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정읍시 정해마을 언어사회의 음운변이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북 정읍시 정해마을 언어사회의 음운변이 연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전북 정읍시 정해마을 언어사회의 음운변이 연구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 범위와 방법론

2. 정해마을 언어사회와 자료조사
 2.1 사회문화적 배경
 2.2 현지 조사
 2.3 방언적 특성

3. 모음과 관련된 변이
 3.1. 모음조화의 잔존
 3.2. 모음 상승과 반작용
 3.3. 움라우트와 변이
 3.5. 전설원순모음과 변이음
 3.6. 이중모음과 변이

4.자음에 관련된 변이
 4.1. k, h 구개음화의 변이
 4.2. 구개적 [ɲ] 첨가
 4.3. 유기음화 적용 범위의 확대
 4.4. 어두 경음화
 4.5. 체언어간말 자음의 변이

5. 변이 현상에 대한 계량적 분석
 5.1 방언형 ‘히,-디,-ㅇ게,-제’
 5.2 변항(ő)
 5,60대 여성화자들은 발음상으로 ‘ㅚ’를 거의 ‘애’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5.3 변항(ű)
 5.4 이중모음의 단모음화형
 5.5 변항(Xyo)
 5.6‘잖아’형 어휘 차용
 5.7‘-하다’의 유기음화
 5.8 K,H구개음화

6. 언어 변항과 화자 변항의 상호작용
 6.1연령별 추이
 6.2성별분화
 6.3 계층 및 교류망별 분화

7. 결론

느낀점 :

본문내용

할 수 있는 기준을 만들어 조사를 하였다.
2.3 방언적 특성
정읍 지역은 대체로 전북 서부 평야 지대의 방언적 성격을 지니면서 전남 북서부 지역의 방언적 성격이 동시에 나타난다는 점에서 접촉 방언적 성격이 강한 지역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그리고 정해마을 언어 사회에서 사용되는 방언들은 대체로 정읍 방언과 같다고 할 수 있지만, 이 지역에 서는 전남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몇몇 형태들이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는 점에서 정읍지역 내에서도 특히 전남 방언적 요소가 많은 지역이며 마을 자체의 보수성과 폐쇄성 때문에 방언형이 좀더 유지되고 있는 지역으로 이해할 수 있다.
3. 모음과 관련된 변이
3.1. 모음조화의 잔존
-활용어간과 부사형 어미 ‘-ㅏ/-ㅓ’가 통합된 활용형에서 모음조화의 잔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깎아-깎어, 몰리-+-ㅏ→몰랴
3.2. 모음 상승과 반작용
-중모음 계영의 모음들이 고모음 계영의 모음으로 상승하는 일련의 변화가 있다.
예)(1)‘ㅔ>ㅣ’ : 지게-지기
(2)‘ㅕ>ㅔ>ㅣ’ : 병아리>벵아리>삥아리
3.3. 움라우트와 변이
-움라우트란? 역사언어학상의 개념으로 〔a〕,〔o〕,〔u〕 등의 소리가 후속음절의 영향으로 소리가 변하는 현상을 말한다.
-형태소의 내부, 활용 등에서 움라우트의 변이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예)갱변, 호랭이/ 앵기- 안기, 솔챈히-솔찬히
3.4. 전설모음 /e/와 변이음 공시적 상태에서 음소 /e/가 나타나는 환경은 이전 시기에 있었던 음 변화에 따라 구분 할 수 있다. 첫째, ‘y>e’의 음 변화를 거친 순정의 /e/, 둘째, /ye/ 혹은 /y/가 단모음 화하여 나타나는 [e],셋째, 피동음 //에 움라우트 규칙이 적용되어 나타나는 [e] 등으로 나뉜다.
예)속셰, 몌느리
3.5. 전설원순모음과 변이음
-공시적 상황에서 [wE,E,i] 등으로 변이음 목록을 보인다.
예)꾀꼬리-꽤꼬리-깨꼬리, 쇠주-소주
3.6. 이중모음과 변이
-이중모음의 수는 노년층세거 청소년층에 결쳐 일어난 단모음의 변화에 따라 이중모음의 수가 달라진다.
3.6.1.y계 상향 이중모음 예)볘루-벼루, 몌누리-메누리-며누리
3.6.2.w계 상향 이중모음 예)왜면, 꽤
3.6.3.하향이중모음 iy의 분화 예)으심, 으자, 회이
4.자음에 관련된 변이
4.1. k, h 구개음화의 변이
-h 구개음화와 변이형태: 수지(휴지), 성님(형님), 셩용(형용), 서(혀), 상나무(향나무)
-k 구개음화와 변이형태: 길(질), 기름(지름), 견뎌(젼뎌)
4.2. 구개적 [] 첨가
-양약, 징역 등과 같이 어말에 []을 가진 어휘들인데, 이 지역에는 어말 [ŋ]이 탈락하고 그 자리에 구개자음 []가 나타난다.
4.3. 유기음화 적용 범위의 확대
-‘그렇-’의 활용형 [그러조, 그러지, 그러지라우]의 변이 상태에서는 [그쵸, 그렇죠]형으로 선호한다.
-어간이 발음이 장애음이고 후행하는 요소가 부사파생접사 ‘-히’가 결합되는 경우와 ‘하-’의 모음 ‘-ㅏ’가 탈락하고 어간 말음과 축약하는 경우에도 유기음화를 보인다.
예) 급피,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9.23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06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