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❶.근대경제학 이전의 변천
⑴ 원시 공동체의 경제 생활
⑵ 고대 노예제 사회
⑶ 중세 봉건제 사회
⑷근대 이전의 경제학설-스콜라 주의
❷. 근대 경제학의 변천
⑴도입
⑵고전학파
⑶역사학파
⑷한계효용학파
⑸ 신고전학파
❸.현대경제학의 변천
⑴ 케인즈학파
⑵ 통화주의학파
⑶ 새고전파 (합리적 기대학파)
⑷ 공급중시학파
❹. 근대 및 현대 경제학의 변천의 주류*비주류 경제학 구분
1.주류 경제학
⑴ 고전학파
⑵ 한계효용학파
⑶ 신고전학파 (neo-classical school)
⑷ 케인즈 학파 (Keynesian school)
2. 비주류 경제학의 변천
⑴ 역사학파(historische Schu
⑵ 마르크스 경제학파
⑶ 제도학파(institutional school)
3. 비주류 경제학의 생성배경
❺. 주류*비주류 구분의 비판
⑴ 원시 공동체의 경제 생활
⑵ 고대 노예제 사회
⑶ 중세 봉건제 사회
⑷근대 이전의 경제학설-스콜라 주의
❷. 근대 경제학의 변천
⑴도입
⑵고전학파
⑶역사학파
⑷한계효용학파
⑸ 신고전학파
❸.현대경제학의 변천
⑴ 케인즈학파
⑵ 통화주의학파
⑶ 새고전파 (합리적 기대학파)
⑷ 공급중시학파
❹. 근대 및 현대 경제학의 변천의 주류*비주류 경제학 구분
1.주류 경제학
⑴ 고전학파
⑵ 한계효용학파
⑶ 신고전학파 (neo-classical school)
⑷ 케인즈 학파 (Keynesian school)
2. 비주류 경제학의 변천
⑴ 역사학파(historische Schu
⑵ 마르크스 경제학파
⑶ 제도학파(institutional school)
3. 비주류 경제학의 생성배경
❺. 주류*비주류 구분의 비판
본문내용
개인의 경제행위 대신 집단행위의 조직체인 제도 또는 고잉컨선(going concern)을 주장한 점에 있다.
③ Wesley Clair Mitchell [1874~1948] : 화폐수량과 물가수준의 관계, 특히 미국지폐사에 관해서 주목할만한 연구결과를 남겼으나 그의 불후의업적은 경기순환의 통계적 연구였다, 경기순환은 단순한 총체적 활동의 변동이 아니라경제 전반에 걸쳐 널리 확상되어있는 변동이고, 또한 그것은 균형으로부터의 우발적 괴리가 아니라 경제기구 그 자체의 자생적 변동이라 생각하고, 그 이론에 대하여 방대한 시계열자료를 구사한 면밀상세한 검토를 하였다. 경기순환의 분석과 예측에 관한 방식에 관한 업적은 높이 평가된다. 또 공황과 불황의 주기적 발생은 자본주의 경제의 자동적 기능이 결함을 내포하고있는 증거라고 생각했으며, T.B 베블런 등과 더불어 제도학파의 중요한 한 사람이었다.
주저에 《미국 지폐사(A Histiry of the Greenbanks)》(1903),《금가격임금(Gold,Prices and Wages》(1908),《경기순환과 그 원인(Business Cycles:The Problems and its Setting)》(1927), A.F.번스와 공저한《경기순환계측(Measuring Business Cycles)》(1947) 등이 있다.
3. 비주류 경제학의 생성배경
지난 세기 종래의 경제학은 국민경제, 계급간 이해관계를 다루는 정치경제학이었으나 한계효용학파 이후 계급 대신 개인을 분석의 대상으로, 수학을 분석도구로 하여 경제학을 순수 정밀과학으로 만들었다. 비주류경제학의 계보는 리카도의 노동가치설과 고전파 이론이 선진국경제만을 반영하는데 반기를 든 독일역사학파의 리스트로부터 비롯한다.
맑스는 알다시피 영국의 고전파 경제학을 깊게 연구하여 자본주의 체제를 구명하고 이것은 레닌의 제국주의론으로 이어지며 현대의 맑시스트, 급진파,종속학파 등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19세기말 20세기 초에 독일 역사학파와 같이 진화론적 접근방법을 사용신고전파 경제학을 비판한 조류가 베블렌 등의 미국 제도학파다. 이들은 신고전파 경제학이 제도적 요인을 무시한 제한된 이론에 불과하며 문화 사회의 발달과 경제제도와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진화론적인 경제학을 확립하여 점진적인 사회,경제제도의 개혁을 주장하였다. 제도학파는 현대 급진파 이론과 제도주의자, 종속학파에 영향을 미쳤는데 이중 종속학파는 20세기에서 선진국과 후진국간 교역조건이 악화되는 측면에 주목하여 이 남북관계를 지배-종속의 관계로 파악하고 있다. 즉 자본주의 체제에서 선진국은 중심부를 형성하고 후진국은 주변부를 형성하며 1차생산물의 수출국인 주변부와 2차생산물을 수출하는 중심부와의 소득 격차는 점점 커지고 결과적으로 주변부는 중심부에 경제적으로 종속된다는 이론이다. 싱거, 바란, 산토스, 프랭크, 아민 등이 손꼽힌다.
. 주류*비주류 구분의 비판
먼저 비주류의 생성 이유를 생각해 보건데, 주류경제학에(산업혁명후의 자본주의)대한 염증 때문일 것이다.
제3계급에 의한 프랑스혁명 후 산업혁명을 거쳐 가면서 \'시민\'의 권위는 점차 오르고 은행가나 상인의 세력이 커져가면서 점차 부의 집중이 심화되고 그러면서 빈부격차는 커져만 가고, 빈부 격차는 또한 커졌다.
그래서 독일의 맑스, 러시아의 레닌, 중국의 등소평등이 사회주의라는 것을 만들며 인민의 지지를 받아 등장하게 된 것이다. 경제학에는 아담스미스의 국부론에서 시작한 자유시장경제하고 마르크스의 자본론으로 시작한 공산주의 두개가 있다. 자유 시장 경제는 굳이 이론으로 정립하지 않아도 사회현상이 자연적으로 흘러갈 수밖에 없는 현상이지만 마르크스의 자본론은 비록지금은 비주류 경제학으로 분류되지만 이 세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책이 아닌가 생각한다. 그래서 흔히들 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대한민국 또는 미국, 일본 등은 자유방임주의 경제체제아래 민주주의 가 실현된 것이고 북한이나 구소련 중국 등은 마르크스의 자본론을 택해서 공산주의가 된 것이라고 보면 될 것이다.
마르크스는 그의 이론 자본론에서 자본주의 국가는 결국에는 사회체제가 붕괴된다는 이론을 가정하고 있었고 이 시대에 사람들 중에 특히나 민중들 지금으로 말하면 저소득층 또는 피 지배계급에게 엄청난 파급효과를 불러왔고 이 사상으로 인해 전 세계는 많은 몸살을 알았었다고 보면 될 것이다. 그러니까 주류 경제학은 간단히 말해서 자본주의 국가가 택하고 있는 경제주의 체제 또는 거의 대부분의 나라에서 택한 경제체제 라고 보면 될 것이다.
주류 경제학과 비주류 경제학의 차이점은 지금 경제학계에서 지배적 위치에 있는 경제학을
주류경제학이라고 하며 그렇지 못 한 것을 비주류 경제학으로 두고 있다. 이것은 지금 현시대의
관점을 통해서 분리된 것이지 절대적이라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지금은 비주류 경제학쪽으로 분리 되어 있는 독일에서 탄생한 역사학파에 의한 경제사 연구는 당시의 낭만주의 풍조 아래 국민의 개성적 통일의 핵심으로서 국민정신을 생각하고, 그 본질을 개별적인 역사연구로 해명하려는 것이었으며, 역사적 개체성을 강조하는 역사주의의 입장에 선 것이었다. 이는 동시에 선진 자본주의 국가인 영국의 고전파 경제학에 대해, 후진국 독일의 입장에서 자본주의 이론을 수립하겠다는 의욕을 담은 것이었다. 그리하여 인류의 역사를 경제적 특질에 따라 종합적·단계적으로 파악하고, 각경제단계에서의 이론과 정책을 확인하며, 궁극적으로는 인류의 입장에 도달하는 보편적 경제발전 이론을 확립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것을 볼 때 역사학파의 시도 역시 그 시대에는 주류 경제학 쪽으로 분리 되어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 역사학파의 모순점 즉 역사학파의 연구가 방법론적으로 보편화(이론적)와 개별화(역사적)라는 본래 서로 모순 되는 경향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기에 지금은 비주류로 남아 있는 것이다. 하지만 먼 훗날 지금의
주류 경제학인 고전학파, 케인즈학파, 신고전학파 역시 모순점이 발견 될 수 있으며 이들 또한 비주류 경제학으로 정착하게 될지도 모른다. 이러한 점을 볼 때 지금의 주류 경제학을 불변의 진리라고 믿을 수는 없을 것이다
③ Wesley Clair Mitchell [1874~1948] : 화폐수량과 물가수준의 관계, 특히 미국지폐사에 관해서 주목할만한 연구결과를 남겼으나 그의 불후의업적은 경기순환의 통계적 연구였다, 경기순환은 단순한 총체적 활동의 변동이 아니라경제 전반에 걸쳐 널리 확상되어있는 변동이고, 또한 그것은 균형으로부터의 우발적 괴리가 아니라 경제기구 그 자체의 자생적 변동이라 생각하고, 그 이론에 대하여 방대한 시계열자료를 구사한 면밀상세한 검토를 하였다. 경기순환의 분석과 예측에 관한 방식에 관한 업적은 높이 평가된다. 또 공황과 불황의 주기적 발생은 자본주의 경제의 자동적 기능이 결함을 내포하고있는 증거라고 생각했으며, T.B 베블런 등과 더불어 제도학파의 중요한 한 사람이었다.
주저에 《미국 지폐사(A Histiry of the Greenbanks)》(1903),《금가격임금(Gold,Prices and Wages》(1908),《경기순환과 그 원인(Business Cycles:The Problems and its Setting)》(1927), A.F.번스와 공저한《경기순환계측(Measuring Business Cycles)》(1947) 등이 있다.
3. 비주류 경제학의 생성배경
지난 세기 종래의 경제학은 국민경제, 계급간 이해관계를 다루는 정치경제학이었으나 한계효용학파 이후 계급 대신 개인을 분석의 대상으로, 수학을 분석도구로 하여 경제학을 순수 정밀과학으로 만들었다. 비주류경제학의 계보는 리카도의 노동가치설과 고전파 이론이 선진국경제만을 반영하는데 반기를 든 독일역사학파의 리스트로부터 비롯한다.
맑스는 알다시피 영국의 고전파 경제학을 깊게 연구하여 자본주의 체제를 구명하고 이것은 레닌의 제국주의론으로 이어지며 현대의 맑시스트, 급진파,종속학파 등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19세기말 20세기 초에 독일 역사학파와 같이 진화론적 접근방법을 사용신고전파 경제학을 비판한 조류가 베블렌 등의 미국 제도학파다. 이들은 신고전파 경제학이 제도적 요인을 무시한 제한된 이론에 불과하며 문화 사회의 발달과 경제제도와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진화론적인 경제학을 확립하여 점진적인 사회,경제제도의 개혁을 주장하였다. 제도학파는 현대 급진파 이론과 제도주의자, 종속학파에 영향을 미쳤는데 이중 종속학파는 20세기에서 선진국과 후진국간 교역조건이 악화되는 측면에 주목하여 이 남북관계를 지배-종속의 관계로 파악하고 있다. 즉 자본주의 체제에서 선진국은 중심부를 형성하고 후진국은 주변부를 형성하며 1차생산물의 수출국인 주변부와 2차생산물을 수출하는 중심부와의 소득 격차는 점점 커지고 결과적으로 주변부는 중심부에 경제적으로 종속된다는 이론이다. 싱거, 바란, 산토스, 프랭크, 아민 등이 손꼽힌다.
. 주류*비주류 구분의 비판
먼저 비주류의 생성 이유를 생각해 보건데, 주류경제학에(산업혁명후의 자본주의)대한 염증 때문일 것이다.
제3계급에 의한 프랑스혁명 후 산업혁명을 거쳐 가면서 \'시민\'의 권위는 점차 오르고 은행가나 상인의 세력이 커져가면서 점차 부의 집중이 심화되고 그러면서 빈부격차는 커져만 가고, 빈부 격차는 또한 커졌다.
그래서 독일의 맑스, 러시아의 레닌, 중국의 등소평등이 사회주의라는 것을 만들며 인민의 지지를 받아 등장하게 된 것이다. 경제학에는 아담스미스의 국부론에서 시작한 자유시장경제하고 마르크스의 자본론으로 시작한 공산주의 두개가 있다. 자유 시장 경제는 굳이 이론으로 정립하지 않아도 사회현상이 자연적으로 흘러갈 수밖에 없는 현상이지만 마르크스의 자본론은 비록지금은 비주류 경제학으로 분류되지만 이 세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책이 아닌가 생각한다. 그래서 흔히들 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대한민국 또는 미국, 일본 등은 자유방임주의 경제체제아래 민주주의 가 실현된 것이고 북한이나 구소련 중국 등은 마르크스의 자본론을 택해서 공산주의가 된 것이라고 보면 될 것이다.
마르크스는 그의 이론 자본론에서 자본주의 국가는 결국에는 사회체제가 붕괴된다는 이론을 가정하고 있었고 이 시대에 사람들 중에 특히나 민중들 지금으로 말하면 저소득층 또는 피 지배계급에게 엄청난 파급효과를 불러왔고 이 사상으로 인해 전 세계는 많은 몸살을 알았었다고 보면 될 것이다. 그러니까 주류 경제학은 간단히 말해서 자본주의 국가가 택하고 있는 경제주의 체제 또는 거의 대부분의 나라에서 택한 경제체제 라고 보면 될 것이다.
주류 경제학과 비주류 경제학의 차이점은 지금 경제학계에서 지배적 위치에 있는 경제학을
주류경제학이라고 하며 그렇지 못 한 것을 비주류 경제학으로 두고 있다. 이것은 지금 현시대의
관점을 통해서 분리된 것이지 절대적이라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지금은 비주류 경제학쪽으로 분리 되어 있는 독일에서 탄생한 역사학파에 의한 경제사 연구는 당시의 낭만주의 풍조 아래 국민의 개성적 통일의 핵심으로서 국민정신을 생각하고, 그 본질을 개별적인 역사연구로 해명하려는 것이었으며, 역사적 개체성을 강조하는 역사주의의 입장에 선 것이었다. 이는 동시에 선진 자본주의 국가인 영국의 고전파 경제학에 대해, 후진국 독일의 입장에서 자본주의 이론을 수립하겠다는 의욕을 담은 것이었다. 그리하여 인류의 역사를 경제적 특질에 따라 종합적·단계적으로 파악하고, 각경제단계에서의 이론과 정책을 확인하며, 궁극적으로는 인류의 입장에 도달하는 보편적 경제발전 이론을 확립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것을 볼 때 역사학파의 시도 역시 그 시대에는 주류 경제학 쪽으로 분리 되어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 역사학파의 모순점 즉 역사학파의 연구가 방법론적으로 보편화(이론적)와 개별화(역사적)라는 본래 서로 모순 되는 경향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기에 지금은 비주류로 남아 있는 것이다. 하지만 먼 훗날 지금의
주류 경제학인 고전학파, 케인즈학파, 신고전학파 역시 모순점이 발견 될 수 있으며 이들 또한 비주류 경제학으로 정착하게 될지도 모른다. 이러한 점을 볼 때 지금의 주류 경제학을 불변의 진리라고 믿을 수는 없을 것이다
추천자료
신제도학파 경제학의 접근방법과 관련지어 코즈 정리에 관해 설명해 보라.
신고전학파 경제학
마르크스 경제학에 관한 고찰
[제도경제학E형]주인-대리인모형에 관해 설명해 보고 그것을 이용해 공개법인이 안고 있는 약...
화폐 경제학
[복지경제학] 시장원리 (시장경제체제 특징, 원리, 평가)
[미시경제학] 대형마트 및 기업형 슈퍼마켓의 시장 지배
거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적 주요 쟁점들
문화 경제학 - 김우정의 관점에서 바라본 예술경영인의 입장
착각의 경제학 독후감 감상문 서평 요약 세일러 !!!!
[경제학개론] 자원배분의 효율성과 시장실패,인플레이션과 실업에 대해 설명하시오.
소비자의 경제학 - 효용과 무차별곡선, 소비자 균형, 소비자 잉여, 여가의 선택, 생산자 잉여
멘큐의 경제학으로 본 대형마트
[경제학개론] 시장실패의 정의를 내리고 시장실패의 원인과 해결방안을 제시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