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시민단체들의 활동사례(NGO)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의 시민단체들의 활동사례(NGO)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한국의 주요 NGO

Ⅲ. 시민단체의 활동

Ⅳ. NGO의 활성화 방안

본문내용

투어 강원랜드 용역회사를 만들고 그 밑에서 폐광지의 주인, 강원랜드의 주인이라 할 수 있는 지역주민들은 저임금에 불안한 고용조건속에서 신음하고 있다. 일부 고한 사북 주민조직체에서 용역직들의 처우개선을 말하지만 이는 어쩌면 강원랜드와의 용역계약에서 용역회사들의 용역금액을 올리기 위한 방편이 아닌가하는 의구심을 떨칠 수가 없다. 2004년도와 2005년도에 강원랜드 협력업체 협의회(11개 용역업체 모임)가 이 조직에게 후원금조로 2천만원을 후원한 사실만 봐도 의혹은 충분하다. 비교적 처우가 좋은 한 용역업체의 경우, 강원랜드로부터 용역계약금을 6억5천만원 받았지만 20여명의 직원 대부분은 연간 1천9백만원의 임금 수준이다.(각종 시설운영에 필요한 재료비등이 따로 강원랜드로부터 지급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1인당 연간 3천2백만원이 돌아가야 한다는 계산) 2005년도 강원랜드 총 용역금액이 310억원, 강원랜드 용역직이 1천명 수준임을 감안하면 용역직 평균 연간 임금은 3천만원이 넘어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차라리 310억원이라는 금액으로 1천명의 용역직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게 백번 낫다. 태경련과 자치분권태백연대, 그리고 본 태백경실련은 강원랜드 용역직의 정규직 전환을 위한 추진위원회 구성을 앞두고 있다폐광지역 바로 세우기 신문, http://www.tbef.net/
2. 참여연대
-2002년 대선 정치자금 감시운동-
2002년은 선거의 해였습니다. 참여연대는 당내 경선 때부터 돈선거 추방과 불법 정치자금 근절을 위해 시민 감시운동을 전개했습니다. 10여 개 시민단체 대표들로 국민경선 정치자금 옴부즈만을 구성하여 경선이 치러지는 전국을 돌며 회계장부 공개 및 불법선거운동 모니터 운동을 벌였습니다.
비록 모든 후보들이 회계장부 공개에 응하지 않아, 일부 후보들의 회계 장부만을 열람할 수밖에 없었지만, 선거운동 자금 운용 내역을 실사하여 구체적인 문제점을 지적하고 적절성을 평가함으로써, 최초로 정치자금 공개 사례를 만들어내고 깨끗한 선거에 한 걸음 다가서는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또한 연말 대통령 선거전에서는, 유권자들의 올바른 판단을 위해 후보들의 정책 정보를 수집하여 시민들에게 제공하고 후보들의 공약을 세밀하게 평가하는 정책 검증 활동을 벌였으며, 다른 시민사회단체들과 함께 대선유권자연대를 조직하여 새 대통령이 실천해야할 100대 과제를 발표하고, 돈선거 추방과 정책을 통한 후보 평가를 실천하는 유권자약속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참여연대 연도별 주요활동.http://info.peoplepower21.org/action/year.html#
3. 환경운동연합
-동강댐 백지화 운동-
2000년 6월 5일 오전10시 20분 멸종위기 동식물을 보호하고 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해 영월댐 건설을 백지화하겠다는 김대중 대통령의 발표가 있자 세계환경의 날 기념식이 진행 중이던 세종문화회관은 떠나갈 듯한 환호와 박수로 가득 찼습니다. 동강댐 백지화를 기뻐하는 국민들의 환호성은 전국으로 메아리 쳤습니다.
영월 동강이 지닌 천혜의 비경과 희귀 동식물을 후손에게 길이 물려주기 위한 투쟁은 영월 주민으로부터 시작하였습니다. 그리고 1999년 동강을 죽이는 역사의 불행을 막자며 각계 대표 33인이 33일 동안 밤샘을 하면서 동강 살리기는 시민사회에 널리 확산되었습니다. 당시 전국 각지에서 2천5백여 명의 시민들이 직접 농성장을 방문하였고 5천여 만원의 동강 살리기 성금과 물품이 답지하였습니다. 이를 계기로 동강 살리기 운동은 환경단체, 종교계, 문화예술계, 학계로 확산되었고 그린피스, 시에라클럽, 지구의 벗 같은 국제환경단체들의 동참으로 이어졌습니다.
아름다운 동강을 지키기 위해 성원을 아끼지 않은 시민들과 우리들의 후손들은 동강의 비경을 둘러보며 2000년 6월 5일을 영원히 기억할 것입니다. 환경연합과 시민의 승리,http://kfem.or.kr/
4. 총선시민연대
-2000년 16대 총선 낙선.낙천운동-
총선시민연대가 처음 발족한 것은 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둔 2000년 1월, 전국 412개 단체들로 구성된 \'총선시민연대\'가 발족하여 16대 413 국회의원 선거에 대해 부적절한 후보자에 대한 공천반대, 낙선운동을 전개할 것을 천명하고 4월 3일 공천 반대자 64명과 반인권 전력 및 납세 비리, 저질 언행 관련자 22명 등 모두 86명의 낙선 대상자 명단을 발표했다.
피케팅이나 가두 방송, 현수막 게시 등을 통해 특정후보를 떨어뜨리는 운동을 전개했고 이에 대해정치권에서는 총선시민연대의 낙천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4.30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67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