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경색 [논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근경색 [논문]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정의

Ⅱ. 진단

Ⅲ. 치료

Ⅳ. 합병증

Ⅴ. 재활

Ⅵ. 심근경색 후의 위험도 판정

Ⅶ. 협심증과 급성 심근경색증의 증상구분

. 대상자 교육

Ⅸ .심근경색증의 식사요법

본문내용

성 증상이 동반된 경우
③ 후벽경색으로 인한 전흉부 유동에서 ST분절의 하강이 있는 환자
④ 새로운 좌각차단이 있는 지속적인 흉부 불편감이 있는 환자
b. Exclusion criteria
① Age : < 21 or > 70
② High risk of bleeding complication
ⅰ) active bleeding
ⅱ) CVA within 2 months
ⅲ) recent Hx of internal bleeding or trauma(esp.head)
ⅳ) major surgey or biopsy
③ Sever hypertension (systolic >200, diastolic >110 mmHg)
④ Puncture of non-compressible vessel(i.e. subclavian)
⑤ Pregnancy or under menstruation
⑥ Cardiogenic shock or endocarditis
⑦ Hepatic or renal dysfunction of other serious illness
c. Thrombolyic therapy order
① obtain informed consent form
② check 12 lead ECG
③ keep IV route with 18G needle
④ basal Lab. : X-matching, CK, CK-MB, Hb, Hct, aPTT, Fibrnogen
⑤ IV bolus injection of Heparin 5,000 unit
⑥ IV rt-PA : 1.25 ㎎/㎏
ⅰ) bolus IV injection of 10% within 3min
ⅱ) continuous IV infusion of 50% for lst 1 hr
ⅲ) continuous IV infusion of 40% for next 2hrs
* IV urokinase 사용시에는 total 3,000,000 U
(initial bolus; 150만 U, another 150만 U for 90 min) 사용
⑦ Continuous IV infusion of Heparin for 3 days with aPTT
(1.5~2.0 times of control)
4. 부차적 요법
1) 베타치료제
a. Metoprolol (5㎎씩 5분마다, 총 15㎎ 정주, 이후 15사간마다 경구로 50 또는 100㎎)
b. Proparanolol (5~10분 간격으로 3회로 나누어 총 0.1㎎/㎏를 정주, 1시간 후에 6~8시간 간격으로 20 또는 40㎎을 경구투여)
c. Atenolol (정주로 5~10㎎, 이후로 100㎎경구로)
d. Timolol (10분후 1㎎ 반복 정주, 24시간동안 0.6㎎/㎏로 유지용량을 지속정주, 이후 12시간마다 10㎎ 경구 투여)
2) Nitroglycerin
치료를 조기에 시작하고 저혈압을 피한 경우 일부의 환자에서 경색의 크기를 줄이는데 좋은 효과를 보인다. Niroglycerin은 심부전이 있거나 반복되는 허혈이 있는 경우의 심근경색에서 사용하여야 한다. Nitroglycerin 정주는 10㎍/min 지속정주로 시작하여 10~15분 간격으로 10㎍/min씩 증량한다. 혈압을 세심히 감시하여야 하며, 간혈적 혈역학감시가 없는 경우 수축기 혈압의 10~15% 이상의 하강이 없도록 용량을 조절하여야 한다. 상대적인 용적부족이나 우심실 기능부전이 있는 하벽경색에서는 지혈압이 흔히 일어날 수 있다.
3) 칼슘통로차단제
대구모 임상연구에서 경색의 크기를 줄이지 못하였다고 보고하였다.
4) Warfain
벽혈전이 있거나, 심첨부를 포함한 광범위한 전벽경색이 있는 경우 warfain으로 3~6개월간 치료하여 전신 색전증의 위험을 최소화시켜야 한다. INR로 2.5를 유지하여야 한다.
5) 아스피린
씹어먹을 수 있는 160㎎의 아스피린은 어떤 혈전용해제를 쓰든지 사용되어야 하며, 경구로 아스피린을 하루 160이나 325㎎을 지속시켜야 한다.
6) Lidocaine
잠재적으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실성 부정맥의 치료에만 사용한다.
5. Follow up Lab.
1) CK and CK-MB : q 4hr for 2 days, then if necessary
2) aPTT ; 0, 2, 4hr, then q 4hr for 1 day, then q 8 hr for 2 days
3) Fibrinogen, Hb, Hct ; 0, 2, 4, 24, 48, 72hr
4) l2 lead ECG ; 0, 2, 4, 24hr then q day during CCU and perdischange
5) CAG and LVG at predischarge
6) Gated blood pool scan ; predisharge, 3, 6, 12 months after discharge
7) predischarge low level exercise test unless contraindicated
6. 일차적 PTCA
전벽 심근경색, 70세 이상의 환자, 계속되는 동성빈맥이 있는 경우의 고위험군 환자에서 효과가 큰 것으로 보고되었다. 추가적으로 일차적 PTCA는 심인성 쇽이 있는 환자에서 사망률을 감소시켰다. PTCA는 성공적인 혈전용해요법을 시행한 후 첫 48시간내에는 시행하지 않으나, 지속적 흉통이 있고 ST분절의 상승이 있는 재관류가 실패한 환자에서는 salvage PTCA를 시행할 수 있다.
7. 관동맥조영술
심근경색후 반복적인 심근허혈이 있거나, 퇴원전 운동부하검사에서 허혈이 유헐이 유발되는 환자에서 시행을 고려해야 한다.
8. CABG
혈전용해요법이나 PTCA가 불가능한 경우에 사용된다. 심근경색후 삼혈관질환과 좌심실 기능부전이 있는 환자에서 선택적 CABG을 시행이 고려되어야 한다.
Ⅳ. 합병증
1. 부정맥은 심근경색 첫 24시간내에 흔히 발생한다. 심실빈맥이나 심실세동과 같은 치명적인 부정맥이 가장 문제가 된다.
1) Ventricular premature depolarization (VPDs)
급성 심근경색에 가장 잘 나타나며, 심실빈맥이나 심실세동의 존재를 미리 알 수 있는 증후가 되기도 한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심실빈맥이나 심실세동은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4.27
  • 저작시기200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62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