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M&A의 의의
2. M&A의 개념
3. M&A의 동기 이론
4. M&A 유형
5. M&A 흐름도
6. M&A의 실제사례
7. M&A의 효과
2. M&A의 개념
3. M&A의 동기 이론
4. M&A 유형
5. M&A 흐름도
6. M&A의 실제사례
7. M&A의 효과
본문내용
경영자가 주주의 목표와 주주의 목표와 이익을 위해서가 아닌 경영자 자신의 목표인 경영자적 동기(managerial motive)에 의해서 일어나게 된다는 것이다. 즉, 기업의 소유와 경영이 분리된 경우 주주의 목표가 이윤의 극대화인 반면 경영자는 매출의 극대화와 외적인 성장에 더욱 큰 관심을 보이게 될 때 M&A가 일어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기업은 기업가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경제주체(going concern) 로서 M&A가 경제적 타당성이 있을 때만 M&A에 응하게 된다.
M&A의 동기에 관한 위의 설명은 각 기업의 특수상황에서는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다. 흔히들 M&A의 형태에 따른 분류에 의해 M&A가 일어날때의 결합상태인 수평적M&A, 수직적M&A, 혼합적M&A, 및 투자론적 M&A 등으로 나누어서 그 동기를 분석해보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4. M&A 유형
(1) M&A의 형태
다양한 동기의 M&A는 실제 발생될 때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거래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거래당사자가 기업만이 아니고 기업내의 경영 투자은행 및 기타의 일반 전문 투자자 등도 M&A 거래에 참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가장 보편적인 M&A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1) 거래형태의 의한 분류
M&A 합병 - 흡수합병 (Merger)
신설합병 (Consolidation)
인수(Acquisition)
주식취득 - 대주주 주식지분의 취득, 주식시장에서의 취득
공개매수(Tender offer) 등
자산취득
영업취득
구조재편성 (Restructuring)
매각처분 (Divestiture)
LBO (Leveraged Buyout)
① 합병
합병이란 기업의 외적성장 (External growth)에 있어서 가장 전형적인 수단으로 서로 독립된 2 개 이상의 기업이 완전히 일체화되어 새로운 법인체가 형성되는 것이다.
a) 흡수합병
2개 이상의 합병기업중 1개 기업만이 합병후에 법률적으로 존속되는 형태임
b) 신설합병
2개 이상의 기업이 모두 해산, 소멸되고 새로운 형태의 기업이 해산된 기업의 법률적 지위 (legal status)를 승계함.
② 인수 (Acquisition)
a) 주식취득
인수기업이 피인수기업의 주식을 취득하지만 흡수합병하지는 않고 피인수기업을 지배하는 경우로 그 방법으로는 대주주 주식지분의 취득, 주식시장에서의 취득 및 공개매수(Tender offer)등이 있다.
b) 자산취득
인수기업이 피인수기업의 자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취득하는 것으로 피인수기업은 존속하게 되는 상태임.
c) 영업인수
인수 기업이 피인수기업의 영업의 일부 혹은 전부를 취득하는 것으로 영업활동을 위해서 기능 및 재산상의 일체 (고정자산, 영업활동에 관계된 제반관리, 의무 경영조직)를 승계한다.
③ 구조 재편성(Restructuring)
기업이 경영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혹은 외부투자가들로부터 인수 공격을 피하기 위해서 기업의 영업활동 또는 재무구조를 변경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a) 매각처분
어떤 기업의 생산시설중 일부공정, 또는 사업부문 혹은 자산의 일부 등을 매각하는 것을 의미한다.
. Self-Off(자산 일부매각) : 기업자산 일부를 타기업, 외부투자자, 경영진의 일부에게 분할 매각하는 형태.
. Spin-Offs(기업분가) : 계열관계의 지주기업, 종속기업 관계를 대등한 관계의 별도 법인으로 독립시키는 형태.
. Spilt-Offs(주주분할) : 일부 주주들이 소유하고 있는 지주회사 (Holding Company)의 주식을 지주회사에 주고 그 대가로 지주회사에 종속되어 있는 종속회사 (Subsidiary)의 주식을 받음으로써 주주집단을 분할하는 형태임.
. Swap(자산분할) : 일부 주주들이 소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업측에 되돌려 주고 그 대가로 그 기업의 일부자산을 받는 형태임
. Split-ups (지주회사의 분할) : 주주들이 지주회사의 주식을 100% 소유하고 있는 경우 일부 주주에게는 한 종속회사의 주식 100%를 주고 다른 주주에게는 또다른 종속회사의 주식 100%를 줌으로써 지주회사는 서로 달리 분할되게 되는 형태임.
b) L B O (Leveraged Buyout)
부채에 의한 기업인수란 뜻으로 해석되는 것으로 인수자가 인수대상기업의 자산을 담보로 자금을 차입하여 대상기업을 인수한 후 그 기업의 이익금이나 자산의 매각대금으로 차입금을 상환해나가는 기업인수 방법인 것이다. 이때 보통 총인수 자금의 70%-90%까지도 차입을 통해 이루어지기 전에 인수기업은 쉽게 M&A를 할 수 있으며 이는 미국의 M&A 시장을 크게 활성화시킨 요인이었다.
(2) 거래 당사자간의 거래성격에 의한 분류
1) 우호적 M&A
인수기업의 인수활동이 피인수기업의 경영진의 동의하에 진행되어 쌍방의 협상에서 인수조건등 이 결정될 때의 M&A를 말한다.
2) 적대적 M&A
인수기업이 피인수기업의 경영진 동의 없이 강압적 수단에 의해 피인수기업을 인수, 합병하는 것을 의미.
a) 위임장 대결(Proxy Fight)
어떤 특정기업을 인수하고자 하는 측이 대상기업의 일부 주식만을 확보한 후 기존의 주주들로 의결권을 위임받아 주주총회에서 투표를 통해 경영원을 확보한다. 이것은 보통 인수대상기업의 전직 경영진 또는 기업내용을 잘 알고있는 외부투자자가 이를 활용하여 현직 경영진은 방적인 입장에서 주주들의 위임장을 얻으려고 함에 위임장을 놓고 인수자측과 현직경영진이 대결하게 되는 것이다.
b) 공개매수 (Tender Offer)
인수를 시도하는 측이 위임장 대결을 벌이지 않고 목표기업의 주식을 주주들로부터 직접 매수하여 과반수 이상의 주식을 확보함으로써 경영권을 장악하는 것을 말한다.
5. M&A 흐름도
6. M&A의 실제사례
1) M&A성공사례
① 벤츠(benz)와 크라이슬러(chysler)의 합병
유럽 통화통합을 위한 치열한 준비가 가속화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독일 다임러벤츠사 미국 크라이슬러사가 전격 합병했다. 쌍방은 합병 후 이름 문제로 옥신각신했다.
다임러벤츠사가 크라이슬러사를 인수.합병(M&A)하기 때문에 자기 이름을
M&A의 동기에 관한 위의 설명은 각 기업의 특수상황에서는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다. 흔히들 M&A의 형태에 따른 분류에 의해 M&A가 일어날때의 결합상태인 수평적M&A, 수직적M&A, 혼합적M&A, 및 투자론적 M&A 등으로 나누어서 그 동기를 분석해보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4. M&A 유형
(1) M&A의 형태
다양한 동기의 M&A는 실제 발생될 때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거래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거래당사자가 기업만이 아니고 기업내의 경영 투자은행 및 기타의 일반 전문 투자자 등도 M&A 거래에 참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가장 보편적인 M&A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1) 거래형태의 의한 분류
M&A 합병 - 흡수합병 (Merger)
신설합병 (Consolidation)
인수(Acquisition)
주식취득 - 대주주 주식지분의 취득, 주식시장에서의 취득
공개매수(Tender offer) 등
자산취득
영업취득
구조재편성 (Restructuring)
매각처분 (Divestiture)
LBO (Leveraged Buyout)
① 합병
합병이란 기업의 외적성장 (External growth)에 있어서 가장 전형적인 수단으로 서로 독립된 2 개 이상의 기업이 완전히 일체화되어 새로운 법인체가 형성되는 것이다.
a) 흡수합병
2개 이상의 합병기업중 1개 기업만이 합병후에 법률적으로 존속되는 형태임
b) 신설합병
2개 이상의 기업이 모두 해산, 소멸되고 새로운 형태의 기업이 해산된 기업의 법률적 지위 (legal status)를 승계함.
② 인수 (Acquisition)
a) 주식취득
인수기업이 피인수기업의 주식을 취득하지만 흡수합병하지는 않고 피인수기업을 지배하는 경우로 그 방법으로는 대주주 주식지분의 취득, 주식시장에서의 취득 및 공개매수(Tender offer)등이 있다.
b) 자산취득
인수기업이 피인수기업의 자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취득하는 것으로 피인수기업은 존속하게 되는 상태임.
c) 영업인수
인수 기업이 피인수기업의 영업의 일부 혹은 전부를 취득하는 것으로 영업활동을 위해서 기능 및 재산상의 일체 (고정자산, 영업활동에 관계된 제반관리, 의무 경영조직)를 승계한다.
③ 구조 재편성(Restructuring)
기업이 경영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혹은 외부투자가들로부터 인수 공격을 피하기 위해서 기업의 영업활동 또는 재무구조를 변경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a) 매각처분
어떤 기업의 생산시설중 일부공정, 또는 사업부문 혹은 자산의 일부 등을 매각하는 것을 의미한다.
. Self-Off(자산 일부매각) : 기업자산 일부를 타기업, 외부투자자, 경영진의 일부에게 분할 매각하는 형태.
. Spin-Offs(기업분가) : 계열관계의 지주기업, 종속기업 관계를 대등한 관계의 별도 법인으로 독립시키는 형태.
. Spilt-Offs(주주분할) : 일부 주주들이 소유하고 있는 지주회사 (Holding Company)의 주식을 지주회사에 주고 그 대가로 지주회사에 종속되어 있는 종속회사 (Subsidiary)의 주식을 받음으로써 주주집단을 분할하는 형태임.
. Swap(자산분할) : 일부 주주들이 소유하고 있는 주식을 기업측에 되돌려 주고 그 대가로 그 기업의 일부자산을 받는 형태임
. Split-ups (지주회사의 분할) : 주주들이 지주회사의 주식을 100% 소유하고 있는 경우 일부 주주에게는 한 종속회사의 주식 100%를 주고 다른 주주에게는 또다른 종속회사의 주식 100%를 줌으로써 지주회사는 서로 달리 분할되게 되는 형태임.
b) L B O (Leveraged Buyout)
부채에 의한 기업인수란 뜻으로 해석되는 것으로 인수자가 인수대상기업의 자산을 담보로 자금을 차입하여 대상기업을 인수한 후 그 기업의 이익금이나 자산의 매각대금으로 차입금을 상환해나가는 기업인수 방법인 것이다. 이때 보통 총인수 자금의 70%-90%까지도 차입을 통해 이루어지기 전에 인수기업은 쉽게 M&A를 할 수 있으며 이는 미국의 M&A 시장을 크게 활성화시킨 요인이었다.
(2) 거래 당사자간의 거래성격에 의한 분류
1) 우호적 M&A
인수기업의 인수활동이 피인수기업의 경영진의 동의하에 진행되어 쌍방의 협상에서 인수조건등 이 결정될 때의 M&A를 말한다.
2) 적대적 M&A
인수기업이 피인수기업의 경영진 동의 없이 강압적 수단에 의해 피인수기업을 인수, 합병하는 것을 의미.
a) 위임장 대결(Proxy Fight)
어떤 특정기업을 인수하고자 하는 측이 대상기업의 일부 주식만을 확보한 후 기존의 주주들로 의결권을 위임받아 주주총회에서 투표를 통해 경영원을 확보한다. 이것은 보통 인수대상기업의 전직 경영진 또는 기업내용을 잘 알고있는 외부투자자가 이를 활용하여 현직 경영진은 방적인 입장에서 주주들의 위임장을 얻으려고 함에 위임장을 놓고 인수자측과 현직경영진이 대결하게 되는 것이다.
b) 공개매수 (Tender Offer)
인수를 시도하는 측이 위임장 대결을 벌이지 않고 목표기업의 주식을 주주들로부터 직접 매수하여 과반수 이상의 주식을 확보함으로써 경영권을 장악하는 것을 말한다.
5. M&A 흐름도
6. M&A의 실제사례
1) M&A성공사례
① 벤츠(benz)와 크라이슬러(chysler)의 합병
유럽 통화통합을 위한 치열한 준비가 가속화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독일 다임러벤츠사 미국 크라이슬러사가 전격 합병했다. 쌍방은 합병 후 이름 문제로 옥신각신했다.
다임러벤츠사가 크라이슬러사를 인수.합병(M&A)하기 때문에 자기 이름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