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태국 역사의 동남아적 배경
2. 태국 역사의 시대구분
3. 땀난, 퐁사와단, 쁘라왓삿 - 타이인의 역사의식
4. 마하랏 - 타이인의 민족주의 사관
5. 태국 역사 연구의 문제점과 전망
2. 태국 역사의 시대구분
3. 땀난, 퐁사와단, 쁘라왓삿 - 타이인의 역사의식
4. 마하랏 - 타이인의 민족주의 사관
5. 태국 역사 연구의 문제점과 전망
본문내용
왕자로 더욱 잘 알려져 있는 태국의 저명한 학자 핏타야랍 프릇티야꼰 (Phitthayalap Phruetthiyakon)이 제공하는데, 그에 의하면 담롱 왕자가 아유타야 왕조의 민족적 영웅인 나레수언(Naresuan) 왕에게 처음으로 “마하랏”이란 칭호를 붙였고, 이것이 그후 다른 사람들에 의해서 신속하게 답습되었다.30) Phitthayalap Phruetthiyakon, “Kham nam\"(序文), in: Damrong Rachanuphap, Phra prawat somdet phra naresuan maharat (Bangkok, 1962).
여러 역사책들 간에 다소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왕”이라고 불리는 태국 왕들은 대개 위의 나레수언 (1590-1605) 외에 람캄행 (1279?-1298), 나라이 (1656-1688), 쭐라롱꼰 (1868-1910)이다.31) 이에 대해 Somphong Kriangkraiphet (ed.), Maharat lae phu mi chue siang (大王과 有名한 人物들) (Bangkok, 1960) 을 참고할 것.
람캄행(Ramkhamhaeng)의 “대왕” 칭호에는 여러가지 근거가 제시된다. 우선 그의 치세동안 수코타이의 영향력이 남쪽으로는 말레이 반도의 나콘 시 탐마랏 (Nakhon Si Thammarat)까지, 동북쪽으로는 오늘날 라오스의 루앙프라방 (Luang Prabang)과 비엉찬 (Viang Chan, 즉 Vientiane)까지, 그리고 서쪽으로는 버마 남부의 마르타반(Martaban)까지 미쳐, 그후 태국의 역사발전에서 팽창주의 정책을 추구한 타이 정부들이 가졌던 영토확장에 대한 관심의 모형을 보여주었다.32) D.K. Wyatt, Thailand - a Short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1984), pp.55-58.
또 다른 업적으로 람캄행 왕이 1283년 경 최초의 타이 문자를 만든 것을 친다. 롱 사야마난에 의하면 이 왕은 그 제정에 있어서 통일된 문자가 백성을 결합하는 힘으로서 뿐만아니라 독립국가를 위한 상징으로서 갖는 중요성을 인식했다.33) Rong Syamananda, A History of Thailand (Chulalongkorn University: Bangkok, 1981), p.26.
람캄행 왕이 수코타이 왕조의 가장 뛰어난 왕으로 간주된다면, 1932년 이전까지의 방콕 왕조의 가장 위대한 군주로서는 일반적으로 쭐라롱꼰 왕을 든다. 쁘라춤 촘차이(Prachoom Chomchai)가 “Chulalongkorn the Great\" (Tokyo, 1965) 에서 상세히 분석한 것처럼 그의 업적은 노예제도의 폐지 등 많은 사회적 개혁을 이룩한 것과 특히 19세기 말 광범위한 정치적 개혁과 효율적인 외교를 통해 유럽열강들에 의한 식민지화의 위협으로부터 국가의 독립을 지켰다는 것이다.34) 쭐라롱꼰 왕의 개혁에 대해 Cho Hung-Guk, “Die thailaendische Denkschrift des Jahres 1885 und ihre historische Bedeutung\", pp.41-54, 105-121 을 볼 것.
수코타이 왕조와 방콕 왕조에 비해 아유타야 왕조는 두 명의 “대왕”에 의해 대표된다. 첫번째는 나레수언(Naresuan) 왕으로서 그의 역사적 공적은 무엇보다도 1567년 버마의 침공으로 잃게된 국가의 주권을 다시 회복하여 아유타야 왕조의 중흥(中興)의 기틀을 마련한 데에 놓여있다.35) 나레수언 왕의 독립탈환 과정에 대해 W.A.R. Wood, A History of Siam (Bangkok, 1959), p.128 ff. 을 볼 것.
두번째 아유타야 왕조의 “마하랏”은 나라이 왕이다. 그러나 이 왕의 “대왕” 칭호에 관한 여러 태국 역사학자들의 서술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여기서 이 문제점이 상세히 논의될 것인데, 그에 앞서 우선 나라이 왕 치세의 일반적 특징과 이 왕의 중요한 정치적 활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나라이 왕 통치시대의 국내정치는 역사적으로 종종 왕좌를 위협했던 왕족과 관료사회에 대한 강력한 왕권의 유지와 이것에 바탕을 둔 안정된 정부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그러나 왕족에 대한 그의 지나치게 엄격한 통제는 그의 유일한 왕위계승 후보자들이었던 이복동생들을 모든 정치적 활동으로부터 배제했고, 이것은 그가 1688년 중병에 걸려 나라를 다스리지 못하게 되었을 때, 그의 정부의 한 권신(權臣)이었던 펫타라차(Phettharacha)가 왕위를 찬탈할 수 있었던 한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36) 이에 대해 Cho Hung-Guk, Die politische Geschichte Thailands unter der Herrschaft Koenig Narais (r.1656-1688), pp.64-88 을 볼 것.
한편 국내정치적 안정의 기반에서 나라이 정부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한 군사적 강국의 지위를 누릴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활발한 해외무역을 추진할 수 있었다.37) 이에 대해 Cho Hung-Guk, ibid., pp.159-191 와 G.V. Smith, The Dutch in Seven- teenth-Century Thailand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1977), p.73 을 볼 것.
대외정치적으로 나라이왕의 통치시대는 많은 아시아 및 유럽국가들과의 광범위하고 다양한 접촉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특히 유럽인들과의 관계는 아유타야 왕조의 전체 역사에서 가장 활발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포르투갈인, 스페인인에 이어 네델란드인, 영국인, 프랑스인들이 태국 무역에서의 이익을 위해 서로 경쟁했다. 유럽 국가들과의 이러한 무역관계로부터 외교관계가 발전했는데, 그 중 1680년대에 양국간에 수차례의 외교사절 교환으로 이끌어졌던 프랑스와의 것이 가장 화려했고 긴밀했다. 유럽인들과의 이처럼 깊고 폭넓은 관계와 관련하여 나라이 시대 태국은 그 역사에 있어서 당시 처음으로 유럽 열강들로부터 위협을 경험하게 되었다. 즉 네델란드, 영국, 프랑스는 태국에서 자신들의 무역적 이해관계를 보호하거나 확대하기 위해 군사적 수단을 사용
여러 역사책들 간에 다소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왕”이라고 불리는 태국 왕들은 대개 위의 나레수언 (1590-1605) 외에 람캄행 (1279?-1298), 나라이 (1656-1688), 쭐라롱꼰 (1868-1910)이다.31) 이에 대해 Somphong Kriangkraiphet (ed.), Maharat lae phu mi chue siang (大王과 有名한 人物들) (Bangkok, 1960) 을 참고할 것.
람캄행(Ramkhamhaeng)의 “대왕” 칭호에는 여러가지 근거가 제시된다. 우선 그의 치세동안 수코타이의 영향력이 남쪽으로는 말레이 반도의 나콘 시 탐마랏 (Nakhon Si Thammarat)까지, 동북쪽으로는 오늘날 라오스의 루앙프라방 (Luang Prabang)과 비엉찬 (Viang Chan, 즉 Vientiane)까지, 그리고 서쪽으로는 버마 남부의 마르타반(Martaban)까지 미쳐, 그후 태국의 역사발전에서 팽창주의 정책을 추구한 타이 정부들이 가졌던 영토확장에 대한 관심의 모형을 보여주었다.32) D.K. Wyatt, Thailand - a Short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1984), pp.55-58.
또 다른 업적으로 람캄행 왕이 1283년 경 최초의 타이 문자를 만든 것을 친다. 롱 사야마난에 의하면 이 왕은 그 제정에 있어서 통일된 문자가 백성을 결합하는 힘으로서 뿐만아니라 독립국가를 위한 상징으로서 갖는 중요성을 인식했다.33) Rong Syamananda, A History of Thailand (Chulalongkorn University: Bangkok, 1981), p.26.
람캄행 왕이 수코타이 왕조의 가장 뛰어난 왕으로 간주된다면, 1932년 이전까지의 방콕 왕조의 가장 위대한 군주로서는 일반적으로 쭐라롱꼰 왕을 든다. 쁘라춤 촘차이(Prachoom Chomchai)가 “Chulalongkorn the Great\" (Tokyo, 1965) 에서 상세히 분석한 것처럼 그의 업적은 노예제도의 폐지 등 많은 사회적 개혁을 이룩한 것과 특히 19세기 말 광범위한 정치적 개혁과 효율적인 외교를 통해 유럽열강들에 의한 식민지화의 위협으로부터 국가의 독립을 지켰다는 것이다.34) 쭐라롱꼰 왕의 개혁에 대해 Cho Hung-Guk, “Die thailaendische Denkschrift des Jahres 1885 und ihre historische Bedeutung\", pp.41-54, 105-121 을 볼 것.
수코타이 왕조와 방콕 왕조에 비해 아유타야 왕조는 두 명의 “대왕”에 의해 대표된다. 첫번째는 나레수언(Naresuan) 왕으로서 그의 역사적 공적은 무엇보다도 1567년 버마의 침공으로 잃게된 국가의 주권을 다시 회복하여 아유타야 왕조의 중흥(中興)의 기틀을 마련한 데에 놓여있다.35) 나레수언 왕의 독립탈환 과정에 대해 W.A.R. Wood, A History of Siam (Bangkok, 1959), p.128 ff. 을 볼 것.
두번째 아유타야 왕조의 “마하랏”은 나라이 왕이다. 그러나 이 왕의 “대왕” 칭호에 관한 여러 태국 역사학자들의 서술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여기서 이 문제점이 상세히 논의될 것인데, 그에 앞서 우선 나라이 왕 치세의 일반적 특징과 이 왕의 중요한 정치적 활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나라이 왕 통치시대의 국내정치는 역사적으로 종종 왕좌를 위협했던 왕족과 관료사회에 대한 강력한 왕권의 유지와 이것에 바탕을 둔 안정된 정부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그러나 왕족에 대한 그의 지나치게 엄격한 통제는 그의 유일한 왕위계승 후보자들이었던 이복동생들을 모든 정치적 활동으로부터 배제했고, 이것은 그가 1688년 중병에 걸려 나라를 다스리지 못하게 되었을 때, 그의 정부의 한 권신(權臣)이었던 펫타라차(Phettharacha)가 왕위를 찬탈할 수 있었던 한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36) 이에 대해 Cho Hung-Guk, Die politische Geschichte Thailands unter der Herrschaft Koenig Narais (r.1656-1688), pp.64-88 을 볼 것.
한편 국내정치적 안정의 기반에서 나라이 정부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한 군사적 강국의 지위를 누릴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활발한 해외무역을 추진할 수 있었다.37) 이에 대해 Cho Hung-Guk, ibid., pp.159-191 와 G.V. Smith, The Dutch in Seven- teenth-Century Thailand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1977), p.73 을 볼 것.
대외정치적으로 나라이왕의 통치시대는 많은 아시아 및 유럽국가들과의 광범위하고 다양한 접촉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특히 유럽인들과의 관계는 아유타야 왕조의 전체 역사에서 가장 활발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포르투갈인, 스페인인에 이어 네델란드인, 영국인, 프랑스인들이 태국 무역에서의 이익을 위해 서로 경쟁했다. 유럽 국가들과의 이러한 무역관계로부터 외교관계가 발전했는데, 그 중 1680년대에 양국간에 수차례의 외교사절 교환으로 이끌어졌던 프랑스와의 것이 가장 화려했고 긴밀했다. 유럽인들과의 이처럼 깊고 폭넓은 관계와 관련하여 나라이 시대 태국은 그 역사에 있어서 당시 처음으로 유럽 열강들로부터 위협을 경험하게 되었다. 즉 네델란드, 영국, 프랑스는 태국에서 자신들의 무역적 이해관계를 보호하거나 확대하기 위해 군사적 수단을 사용
추천자료
댄스 스포츠의 이론적 동향에 관한 고찰 ( 댄스스포츠 스포츠댄스)
아시아 금융위기의 전염현상 분석
일본자유주의사관
동남아의 화인사회
배드민턴의 대해서
인간안보(Human security)와 캄보디아 내전 사례연구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제(APEC)
배드민턴에 대해
배드민턴에 대하여
설화수(雪花秀 / Sulwhasoo) 영국시장진출 마케팅전략 제언과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해외진출...
관광업(관광산업)의 분류, 관광업(관광산업)의 시장구조, 관광업(관광산업)의 인식, 관광업(...
★ 대안학교 - “교육의 미래를 말하다” (대안학교 방문, 대안학교의 개념과 현황, 대안학교 ...
한식의 세계화를 위한 떡볶이 마케팅 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