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원봉사의 개념
2. 자원봉사활동의 주요특성
3. 자원봉사활동의 필요성
4.자원봉사활동의 의의
5. 사회복지에서의 자원봉사의 위치
6. NGO와 자원봉사
7. 사회복지 내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역할분담에 대한 이론
8. 웹부부, 그리고 소수파보고서
9. 민간 사회복지의 발달과 자원봉사
10.최근 공적 사회복지에서 자원봉사활동이 크게 증가되고 있는 이유는 뭘까?
11.자원봉사활동의 구성체계
12.자원봉사의 가치와 필요성
13. 자원봉사자의 역할
14.자원봉사 시행상의 문제
15. 자원봉사의 기원과 역사
16.우리나라 자원봉사 발달사
17.우리나라 자원봉사역사에서 꼭 알아둘 사항
18.영국의 자원봉사
19.미국의 자원봉사
20. 동기란
21. 자원봉사의 동기구분
22. 자원봉사참여동기이론
23. 우리나라 자원봉사센터
24. 우리나라 자원봉사 단체 현황
25. 우리나라 자원봉사 참여 현황
26. 청소년, 교육, 자원봉사
27. 기업과자원봉사활동
28. 자원봉사활동의 세계적 추세
2. 자원봉사활동의 주요특성
3. 자원봉사활동의 필요성
4.자원봉사활동의 의의
5. 사회복지에서의 자원봉사의 위치
6. NGO와 자원봉사
7. 사회복지 내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역할분담에 대한 이론
8. 웹부부, 그리고 소수파보고서
9. 민간 사회복지의 발달과 자원봉사
10.최근 공적 사회복지에서 자원봉사활동이 크게 증가되고 있는 이유는 뭘까?
11.자원봉사활동의 구성체계
12.자원봉사의 가치와 필요성
13. 자원봉사자의 역할
14.자원봉사 시행상의 문제
15. 자원봉사의 기원과 역사
16.우리나라 자원봉사 발달사
17.우리나라 자원봉사역사에서 꼭 알아둘 사항
18.영국의 자원봉사
19.미국의 자원봉사
20. 동기란
21. 자원봉사의 동기구분
22. 자원봉사참여동기이론
23. 우리나라 자원봉사센터
24. 우리나라 자원봉사 단체 현황
25. 우리나라 자원봉사 참여 현황
26. 청소년, 교육, 자원봉사
27. 기업과자원봉사활동
28. 자원봉사활동의 세계적 추세
본문내용
-행정자치부 지원으로 각 지역 자원봉사자들의 수요와 공급을 조정하기 위해 전국 204개 시군구에 만들어짐.
-독립법인이 된 센터도 있지만, 지방자치단체에서 직접 운영하거나, 민간단체에서 위탁하는 경우도 있음
-기능 : 자원봉사자상담, 모집, 훈련, 프로그램 개발, 감독, 평가
2. 여성 자원활동센터
-한국에서 정부 지원으로 세워진 첫 번째 자원활동센터
-1992년 시청 모자보건과 내에 만들어졌으며 그 수가 1998년 262개까지 늘어남. 그러나 지역 자원봉사센터가 생겨나면서 지난 몇 년간 대략 100개의 여성 자원활동센터들은 지역 자원봉사센터로 통합됨
-여성 자원활동센터는 자원봉사자와 기관을 연결시키거나 자원봉사자를 교육, 훈련시키려는 목적보다는 여성인력의 개발에 관심을 끌기 위한 차원에서 설립된 것임.
3. 청소년 자원봉사센터(http://www.youthvol.net)
-1995년 교육령으로 중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이 의무화되면서
-문화관광부는 청소년 자원봉사센터 설립을 지원함으로써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을 장려감독
-1996년부터 청소년 자원봉사센터가 광역시도에 설립되기 시작
-1998년에는 16개 지역센터 및 중앙센터를 설치하여, 청소년단체들과 청소년에 의한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 및 담당교사 교육 등을 담당하고 있음
4. 자원봉사자 정보안내센터
-보건복지부는 중앙과 지역의 복지국에 연결된 자원봉사 정보안내센터를 설치
-주요 기능 : 자원봉사자 연계망인 \'VT-NET\'을 통해 관련 정보를 수집 배포하는 기능
-이 센터의 자원봉사자 모집 및 배치는 상담과 정보 제공에 한정되어 있음
즉, 지역의 자원봉사자를 직접 모집하고 훈련하는 역할은 하지 않고 있는 셈.
-다음 \'복지넷\' 사이트 방문 http://vms.bokji.net/
24. 우리나라 자원봉사 단체 현황
-우리나라에 자원봉사단체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이들의 총체적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 없음
-2001년 10월 한국자원봉사단체협의회에서 관련 문헌 및 온라인을 통해 확인한 자원봉사단체 총수:
*지방자치단체와 자원봉사센터의 홈페이지에 등록된 단체 : 약 5,000 단체
*보건복지부와 여성부 홈페이지 자료실에 둥록된 단체 : 약 4,500 단체
*행정자치부 민간협력과 자료실에 등록된 비영리민간단체 : 3,433 단체
*한국민간단체총람(1999)에 수록된 단체 : 약 7,600 단체
25. 우리나라 자원봉사 참여 현황
<1999년 볼런티어 21에서 행정자치부 지원을 받아 실시한 전국조사 결과>
1. 20세 이상 성인들 중 14%가 주당 2.2시간 자원활동 참여
2. 자원봉사자들 중 86%가 종교를 가지고 있음 (가톨릭 자원봉사자의 약75%가 정기적 봉사활동 참여, 개신교 58%, 불교 54%). 2. 대부분 경제수준은 중류층
3. 직업별: 전업주부 - 자영업자 - 기술자 - 사무직원 순
4. 성별 : 여성 > 남성
5. 응답자의 28.5%가 수입의 1%를 기부하고 월 4시간을 자원봉사활동에 사용할 의사가 있다고 대답함
6. 자원봉사활동을 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 : \'바빠서\' - \'요청받은 적 없음\' - \'어떻게 참여하는지 모름\' 등
7. 34.4%의 자원봉사활동이 종교단체 내에서 이루어짐.
다음으로 사회복지단체(23.9%) - 민간단체(11.2%) - 보건단체(5.6%) - 교육기관(5.3%) - 환경단체(5.3%) 순
8. 자원봉사 시작동기 : 기관이나 직장 통해(50.5%) - 아는 사람 권유(18.6%) 등
26. 청소년, 교육, 자원봉사
1. 정부는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을 교육의 한 형태로 인정하기로 함. 1995년 이후, 중학생은 지역에 따라 연간 최소 10-20시간의 봉사활동을 해야 하며,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점수를 받아 진학자료로 사용할 수 있음.
2. 애로사항 : 시간 및 공간의 부족, 시설 및 전문가의 부족으로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조직화가 어려움
---> 사회복지현장에서 자원봉사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는 더욱 중요해짐. 3박자 딱딱!! 맞아야.
27. 기업과자원봉사활동
1. 1990년대 중반 이후 기업들은 직원의 자원봉사활동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
: 직원 대상 자원봉사교육, 기업내 자원봉사단 조직, 외부 자원봉사단체 지원, 직원 의무자원봉사제 도입 등
2. 대표적 회사: 삼성그룹, 포항제철, SK텔레콤, 한화, 제일제당, KT 등
-삼성그룹의 경우: 1994년, 삼성 모든 계열사에 삼성사회봉사단 조직. 자원봉사업무 담당 전담직원 배치.
3. 1998년, 20여개의 대표적 기업들이 기업봉사실무협의회 결성 - 서로간 정보교환과 네트워킹을 위해 정기적인 모임을 가짐
4. 전국경제인연합회에서 실시한 기업의 자원봉사자 지원에 관한 조사 결과 : 총 143개기업 中
-2개 기업이 직원들 자원봉사활동을 위해 휴직 허용
-7개 기업이 자원봉사 휴가제도 시행
-19개 기업이 자원활동에 대한 인정 프로그램 가짐
-15개 기업이 직원들에게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정보 제공
5. 언론사 : 중앙일보사의 경우 1994년부터 매년 \'자원봉사 대축제\' 실시. 자원봉사관련 기사 지속적 게재.
6. 예: 삼성SDS - 청소년 수감자들에게 컴퓨터교육 실시하여 수료증 부여
28. 자원봉사활동의 세계적 추세
① 자원봉사활동의 확산: 정부 재정에 의한 복지시책이 축소되자 어려운 이웃을 돌보는 민간의 자선운동, 자원봉사활동이 활발해졌으며 그와 더불어 자본주의의 무한 성장주의를 비판해 녹색혁명으로 대변되는 환경운동, 제3세계 인권운동 등의 시민운동이 활발히 대두. 미. 일. 유럽 등의 선진국에서 자원봉사활동은 사회 전반에 급속히 확대되고 있음.
② 자원봉사활동의 제도화: 자원봉사활동을 단순히 복지적 차원만이 아닌 인간성 및 공동체의 회복 메커니즘으로 파악하면서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각종 제도화 노력이 등장. 정부가 공공정책의 일환으로 자원봉사활동을 육성하거나 기업 등 민간이 조직적으로 참여하는 형태를 띠고 있음
③ 기업자원봉사활동 육성: 기업자원봉사활동도 70년대 이후 두두러진 자원봉사활동 제도화 움직임 중의 하나임. 사원들의 인성개발, 지역사회에 대한 이미지 홍보, 봉사활동을 통해 팀
-독립법인이 된 센터도 있지만, 지방자치단체에서 직접 운영하거나, 민간단체에서 위탁하는 경우도 있음
-기능 : 자원봉사자상담, 모집, 훈련, 프로그램 개발, 감독, 평가
2. 여성 자원활동센터
-한국에서 정부 지원으로 세워진 첫 번째 자원활동센터
-1992년 시청 모자보건과 내에 만들어졌으며 그 수가 1998년 262개까지 늘어남. 그러나 지역 자원봉사센터가 생겨나면서 지난 몇 년간 대략 100개의 여성 자원활동센터들은 지역 자원봉사센터로 통합됨
-여성 자원활동센터는 자원봉사자와 기관을 연결시키거나 자원봉사자를 교육, 훈련시키려는 목적보다는 여성인력의 개발에 관심을 끌기 위한 차원에서 설립된 것임.
3. 청소년 자원봉사센터(http://www.youthvol.net)
-1995년 교육령으로 중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이 의무화되면서
-문화관광부는 청소년 자원봉사센터 설립을 지원함으로써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을 장려감독
-1996년부터 청소년 자원봉사센터가 광역시도에 설립되기 시작
-1998년에는 16개 지역센터 및 중앙센터를 설치하여, 청소년단체들과 청소년에 의한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 및 담당교사 교육 등을 담당하고 있음
4. 자원봉사자 정보안내센터
-보건복지부는 중앙과 지역의 복지국에 연결된 자원봉사 정보안내센터를 설치
-주요 기능 : 자원봉사자 연계망인 \'VT-NET\'을 통해 관련 정보를 수집 배포하는 기능
-이 센터의 자원봉사자 모집 및 배치는 상담과 정보 제공에 한정되어 있음
즉, 지역의 자원봉사자를 직접 모집하고 훈련하는 역할은 하지 않고 있는 셈.
-다음 \'복지넷\' 사이트 방문 http://vms.bokji.net/
24. 우리나라 자원봉사 단체 현황
-우리나라에 자원봉사단체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이들의 총체적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 없음
-2001년 10월 한국자원봉사단체협의회에서 관련 문헌 및 온라인을 통해 확인한 자원봉사단체 총수:
*지방자치단체와 자원봉사센터의 홈페이지에 등록된 단체 : 약 5,000 단체
*보건복지부와 여성부 홈페이지 자료실에 둥록된 단체 : 약 4,500 단체
*행정자치부 민간협력과 자료실에 등록된 비영리민간단체 : 3,433 단체
*한국민간단체총람(1999)에 수록된 단체 : 약 7,600 단체
25. 우리나라 자원봉사 참여 현황
<1999년 볼런티어 21에서 행정자치부 지원을 받아 실시한 전국조사 결과>
1. 20세 이상 성인들 중 14%가 주당 2.2시간 자원활동 참여
2. 자원봉사자들 중 86%가 종교를 가지고 있음 (가톨릭 자원봉사자의 약75%가 정기적 봉사활동 참여, 개신교 58%, 불교 54%). 2. 대부분 경제수준은 중류층
3. 직업별: 전업주부 - 자영업자 - 기술자 - 사무직원 순
4. 성별 : 여성 > 남성
5. 응답자의 28.5%가 수입의 1%를 기부하고 월 4시간을 자원봉사활동에 사용할 의사가 있다고 대답함
6. 자원봉사활동을 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 : \'바빠서\' - \'요청받은 적 없음\' - \'어떻게 참여하는지 모름\' 등
7. 34.4%의 자원봉사활동이 종교단체 내에서 이루어짐.
다음으로 사회복지단체(23.9%) - 민간단체(11.2%) - 보건단체(5.6%) - 교육기관(5.3%) - 환경단체(5.3%) 순
8. 자원봉사 시작동기 : 기관이나 직장 통해(50.5%) - 아는 사람 권유(18.6%) 등
26. 청소년, 교육, 자원봉사
1. 정부는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을 교육의 한 형태로 인정하기로 함. 1995년 이후, 중학생은 지역에 따라 연간 최소 10-20시간의 봉사활동을 해야 하며,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점수를 받아 진학자료로 사용할 수 있음.
2. 애로사항 : 시간 및 공간의 부족, 시설 및 전문가의 부족으로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조직화가 어려움
---> 사회복지현장에서 자원봉사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는 더욱 중요해짐. 3박자 딱딱!! 맞아야.
27. 기업과자원봉사활동
1. 1990년대 중반 이후 기업들은 직원의 자원봉사활동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
: 직원 대상 자원봉사교육, 기업내 자원봉사단 조직, 외부 자원봉사단체 지원, 직원 의무자원봉사제 도입 등
2. 대표적 회사: 삼성그룹, 포항제철, SK텔레콤, 한화, 제일제당, KT 등
-삼성그룹의 경우: 1994년, 삼성 모든 계열사에 삼성사회봉사단 조직. 자원봉사업무 담당 전담직원 배치.
3. 1998년, 20여개의 대표적 기업들이 기업봉사실무협의회 결성 - 서로간 정보교환과 네트워킹을 위해 정기적인 모임을 가짐
4. 전국경제인연합회에서 실시한 기업의 자원봉사자 지원에 관한 조사 결과 : 총 143개기업 中
-2개 기업이 직원들 자원봉사활동을 위해 휴직 허용
-7개 기업이 자원봉사 휴가제도 시행
-19개 기업이 자원활동에 대한 인정 프로그램 가짐
-15개 기업이 직원들에게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정보 제공
5. 언론사 : 중앙일보사의 경우 1994년부터 매년 \'자원봉사 대축제\' 실시. 자원봉사관련 기사 지속적 게재.
6. 예: 삼성SDS - 청소년 수감자들에게 컴퓨터교육 실시하여 수료증 부여
28. 자원봉사활동의 세계적 추세
① 자원봉사활동의 확산: 정부 재정에 의한 복지시책이 축소되자 어려운 이웃을 돌보는 민간의 자선운동, 자원봉사활동이 활발해졌으며 그와 더불어 자본주의의 무한 성장주의를 비판해 녹색혁명으로 대변되는 환경운동, 제3세계 인권운동 등의 시민운동이 활발히 대두. 미. 일. 유럽 등의 선진국에서 자원봉사활동은 사회 전반에 급속히 확대되고 있음.
② 자원봉사활동의 제도화: 자원봉사활동을 단순히 복지적 차원만이 아닌 인간성 및 공동체의 회복 메커니즘으로 파악하면서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각종 제도화 노력이 등장. 정부가 공공정책의 일환으로 자원봉사활동을 육성하거나 기업 등 민간이 조직적으로 참여하는 형태를 띠고 있음
③ 기업자원봉사활동 육성: 기업자원봉사활동도 70년대 이후 두두러진 자원봉사활동 제도화 움직임 중의 하나임. 사원들의 인성개발, 지역사회에 대한 이미지 홍보, 봉사활동을 통해 팀
추천자료
자원봉사론 - 청소년 문제 해결을 위한 자원봉사의 활용
[자원봉사론] 자원봉사의 유형을 논하시오.
【자원봉사론4A】외국의 국가 중 자원봉사활동이 잘 되고 있는 국가의 현황,특징,시사점
[자원봉사론 D형] 현대사회의 여러 가지 사회문제 중 중년(여성, 남성)문제 해결을 위해 자원...
[자원봉사론]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문제
[자원봉사론] 기업, 다문화, 노인, 장애인, 청소년 중 하나의 분야를 선택하여 자원봉사 ...
자원봉사론 공통) 1. 본인이 관심 있는 외국의 자원봉사활동 사례를 선정하여 1). 선정이유와...
자원봉사론_여성 자원봉사자들의 의미, 주 활동영역, 여성영향, 사례 등을 서술하시오.
자원봉사론_청소년 자원봉사대상으로 한 면담과 의사소통가치의 사전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시오
자원봉사론_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자원봉사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에 대해 의견을 작성...
자원봉사론]우리나라 현 시점에서 자원봉사의 실태에 대해 논하시오( (장점, 단점, 해결방안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