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불평등과 교육에 관하여 [A+]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불평등과 교육에 관하여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회불평등에 대한 관점
▶ 사회불평등이란 무엇인가?(기능론적 시각 vs 갈등론적 시각)
1) 기능론적 시각
ⅰ) 전형적인 접근방법
ⅱ) 또 하나의 접근방법
2) 갈등론적 시각
▶ 파킨(Parkin, 1979)
▶ 계급관계에서 나타나는 2가지 형태의 사회적 폐쇄
(1) 생산적 재산에 대한 통제
(2) 특권적 지위에 대한 접근을 차단시키는 형태
3) 사회불평등과 사회적 합의 문제
ⅰ) 기능론적 관점
ⅱ) 갈등론적 관점
ⅲ) 베버(Weber)

2. 교육과 사회이동
ⅰ) 산업혁명 이전의 유럽
ⅱ) 학교교육의 통로를 통한 사회이동의 추세
▶ 근대 산업사회에서 학교교육이 사회이동의 주요 통로가 된 이유(기능주의 vs 갈등이론)
▶ 베버

3. 사회이동에 관한 경험적 연구
1) 사회이동의 개념
▶ 사회이동이란?
▶ 사회이동의 연구방법(세대내적 이동연구, 세대간 이동연구)
▶사회이동이 일어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사회의 구조적 특징
2) 사회이동에 관한 경험적 증거
▶ 소로킨(P. Sorokin)의 사회이동에 관련된 가설
(1) 폐쇄의 명제
(2) 완충지역의 명제
3) 교육의 효과에 관한 기능론적 연구
(1)지위획득 모형 연구(155p, 그림6-1)
ⅰ) 블로와 던컨(Balu&Duncan, 1967)‘미국의 직업구조’
ⅱ) 우리나라의 직업지위획득 모형(156p, 그림 6-2)
(2)위스콘신 모형
․스웰(Sewell)과 동료들
․포터(Porter, 1976)
4)교육의 효과에 대한 갈등론적 연구
(1) 연줄 모형 스탠톤
-살라자와 돈부쉬(Stanton-Salazar & Dornbusch, 1995)의 연줄 모형
-장원섭(1997)의 ‘사회적 네트워크 이론(social network theory)`
(2)노동시장 분단론 연구
-노동시장 분단론자
▶ 계급적 특성에 따른 임금효과의 차이
▶ 한국의 계급적 특성으로 인한 교육투자 수익률의 차이(Koo & Hong,1980)
▶ 이두휴(1993)의 연구

본문내용

정보를 얻어낼 수 있는 사회적 관계.
- 논의의 네가지 명제
①사회적 자본의 획득과 축적은 학생의 사회적 배경에 달려 있다.
②사회적 자본의 수준은 문화적 자본(예, 언어)의 획득과 연관.
③학업성취도가 높은 학생이 정보망에 있어 더 많은 사회적 자본 소유.
④교육과 직업에 대한 포부수준이 높은 학생이 많은 사회적 자본 소유.
- 시사점: 제도권 사람과의 연줄이 교육 성취에 어떻게 영향 주는지 시사.
- 단점 : a. 제도권 사람과의 연줄이 교육 성취에 어떻게 직간접적으로 연관되는 지 밝히지 못함.
b. 연줄을 학교 기관의 교사나 친구에게 국한하여 직업획득 과정을 밝히 는 데는 한계.
장원섭(1997)의 ‘사회적 네트워크 이론(social network theory)'
- 연줄 모형보다 포괄적으로 개인적 특성변인과 노동시장 성공과의 관계 설명.
사회적 네트워크는 개인 특성과 노동 시장에서의 성공 사이에 중간 매개자로서 개입
네트워크의 자원으로 ‘사회적 접촉’과 개인의 ‘구직행위’가 중요.
(2)노동시장 분단론 연구
노동시장 분단론자
- 기능주의론자(특히 인간자본론자)의 노동시장이 동질적경쟁적이라는 가설 반박.
- 노동 시장의 분단과 차별 존재
임금 결정 메커니즘이 생산성, 회사조직의 크기, 산업부문, 이중 노동시장 등의 구조적 요인에 영향 받음
교육의 임금결정 효과도 노동시장 어느 곳에서 일하는 가에 따라 다름
노동자의 성, 계급, 인종, 출신지역과 같은 인적 특성에 따라 차별 존재하며
교육의 임금결정 효과가 달라짐

▲계급적 특성에 따른 임금효과의 차이
라이트와 페론(Wright & Perrone, 1977)의 연구 결과; 교육투자 회수율은
고용주>관리직>노동자 순서
노동계급 출신자가 고등 교육을 받더라도 가정배경 때문에 상류계급 출신자만큼 사회적 성취 못 이룸
교육은 상층계급에는 큰 효과가 있으나 하층계급에는 큰 효과가 없음
▲한국의 계급적 특성으로 인한 교육투자 수익률의 차이(Koo & Hong,1980)
자본계급과 화이트칼라 노동계급 출신자의 교육투자 수익률이 높음(↔행상이나 일용노동자 등의 최저 수준의 노동계급 출신자는 최하의 교육투자 수익률)
화이트칼라와 블루칼라 노동자들의 교육의 다른 효과 (→신 중산계급은 노동계급 에 비해 교육 수준이 높아질 때마다 두 배 이상의 수입을 얻음. 즉, 계급은 개인 의 수입 결정에 결정적 작용)
▲이두휴(1993)의 연구- 지위 획득에 있어 교육의 효과는 학연, 지연에 따라 다름
예)같은 대학교육 수준이지만 출신학교의 소재에 따라 취업률에 큰 차이가 있음
이유①고용구조형성의 지역간 균형 상실
②관리관행의 불평등
③교육효과의 차이는 학력 인플레이션 현상이 가속화 될 때 더욱 커짐
대학학력 인플레이션→대학학력의 직업획득 효과(↓)→상대적으로
출신학교의 지역적 특성의 중요성(↑)
- 의의; ①노동시장의 구조적 분단과 그에 따른 기회구조차이의 개념을 도입하여 교육과 사회이동간의 관계에 대해 복합적 이해가 가능케 함
②인적 특성에 따른 성취기회의 구조적 차별화를 이해하게 함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4.21
  • 저작시기200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51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