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급][교실][학급활동][학급행사]학급(교실)의 의미, 학급활동의 원칙, 학급활동과 학급회의, 학급활동과 학급신문, 학급활동과 학급행사, 학급활동의 사례, 학급활동의 성과, 향후 학급활동의 개선 방안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급][교실][학급활동][학급행사]학급(교실)의 의미, 학급활동의 원칙, 학급활동과 학급회의, 학급활동과 학급신문, 학급활동과 학급행사, 학급활동의 사례, 학급활동의 성과, 향후 학급활동의 개선 방안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학급(교실)의 의미

Ⅲ. 학급활동의 원칙
1. 민주적인 학급활동
2. 자율적인 학급활동
3. 공동체로서의 학급활동

Ⅳ. 학급활동과 학급회의

Ⅴ. 학급활동과 학급신문

Ⅵ. 학급활동과 학급행사
1. 학급 행사 준비
1) 준비 과정
2) 진행 과정
3) 마무리 과정
2. 학급 행사 진행
1) 판짜는 방법
2) 판짤 때 유의할 사항
3) 진행자의 10가지 요령
3. 학급 행사 마무리

Ⅶ. 학급활동의 사례
1. 학급의 부서 역할을 겸한 모둠 구성
1) 독서 모둠
2) 학급 홈페이지(학급 카페) 운영 모둠
3) 미화 모둠
4) 편집 모둠
5) 놀이 모둠
6) 바른생활 모둠
7) 총무 모둠
8) 봉사 모둠
2. 모둠끼리 할 수 있는 일

Ⅷ. 학급활동의 성과

Ⅸ. 향후 학급활동의 개선 방안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만한 좋은 책을 선정하는 일. 학생과 학부모님들께 좋은 책을 추천 받아 학급문고를 마련하는 일, 학급문고를 책을 대출해주고 반납하는 일, 금주의 베스트셀러를 찾아 알려 주는 일, 독서 퍼즐독서 퀴즈 대회 등 친구 좋은 책을 많이 읽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는 일.
2) 학급 홈페이지(학급 카페) 운영 모둠
학급 홈페이지를 만들고, 매일 관리하여 사이버 상에 우리 반의 “집”을 멋지게 짓는 일. 친구들과 선생님, 부모님들이 항상 들어오고 싶은 집이 되도록 게시판을 관리하고, 유용한 자료, 사진, 글 등을 올려놓는 일.
3) 미화 모둠
아름답고 깨끗하며 살기 좋은 환경이 되도록 교실을 꾸미고 관리하는 모둠. 게시판 꾸미기, 예쁜 화초 기르기, 모종 키우기, 청소도구와 학급물품을 관리하는 모둠.
4) 편집 모둠
컴퓨터 워드 편집을 하는 모둠으로 친구들이 평소에 쓴 글, 감상문, 기행문, 소감문, 생활문 등을 모아서 10월 학교축제 때 “학급지”라는 책을 만들고, 2월말에 우리 반 1년 생활을 담은 “학급문집”을 만들 때 입력 및 편집을 하는 모둠.
5) 놀이 모둠
일주일에 한번씩 아침 시간에 학급 친구들에게 즐거운 노래와 놀이 등을 가르쳐주고, 학급 행사가 있을 때 게임이나 퀴즈 대회 등을 여는 일.
6) 바른생활 모둠
학생들이 학급에서 정한 규칙과 학교의 규칙을 잘 지켜서 바르게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 모둠. 예를 들면 지각생 단속, 복장, 머리, 실내화, 실내 정숙 등을 지도하고, 학급 내 싸움이라던가, 사건이 있을 때 앞장서서 고민하고 해결하는 모둠.
7) 총무 모둠
학교에서 나눠주는 각종 인쇄물, 홍보물 등을 나눠주고, 걷는 등 선생님을 도와 일을 처리하며, 예절노트 관리, 성적표 파일 관리, 명상의 시간 파일 관리 등을 맡음.
8) 봉사 모둠
봉사활동을 좋아하는 친구들이 모여, 봉사활동 계획을 세운 후, 어떤 곳(봉사가 필요한 곳-고아원, 양로원, 복지관, 동사무소, 자원봉사센터 등)을 방문하여 위문활동, 봉사활동, 거리 청소활동 등을 함.
2. 모둠끼리 할 수 있는 일
① 모둠 노트 쓰기
② 모둠 회의
③ 모둠별 청소 및 자리 배치
④ 모둠별 게시판 정리
⑤ 모둠별 집단 상담
⑥ 모둠별 여가취미 활동
⑦ 모둠별 봉사활동
⑧ 모둠별 아침 마당 진행
⑨ 모둠별 학급 행사 진행 및 참여
⑩ 모둠별 화초 키우기
Ⅷ. 학급활동의 성과
아이들에게 소중하고 재미있는 추억을 만들 수 있게 해 준다. 함께 한다는 것의 의미와 자치의 소중함을 알 수 있게 해 준다. 교사 스스로 연구하고 그것을 통해서 자기 발전의 기쁨을 얻게 해 준다. 주위 교사들에게 학급문화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게 해 준다.
Ⅸ. 향후 학급활동의 개선 방안
1년의 기간은 깨우침을 줄 수는 있지만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3년간 함께 활동을 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필요하다. 학급활동을 보면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는데 이런 것들을 해결할 수 있는 소모임의 구성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학교의 활발한 지원이 있어야 더 많은 활동과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사전에 철저한 계획을 세워서 최대한 지원을 이끌어 내야 한다.
Ⅹ. 결론
계획적인 학급운영을 하면서 학생들에게 무한한 가능성과 희망을 발견했다. 입시나 성적부담 때문에 아이들이 많은 시간을 내서 함께 과제를 해결하고 어울릴 시간적인 여유가 많지는 않았다는 것과 동아리 활동에 필요한 여러 가지 여건에 대하여 충분하고 체계적인 지원을 해 줄 수 없었다는 것이 아쉽게 남았지만, 부족하고 서툰 상황 속에서도 격려와 노력으로 자율적이고 사랑이 넘치는 학급분위기를 만들 수 있어 보람을 느꼈다. 아이들이 활동한 결과를 제시한 사례들을 보고 수준이 낮다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지역의 열악한 경제적, 문화적 상황을 고려한다면 훌륭한 노력의 결과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동아리별 계획서나 활동결과 발표 내용들은 말의 뜻이 잘 통하지 않고 어수룩하지만 아이들이 쓴 그대로를 옮겼다.
참고문헌
김동규, 21세기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 교육과학사, 2001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서울 : 서울인쇄공법협동조합, 1998
박민정, 열린교실의 교육공간 구성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우리교육, 빛깔이 있는 학급운영, 서울 : 우리교육, 1999
여수양지초등학교 보고서, 학습자 중심의 협동학습 적용을 통한 자기 학습력 신장, 2002
최희선, 학교 학급경영, 서울 : 형설출판사, 1990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4.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96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