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주식의 용어정리 및 해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증권, 주식의 용어정리 및 해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향이 있고, 주가가 하락할 때에는 거래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는 것이다. 거래량 이동평균선은 주가이동평균선과 마찬가지로, 단기 지표로서 6일, 중기 지표로서 25일, 장기 지표로서 75일 이동평균선이 쓰이고 있다.
거래량회전율 : 현재의 거래량이 과거의 그것에 비해 어떤 상태인가를 분석하는 데는 단순 거래량의 증가만으로는 부적합하며, 거래량과 총상장 주식수를 비교함으로써 비로소 가능하게 된다. 거래량과 통상장주식수의 비율인 거래량회전율은 거래량에 입회일수를 곱하고, 이 수치를 총상장 주식수로 나누어서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거래량은 6일 이동평균을 입회일 수는 1년을 300일로하여 계산한다.
(
거래량회전율=)
당일의 거래량×입회일수(300) ×100
총상장주식수
거래량회전율이 100%라면 상장주식이 연간 1회전하는 것을 의미하며, 보통50%를 기준으로하여 20% 수준이면 바닥, 130% 이상이면 단기적 상투권을 가리킨다고 본다.
거래비용(transaction cost) : 증권을 매매하는데 발생되는 비용으로 거래비용에는 거래수료, 할증료, 할인료, 제반 수수료, 직접세 등이 포함된다.
거래성립률(去來成立率) : 거래성립률이란 주가의 상승이나 하락과는 관계없이 일단의 거래가 성립된 종목이 증권시장에 상장된 종목수와 비교해서 어느 정도인가를 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이 비율이 80%선이면 보통 수준이며, 90% 정도이면 매도시점이며, 70%선이면 매입시점이 된다.
거래세(transfer tax) : 증권의 소유이전에 따라 부과되는 세 또는 증여자산이나 상속자산의 이전에 따라 부과되는 세를 말한다.
거래소 분매(exchange distribution) : 거래소에서 여러 매수주문을 결합하여 대형 매도 주문을 충족시키는 행위로 매도 주문거래자는 다른 여러 거래자들에게 매수주문을 내어 주도록 요청한다.
거래원 : 증권용어로서의 거래원이란, 증권거래소가 개설하는 정규의 상설시장에서 매매거래를 할수 있는 자격을 가진 증권업자를 말한다. 거래원의 자격은 재무부장관의 허가를 얻은 증권회사로서 증권거래소에 등록을 하면 주어지게 된다. 거래원은 거래소시장에서 매매거래의 주체가 되며, 투자자로부터 매매위탁을 받아 증권시장에서 매매를 대행하는 기관이 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회원제 증권거래소를 운영하고 있으므로 거래원은 회원을 지칭한다.
거래장 브로커(floor broker) : 거래소 회원으로서 거래소의 거래장에서 고객을 대신하여 매매활동을 하는 브로커를 말한다.
거래회전율(turnover rate) : 상장주식의 충주식수에 대한 특정주식의 거래량비율로 회전율은 상장주식에 있어서의 차이를 조종해 주고 한 주식의 상대적인 활동성 지표 역할을 해주게 된다.
건설국채(construction bond) : 사회간접자본의 확충을 위한 재원조달 수단으로 발행하는 공채를 말한다. 일정한 용도가 정해져 있지 않고, 단지 경상수입의 일시적 부족을 보충하기 위하여 발행하는 공채를 적자공채라고 한다.
건옥(建玉) : 증권매매시 증거금을 내고 매매계약을 체결하는 것을 옥을 세운다라고 하는데, 이때 아직 결제되지 않은 매매계약상의 약정증권의 수량을 건옥이라 한다. 매도약정일 경우 매도건옥, 매수약정일 경우 매수건옥이라 하며, 동일인이 동일종목의 매수건옥, 매수약정일 경우 매수건옥이라 하며, 동일인이 동일종목의 매수건옥과 매도건옥을 동시에 세우는 것을 양건이라 한다.
건옥정리(liquidation of position) : 신용거래에 있어서 거래량, 특히 매입량이 크게 늘면 주식시장에서는 향후의 매도압박을 우려하여 주식시세의 움직임이 둔화된다.
이런 경우에는 매입측이 차익을 포기하고 다시 매도를 함으로써 거래를 끝내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상태에서 매입잔고가 줄어드는 것을 건옥정리라고 한다. 건옥정리의 과정에서는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가 많다.
건 점핑(gun jumping) : 내부정보가 사외로 공표하기 이전에 집행하는 증권거래를 말한다.
격탁매매(call trading) : 증권시장의 입회장에서 집단경쟁매매를 할 때 매도측과 매수측을 집합시켜 놓고 개개의 거래원이 자유스러운 가격으로 매매거래에 참가하여 매도매수의 가격 및 수량이 합치된 순간 격탁에 의해 그 가격을 약정가격으로 성립시키는 매매방법을 말한다.
견양증권(specimen of stock certification) : 증권용지에 발행하고자 하는 회사의 상호 등 고유사항을 가쇄한 후 그 견양의 표시가 부가된 증권을 말한다. 이 견양증권은 회사의 고유사항이 가쇄된 점이 통일규격 양식의 증권용지와 다르고, 유효한 발행유가증권으로 발행될 수 없다는 점이 다르다.
견조(堅調) : 주가의 시세가 높은 상태에서 계속 머물러 있는 것을 말한다.
결산 : 회계연도말에 계산을 종결하고 장부를 정리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절차를 말하는데, 이는 계산을 구획하고 회계기간중의 손익을 계정하며 기말의 재무상태를 명확하게 하려는 데에 있다. 한편, 결산기란 결산 기말의 줄인 말로 결산일 또는 결산일이 속하는 월과 혼용하여 사용되고 있는데, 1회계연도의 말일을 결산일이라고 한다.
결산시세(決算時勢) : 기관투자가들은 소유주식의 결산기에 그 주식의 평가를 높이기 위하여, 또는 매도차익을 얻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주가를 조작하는 경우가 있는데 일반시세와 구별하여 이를 결산시세라고 부른다.
결산자료 : 회사가 결산 후 주주에 대한 배당금지급 및 세금납부 등을 의하여 조달하는 자금을 말한다.
결산조작(決算操作) : 상장기업이 영업실적을 사실 그대로 공표하지 않고 재무제표의 손익면을 조작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기업이 적자결산이면서 은행 등 채권자에 대한 신용보전, 또는 부당한 목적의 출혈배당 등을 노리고 행해진다. 또 상당한 영업이익을 올려 흑자이면서도 축소배당이나 조세포탈을 목적으로 손익을 조작하는 경우도 이에 해당된다. 이러한 기업의 횡포로부터 일반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증권거래법에는 상장기업의 결산시에는 공인회계사의 감사를 받아 감사의견을 첨부하도록 하고 있다.
결손금(deficit) : 기말결산일에 기초자본계정재고보다 기말자본계정재고가 감소하고 있을

키워드

증권,   주식,   투자,   코스피,   코스닥
  • 가격3,000
  • 페이지수114페이지
  • 등록일2006.04.28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64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