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민요의 정의
2. 민요의 역사
1) 원시시대의 민요
2) 고구려의 민요
3) 백제의 민요
4) 신라의 민요
5) 고려의 민요
6) 조선시대의 민요
7) 구한말 이후의 민요
3. 한국 민요의 배경
4. 민요의 특징
5. 민요의 종류
1) 노동요
2) 유희요
3) 의식요
4) 정치요
5) 기타민요
6. 가창방식
1) 선후창
2) 교환창
3) 독창
7. 음악적 특징
1) 경서토리권
2) 메나리토리권
3) 육자배기토리권
4) 제주도토리권
2. 민요의 역사
1) 원시시대의 민요
2) 고구려의 민요
3) 백제의 민요
4) 신라의 민요
5) 고려의 민요
6) 조선시대의 민요
7) 구한말 이후의 민요
3. 한국 민요의 배경
4. 민요의 특징
5. 민요의 종류
1) 노동요
2) 유희요
3) 의식요
4) 정치요
5) 기타민요
6. 가창방식
1) 선후창
2) 교환창
3) 독창
7. 음악적 특징
1) 경서토리권
2) 메나리토리권
3) 육자배기토리권
4) 제주도토리권
본문내용
년〉 등이 있다.
① 함경도 민요
- 함경도는 역사적으로 국경 지방이고, 또 지역적으로는 산간지방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독특한 전통 민요가 있을 것이라 생각되나 분단이라는 현실 때문에 이 방면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시피 하고 있다. 이런 형편은 함경도 민요를 바르게 이해하는 데에 장애가 되었고, '동부 민요'라는 모호한 낱말로 일컫는 결과도 낳았다. 함경도의 대표적인 민요로는 <신고산타령>, <궁초 댕기>, <애원성> 등이 있다.
② 경상도 민요
- 경상도 민요는 전체적으로 보아 빠른 것들이 많다. <밀양 아리랑>과 같이 세마치장단으로 불리는 것이 있는가 하면, <골패타령>, <쾌지나칭칭나네>와 같은 굿거리장단으로 불리는 것이 있다. 가락은 메나리조로 된 것이 많은데, 빠르게 불리는 것은 꿋꿋하고 씩씩한 느낌을 준다. 경상도 민요의 일반적 특징은 쿡쿡 찌르는 듯한 강한 억양을 갖는 점이다. 많이 알려진 통속 민요로는 <밀양 아리랑>, <울산 아가씨>, <쾌지나칭칭나네>, <뱃노래>, <튀전타령>, <골패타령>, <담바귀타령>들이 있다.
③ 강원도 민요
- 강원도 민요 가운데서 널리 알려진 것으로는<강원도 아리랑>, <정선 아리랑>, <한 오백년>이 있다. 흔히 보이는 장단으로는 5박 장단, 세마치, 중모리 등이 있다. 가락 구성음은 '미', '솔', '라', '도', '레', '미'이고, 맺는 음이 '미'나 '라'로 된 메나리조 또는 염불조로 된 것이 많다.
(3) 육자배기토리권
- 육자배기토리라는 말은 전라도지방의 대표적 민요가 〈육자배기〉인 데서 생겼으며, 전라도, 경기도 남부, 충청도 서부, 경상도 서남부 지역의 민요가 여기에 해당된다. 미 라 시의 3음이 주요음이며, 목을 눌러내는 소리의 발성을 쓰는 점이 다른 지역과 다르다. 육자배기토리의 음계는 계면조 음계와 같은데 3음이 중심이 되고, 2음으로부터 4도+장2도의 주된 구성음으로 이루어졌다(악보1 참고).
← <악보 1>
음역을 넓힐 때는 4도+장2도 위에 한 음을 더한 4도+장2도+단3도(또는 장2도)의 음계를 만들기도 하고(악보2 참고), 이것을 위아래로 변조해 쓰기도 한다. 기음(基音)은 떠는 목이라 하여 격렬하게 요성(搖聲)하고, 4도 위음은 평으로 내는 목이라 하여 요성 없이 끌어주며, 평으로 내는 목에서 장2도(사실은 간격이 장2도보다 조금 좁음) 위음은 꺾는 목이라 하여 그 음보다 약 반음(半音) 내지 단3도 정도 위에서부터 꺾어 흘려 내린다. 이때, 꺾는다는 말은 먼저 전타음(前打音)을 강하게 내야 하기에 목소리를 꺾는 듯한 인상을 준다.
← <악보 2>
장단은 판소리나 산조의 장단을 많이 사용하는데 중모리(〈흥타령〉·〈긴농부가〉), 중중모리(〈개구리타령〉·〈자진농부가〉·〈굿거리〉와 혼용되기도 함)가 많이 쓰이고, 드물게 진양조(〈육자배기〉)와 자진모리(〈까투리타령〉)가 쓰이기도 한다(느린 가락은 슬픈 느낌을 주고, 빠른 가락은 구성지고 멋스런 느낌을 줌). 발성법은 목을 눌러 소리를 내는 것이 특징이다. 이 토리는 민요·무가의 선율뿐 아니라 민속기악곡, 상여소리 등에 쓰이며 살풀이춤의 반주, 농악의 호적가락, 퉁소·단소 가락에도 두루 쓰인다. 민속기악곡 가운데 시나위는 이 육자배기토리를 허튼가락으로 연주한 것을 말한다. 육자배기토리로 된 느린 가락은 슬픈 느낌을 주고, 빠른 가락은 구성지면서도 멋스런 느낌을 준다. 〈육자배기〉·〈자진육자배기〉·〈흥타령〉·〈개구리타령〉·〈강강술래〉·〈농부가〉·〈진도아리랑〉·〈둥덩애타령〉 등이 있다.
① 전라도 민요
- 구성음은 '미','솔','라','시','도','레'로, '미'나 '라'로 마친다. 그리고 주로 슬픈 느낌을 주며, 시김새가 짙어 음악적인 표현이 강하다. 전라도 소리 중 육자배기토리로 된 것은 <육자배기>, <강강술래>, <진도 아리랑>, <물레타령>, <농부가> 따위이며, <까투리타령>은 드렁조로, <보렴>과 <화초 사거리>는 육자배기토리와 경기 소리제인 경토리로 구성되어있다.
② 충청도 민요
- 충청도는 다른 지역에 둘러싸여 있는 만큼 음악문화도 주변지역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충청도 민요 가운데 널리 알려진 민요에는 통속 민요로 <천안 삼거리>가 있고, 전통 민요로는 부여 지방의 농사짓기 소리를 엮은 <산유화가>와 충주(중원)지방의 농사짓기 소리를 엮은 <탄금대 방아타령>이 있다.
(4) 제주도토리권
- 제주도 전 지역의 민요가 해당된다. 제주도는 육지에서 흔히 보이는 유희나 통속 민요보다 노동요가 훨씬 많다. 제주도의 일하기 소리 중 농사짓기 소리에는 '검질매는 소리'라고 하여 밭의 김을 매는 소리가 가장 많다. 유희요로 <오돌또기>, <이야홍타령>, <서우제 소리>가 흔히 불릴 따름이다. 그러나 성읍 등의 동남부지방에는 통속 민요가 간혹 전승되고 있는데, 그중에는 산타령계의 고민요가 남아 있다. 이것은 과거 성읍지방의 직업 소리꾼이 육지와 교류했다는 것을 뜻한다. 제주도에는 한 지방에 10여 종 이상의 노동요가 있는데 남제주보다는 북제주에 더 많다. 북제주에서도 서북지방이 서남지방보다 더 많다. 제주민요는 크게 〈농사짓기소리〉와 〈고기잡는 소리〉가 있으며 〈농사짓기소리〉에는〈사대소리〉〈마당질소리〉〈밭발리는 소리〉〈도리깨질소리〉〈방아찧는 소리〉〈맷돌돌리는 소리〉〈꼴베는 소리〉 등이 있다. 〈고기잡는 소리〉에는 해녀들이 부르는 뱃노래가 가장 많은데, 그중 노를 저으면서 부르는 〈이여도사나〉가 특히 유명하다. 그밖에 〈멸치후리는 소리〉〈상여소리〉〈불무소리〉 등이 있다. 제주민요에는 자유리듬이 많고 서양음악의 ‘솔 도 레 미'에 해당되는 5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떠는목과 장식음이 별로 없는데 제주방언과 결합되어 다른 지방 민요에서는 느낄 수 없는 독특한 멋을 지니고 있다. 제주도 소리의 음악적인 특징은 경기 소리인 경토리에 가까우나 시김새가 좀 다르고, 경기 소리가 경쾌한 데에 비해 제주도 소리는 구슬프다. 선율진행은 순차진행이 대부분이며, 떠는목이 없고 장식음도 비교적 적다. 창민요 중 널리 알려진 것은 〈오돌또기〉〈이야홍타령〉〈개구리타령〉〈서우제 소리〉〈이여도사나〉등이 있다. 조을선이 예능 보유자로 지정되어 있다.
① 함경도 민요
- 함경도는 역사적으로 국경 지방이고, 또 지역적으로는 산간지방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독특한 전통 민요가 있을 것이라 생각되나 분단이라는 현실 때문에 이 방면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시피 하고 있다. 이런 형편은 함경도 민요를 바르게 이해하는 데에 장애가 되었고, '동부 민요'라는 모호한 낱말로 일컫는 결과도 낳았다. 함경도의 대표적인 민요로는 <신고산타령>, <궁초 댕기>, <애원성> 등이 있다.
② 경상도 민요
- 경상도 민요는 전체적으로 보아 빠른 것들이 많다. <밀양 아리랑>과 같이 세마치장단으로 불리는 것이 있는가 하면, <골패타령>, <쾌지나칭칭나네>와 같은 굿거리장단으로 불리는 것이 있다. 가락은 메나리조로 된 것이 많은데, 빠르게 불리는 것은 꿋꿋하고 씩씩한 느낌을 준다. 경상도 민요의 일반적 특징은 쿡쿡 찌르는 듯한 강한 억양을 갖는 점이다. 많이 알려진 통속 민요로는 <밀양 아리랑>, <울산 아가씨>, <쾌지나칭칭나네>, <뱃노래>, <튀전타령>, <골패타령>, <담바귀타령>들이 있다.
③ 강원도 민요
- 강원도 민요 가운데서 널리 알려진 것으로는<강원도 아리랑>, <정선 아리랑>, <한 오백년>이 있다. 흔히 보이는 장단으로는 5박 장단, 세마치, 중모리 등이 있다. 가락 구성음은 '미', '솔', '라', '도', '레', '미'이고, 맺는 음이 '미'나 '라'로 된 메나리조 또는 염불조로 된 것이 많다.
(3) 육자배기토리권
- 육자배기토리라는 말은 전라도지방의 대표적 민요가 〈육자배기〉인 데서 생겼으며, 전라도, 경기도 남부, 충청도 서부, 경상도 서남부 지역의 민요가 여기에 해당된다. 미 라 시의 3음이 주요음이며, 목을 눌러내는 소리의 발성을 쓰는 점이 다른 지역과 다르다. 육자배기토리의 음계는 계면조 음계와 같은데 3음이 중심이 되고, 2음으로부터 4도+장2도의 주된 구성음으로 이루어졌다(악보1 참고).
← <악보 1>
음역을 넓힐 때는 4도+장2도 위에 한 음을 더한 4도+장2도+단3도(또는 장2도)의 음계를 만들기도 하고(악보2 참고), 이것을 위아래로 변조해 쓰기도 한다. 기음(基音)은 떠는 목이라 하여 격렬하게 요성(搖聲)하고, 4도 위음은 평으로 내는 목이라 하여 요성 없이 끌어주며, 평으로 내는 목에서 장2도(사실은 간격이 장2도보다 조금 좁음) 위음은 꺾는 목이라 하여 그 음보다 약 반음(半音) 내지 단3도 정도 위에서부터 꺾어 흘려 내린다. 이때, 꺾는다는 말은 먼저 전타음(前打音)을 강하게 내야 하기에 목소리를 꺾는 듯한 인상을 준다.
← <악보 2>
장단은 판소리나 산조의 장단을 많이 사용하는데 중모리(〈흥타령〉·〈긴농부가〉), 중중모리(〈개구리타령〉·〈자진농부가〉·〈굿거리〉와 혼용되기도 함)가 많이 쓰이고, 드물게 진양조(〈육자배기〉)와 자진모리(〈까투리타령〉)가 쓰이기도 한다(느린 가락은 슬픈 느낌을 주고, 빠른 가락은 구성지고 멋스런 느낌을 줌). 발성법은 목을 눌러 소리를 내는 것이 특징이다. 이 토리는 민요·무가의 선율뿐 아니라 민속기악곡, 상여소리 등에 쓰이며 살풀이춤의 반주, 농악의 호적가락, 퉁소·단소 가락에도 두루 쓰인다. 민속기악곡 가운데 시나위는 이 육자배기토리를 허튼가락으로 연주한 것을 말한다. 육자배기토리로 된 느린 가락은 슬픈 느낌을 주고, 빠른 가락은 구성지면서도 멋스런 느낌을 준다. 〈육자배기〉·〈자진육자배기〉·〈흥타령〉·〈개구리타령〉·〈강강술래〉·〈농부가〉·〈진도아리랑〉·〈둥덩애타령〉 등이 있다.
① 전라도 민요
- 구성음은 '미','솔','라','시','도','레'로, '미'나 '라'로 마친다. 그리고 주로 슬픈 느낌을 주며, 시김새가 짙어 음악적인 표현이 강하다. 전라도 소리 중 육자배기토리로 된 것은 <육자배기>, <강강술래>, <진도 아리랑>, <물레타령>, <농부가> 따위이며, <까투리타령>은 드렁조로, <보렴>과 <화초 사거리>는 육자배기토리와 경기 소리제인 경토리로 구성되어있다.
② 충청도 민요
- 충청도는 다른 지역에 둘러싸여 있는 만큼 음악문화도 주변지역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충청도 민요 가운데 널리 알려진 민요에는 통속 민요로 <천안 삼거리>가 있고, 전통 민요로는 부여 지방의 농사짓기 소리를 엮은 <산유화가>와 충주(중원)지방의 농사짓기 소리를 엮은 <탄금대 방아타령>이 있다.
(4) 제주도토리권
- 제주도 전 지역의 민요가 해당된다. 제주도는 육지에서 흔히 보이는 유희나 통속 민요보다 노동요가 훨씬 많다. 제주도의 일하기 소리 중 농사짓기 소리에는 '검질매는 소리'라고 하여 밭의 김을 매는 소리가 가장 많다. 유희요로 <오돌또기>, <이야홍타령>, <서우제 소리>가 흔히 불릴 따름이다. 그러나 성읍 등의 동남부지방에는 통속 민요가 간혹 전승되고 있는데, 그중에는 산타령계의 고민요가 남아 있다. 이것은 과거 성읍지방의 직업 소리꾼이 육지와 교류했다는 것을 뜻한다. 제주도에는 한 지방에 10여 종 이상의 노동요가 있는데 남제주보다는 북제주에 더 많다. 북제주에서도 서북지방이 서남지방보다 더 많다. 제주민요는 크게 〈농사짓기소리〉와 〈고기잡는 소리〉가 있으며 〈농사짓기소리〉에는〈사대소리〉〈마당질소리〉〈밭발리는 소리〉〈도리깨질소리〉〈방아찧는 소리〉〈맷돌돌리는 소리〉〈꼴베는 소리〉 등이 있다. 〈고기잡는 소리〉에는 해녀들이 부르는 뱃노래가 가장 많은데, 그중 노를 저으면서 부르는 〈이여도사나〉가 특히 유명하다. 그밖에 〈멸치후리는 소리〉〈상여소리〉〈불무소리〉 등이 있다. 제주민요에는 자유리듬이 많고 서양음악의 ‘솔 도 레 미'에 해당되는 5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떠는목과 장식음이 별로 없는데 제주방언과 결합되어 다른 지방 민요에서는 느낄 수 없는 독특한 멋을 지니고 있다. 제주도 소리의 음악적인 특징은 경기 소리인 경토리에 가까우나 시김새가 좀 다르고, 경기 소리가 경쾌한 데에 비해 제주도 소리는 구슬프다. 선율진행은 순차진행이 대부분이며, 떠는목이 없고 장식음도 비교적 적다. 창민요 중 널리 알려진 것은 〈오돌또기〉〈이야홍타령〉〈개구리타령〉〈서우제 소리〉〈이여도사나〉등이 있다. 조을선이 예능 보유자로 지정되어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