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실 데일리 레포트(10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생아실 데일리 레포트(10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첫째날,신생아의 활력증후 측정

둘째날, 신체계측 및 Apgar 점수 측정

셋째날, 목욕 시키기

넷째날, G-tube 영양

다섯째날, 신생아 패혈증

여섯째날,황달치료 <Phototherapy>

일곱째날, 선천성 대사 이상 검사

여덜째날, 산소요법(Oxygen Therapy)

아홉째날,제대도관삽입(Umbilical catheterization)

열째날,Incubator Care

본문내용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온도, 산소, 습도, 격리의 통제된 환경을 제공한다.
②산소농도를 적당히 조절한다.
-보육기 안의 산소농도가 40%를 넘지 않도록 한다.
:수정체 후 섬유증식증 발달을 예방
-적색기(flag)를 수직으로 놓아서 85%이상의 고농도를 알 수 있게 한다.
:공기흡입을 적당히 조절한다.
③분무요법이 필요하면 보육기의 내측벽에 분무기를 정착한다.
④산소의 손실을 막기 위해 보육기의 문을 꼭 닫는다.
-보육기가 열렸을 때는 산소를 보충해서 제공한다.
⑤적어도 24시간에 한번씩 저장소의 멸균 수를 교환한다.
-Pseudomonas 오염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①아기의 머리에 맞는 플라스틱 용기를 통해 따뜻하고 습기 찬 산소를 공급 한다.
-산소는 얼굴에 직접 투여되지 않게 하고 hood의 가장자리가 턱, 목, 어 깨를 문지르지 않게 해준다.
②지속적으로 산소농도, 온도, 습도를 감시한다.
-대사성산증, 혈당저하를 막기 위해 산소의 온도는 31~34℃가 적당하다
③가끔 머리덮개를 열어주거나 제거한다.
-아기를 쇠약하게 할 수 있으므로 열과 산소의 파동을 방지한다.
참고문헌
김계숙, 김희숙 공저,「아동간호학」신광출판사, 1991. 527~530
Sigma Theta Lambda,「최신임상간호메뉴얼II」현문사, 2004. 2004~2005
아홉째 날
날 짜
2005년 9월 22일 목요일
주 제
제대도관삽입(Umbilical catheterization)
관찰내용
Incubator에서 치료받고 있는 초미숙아를 관찰하고 있는데 제대에 카테터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보았다. 간호사선생님께서는 하나는 제대동맥과 연결된 UAC이고 하나는 제대정맥과 연결된 UVC라고 설명해 주셨다.
문헌고찰
제대도관삽입은 신생아에게 비경구적으로 수액을 공급하거나 혈액샘플을 채취하기 위해 X선으로 보이는 카테터를 탯줄 동맥에 삽입하거나 교환수혈이나 응급으로 약물, 수액, Volume expander 등을 주입하기 위해 탯줄 정맥에 삽입하는 것을 말한다.
UAC(Umbilical Artery Catheter)
: 대동맥의 분기부위(L3-L4)혹은 횡경막 위치에 그 끝이 위치하도록 한다.
UVC(Umbilical vein Catheter)
: Catheter의 끝을 하공정맥의 횡경막 위치에 두도록 한다
<간호>
카테터를 삽입하고 1시간 이내에 카테터끝의 위치를 X선검사로 확인한다.
합병증으로 혈전증이 유발되므로 예방하고자 주입되는 용액에 heparin의 첨가를 지지한다.
항생제를 투여하여 2차적 예방한다.
수액주입기를 사용하여 비경구적으로 수액을 주입하는 동안 주변온도를 적당하게 유지한다.
1시간마다 환자의 자세를 바꿔주고, 심박동수와 호흡수를 살핀다.
액와 체온을 2~3시간마다 재고, 발의 맥박은 2~4시간마다 잰다.
탯줄은 2~3시간마다 발적, 종창등 감염의 징후는 없는지 관찰한다.
수분 섭취와 배설을 기록한다.
제대에 연결된 라인이 빠지면 재빨리 거즈로 탯줄을 압박하고 notify한다.
다리의 색이 하얗게 바래고 반점이 생기거나 검어지면서 말초맥박이 안느 껴지는 등 혈관 수축의 징후가 보이는지 관찰한다.
패혈증이나 출혈의 징후가 있는지 관찰한다.
카테터삽입부위에 분비물이 새어나오는지, 혈전색전증이 있는지 관찰한다.
복부팽만과 구토가 있는지 관찰해야 한다.
증세가 호전될 때 가능한 한 빨리 제거한다.
참고문헌
김계숙, 김희숙 공저,「아동간호학」신광출판사, 1991. 595
대한기초간호자연과학회 편찬,「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2002. 1953
열째 날
날 짜
2005년 9월 23일 금요일
주 제
Incubator Care
관찰내용
정상신생아를 제외하고 대부분 중환아는 Incubator와 ICS에 있는 것을 보았다. Incubator에 있는 아기들을 만지기 전에 반드시 손을 닦고, 손소독제로 다시 닦은 후 만지며, 체온유지나 감염 예방을 위해 될 수 있는 한 만지지 않았다. 물탱크의 물을 하루에 한번 갈아 주는 것을 관찰하였다.
문헌고찰
1) Incubator(보육기) 란?
아기에게 가장 좋은 환경은 엄마의 자궁이다. 엄마의 자궁과 가장 비슷한 환경, 온도, 습도 등을 만들어 주기 위해 보육기를 사용한다. 보육기는 분만 예정일 전에 태어난 아기(미숙아), 임신 주수는 정상이지만 체중이 적은 아기, 기타 다른 이유로 치료를 받으면서 집중적인 monitoring이 필요한 아기들이 들어가 있는 곳으로 외부환경으로부터 아기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여 체온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아기의 치료와 안정을 위한 최상의 환경을 만들어 준다.
2) Incubator Care 기간
미숙아나 체중이 적게 태어난 아기는 아기의 상태에 따라 몸무게가 약1800g정도, 35주정도 될 때까지 보육기 안에 있게 되고 그 외 치료받는 아기들은 건강 상태가 양호해질 때까지 이 안에서 생활한다. 그러다가 아기가 우유를 잘 먹고 체온유지도 잘하며 전반적인 상태가 좋아지면 일반 침대로 나온다.
3) Incubator Care
①체온유지
-Isolette 보육기를 사용하면 보육기 온도를 직접 조정
-온도 조정 장치: 아기 자신이 보육기 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미숙아 복부표면에 온도조절 장치를 부착시키면 체온의 변동에 따라 보육 기 내의 열조정장치가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적당한 체온을 유지케 한다.
②습도유지
-적합한 습도(50~65%)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보육기에 있는 물통에 소독된 물을 넣어야 하고 재점검하도록 해야 한다.
-습도의 공급은 가열된 공기가 신생아가 누운 판 아래의 물 저장소를 통과함으로 써 유지되는 것이다.
③산소공급
-산소투여시 산소농도가 처방대로 잘 들어가는지 확인한다.
4) Incubator 사용시 주의점
습도 조절을 위한 물탱크에 고여 있는 물은 pseudomonas aeruginosa의 성장 매 체가 되므로 매 8시간마다 소독된 물로 갈아준다.
보육기는 냉방장치의 찬 공기 직접 닿지 않도록 가까이 두지 않는다.
☞많은 방사열 손실로 인한 cold stress를 피할 수 있다.
복부에 열탐지를 부착할 때는 엎드려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4.23
  • 저작시기200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55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