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 목표
2.관련 장비
3.관련 이론
4.실험 및 결과
2.관련 장비
3.관련 이론
4.실험 및 결과
본문내용
의 법칙으로 구하면 다음과 같다
IL= = = 0.995mA
그림 2-2는 전압원을 전류원으로 바꾼 회로도이다.
여기서도 IL값은 전류분배 법칙으로 구할수 있다.
IL=×I = ×1mA = 0.995mA
[그림2-1]의 회로도에서 VL값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VL = ×E = ×10V = 46.78mV
※ RL 저항 값이 100Ω 일경우
저항
이론값(Ω)
모의 실험값(Ω)
RL
100
100
IL
0.990mA
0.990mA
VL
99.0mV
99.0mV
IL은 옴의 법칙으로 구하면 다음과 같다
IL= = = 0.990mA
그림 3-2는 전압원을 전류원으로 바꾼 회로도이다.
여기서도 IL값은 전류분배 법칙으로 구할수 있다.
IL=×I=×1mA = 0.990mA
[그림 2-1]의 회로도에서 VL값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VL=× E = × 10V =99.0mV
▶RL 저항 값이 220 일경우
저항
이론값
모의 실험값
RL
220Ω
220Ω
IL
0.978mA
0.978mA
VL
215.2mV
215.2mV
IL은 옴의 법칙으로 구하면 다음과 같다
IL= = = 0.978mA
그림 3-2는 전압원을 전류원으로 바꾼 회로도이다.
여기서도 IL값은 전류분배 법칙으로 구할수 있다.
IL=×I=×1mA = 0.978mA
[그림 4-3] 의 회로도에서 VL값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VL=×E = × 10V =215.2mV
Part 2. Determining Rn and In
저항
이론값
모의 실험값
R
3.3kΩ
3.3kΩ
R
330Ω
330Ω
R
220Ω
220Ω
R
47Ω
47Ω
R = +R3 = + 220Ω = 520Ω
이론값
모의 실험값
IN
2.098mA
2.098mA
vab
90.24mV
90.43mV
IL
1.924mA
1.924mA
RT = +R1 = + 3.3kΩ = 3432Ω
I===3.497mA
IN은 전류 분배 법칙으로 구할수 있다.
총 전류 3.497 mA가 저항 330Ω과 220Ω으로 나누어지므로 IN 의 전류는 다음과 같다.
I = ×3.497 = ×3.497 = 2.098 mA
노튼의 등가 회로로 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아래에 있는 회로에서 IL값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IL=×IN = ×2.098 = 1.924 mA
R에 흐르는 전압 Vab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Vab = I×R = 1.924mA × 47Ω = 90.24mV
R가 10kΩ이고 구한 IN값이 2.098mA 이므로 전압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E = I× RS = 10kΩ × 2.098 mA 21(V)가 된다.
[Norton equivalent circuit] [Norton equivalent circuit]
RN이 520Ω 이므로 IL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IL = ×I = ×2.098 mA =0.917×2.098 =1.92mA
Vab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Vab= I × R = 1.92mA × 47V = 90.24 mV
※ RL을 100Ω으로 바꾸었을 경우
IL과 Vab 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IL = ×IN = ×2.098 mA =0.839×2.098 =1.760mA
Vab= I × R = 1.760 mA × 100Ω = 176 mV
part 2 . 모의 실험값
Part 3. Source Conversion
ETh = IN × RN =2.098mV × 520Ω×= 1.09(V)
이론값
모의 실험값
vab
90.47mV
90.35mV
IL
1.922mA
1.922mA
Vab, IL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Vab == × 1.09 V =0.083 ×1.09 = 90.47 mV
IL= == 1.922mA
IL= = = 0.995mA
그림 2-2는 전압원을 전류원으로 바꾼 회로도이다.
여기서도 IL값은 전류분배 법칙으로 구할수 있다.
IL=×I = ×1mA = 0.995mA
[그림2-1]의 회로도에서 VL값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VL = ×E = ×10V = 46.78mV
※ RL 저항 값이 100Ω 일경우
저항
이론값(Ω)
모의 실험값(Ω)
RL
100
100
IL
0.990mA
0.990mA
VL
99.0mV
99.0mV
IL은 옴의 법칙으로 구하면 다음과 같다
IL= = = 0.990mA
그림 3-2는 전압원을 전류원으로 바꾼 회로도이다.
여기서도 IL값은 전류분배 법칙으로 구할수 있다.
IL=×I=×1mA = 0.990mA
[그림 2-1]의 회로도에서 VL값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VL=× E = × 10V =99.0mV
▶RL 저항 값이 220 일경우
저항
이론값
모의 실험값
RL
220Ω
220Ω
IL
0.978mA
0.978mA
VL
215.2mV
215.2mV
IL은 옴의 법칙으로 구하면 다음과 같다
IL= = = 0.978mA
그림 3-2는 전압원을 전류원으로 바꾼 회로도이다.
여기서도 IL값은 전류분배 법칙으로 구할수 있다.
IL=×I=×1mA = 0.978mA
[그림 4-3] 의 회로도에서 VL값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VL=×E = × 10V =215.2mV
Part 2. Determining Rn and In
저항
이론값
모의 실험값
R
3.3kΩ
3.3kΩ
R
330Ω
330Ω
R
220Ω
220Ω
R
47Ω
47Ω
R = +R3 = + 220Ω = 520Ω
이론값
모의 실험값
IN
2.098mA
2.098mA
vab
90.24mV
90.43mV
IL
1.924mA
1.924mA
RT = +R1 = + 3.3kΩ = 3432Ω
I===3.497mA
IN은 전류 분배 법칙으로 구할수 있다.
총 전류 3.497 mA가 저항 330Ω과 220Ω으로 나누어지므로 IN 의 전류는 다음과 같다.
I = ×3.497 = ×3.497 = 2.098 mA
노튼의 등가 회로로 구성하면 다음과 같다.
아래에 있는 회로에서 IL값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IL=×IN = ×2.098 = 1.924 mA
R에 흐르는 전압 Vab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Vab = I×R = 1.924mA × 47Ω = 90.24mV
R가 10kΩ이고 구한 IN값이 2.098mA 이므로 전압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E = I× RS = 10kΩ × 2.098 mA 21(V)가 된다.
[Norton equivalent circuit] [Norton equivalent circuit]
RN이 520Ω 이므로 IL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IL = ×I = ×2.098 mA =0.917×2.098 =1.92mA
Vab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Vab= I × R = 1.92mA × 47V = 90.24 mV
※ RL을 100Ω으로 바꾸었을 경우
IL과 Vab 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IL = ×IN = ×2.098 mA =0.839×2.098 =1.760mA
Vab= I × R = 1.760 mA × 100Ω = 176 mV
part 2 . 모의 실험값
Part 3. Source Conversion
ETh = IN × RN =2.098mV × 520Ω×= 1.09(V)
이론값
모의 실험값
vab
90.47mV
90.35mV
IL
1.922mA
1.922mA
Vab, IL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Vab == × 1.09 V =0.083 ×1.09 = 90.47 mV
IL= == 1.922mA
추천자료
중첩의 원리
노턴의 정리 예비, 결과보고서
[예비보고서] 2. 전기회로 기본원리 II
Thevenin과 Norton의 등가 회로와 회로 정리
회로망의 제정리
기초전기전자공학실험 8장 예비보고서
전기회로 기본원리 Ⅱ
기초회로실험 결과 리포트 테브닌 노턴정리
설계 레포트(테브닌 회로)
테브난 노턴의 정리
[기초회로실험] 테브닌-노턴(Thevenin & Norton 정리)정리
[정보통신 실습] 테브냉의 정리(Thevenin’s theorem) & 실험, 노턴의 정리(Norton`s Theo...
실험 11 노턴의 정리,실험 목적
옴의 법칙 및 테브난 노턴 정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