는 군인
작전병 : 작전과 소속의 간부들과 같이 지도에 이동경로나 병력을 배치하는 일을 함.
정보병 : 작전지도나 그밖에 군사보안상 중요한 일들을 다룸.
취사병 : 식사 담당
의무병 : 질병의 예방과 치료 담당
소ː총(小銃) [명사] 혼자서 가지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는 소형 화기. [보병총·자동 소총 따위.]
-K-1, K-2, K-3 유탄발사기
대ː포(大砲) [명사] 1. 화약의 힘으로 탄환을 발사하는 화포(火砲). (준말) 포. 2. ‘거짓말’이나 ‘허풍’의 곁말. ¶말하는 것을 들어 보니 대포가 세다.
박격―포(迫擊砲) [―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4.12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39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