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공해와 먹을거리의 안전성 위협
①식품 첨가물
➁농약과 화학 비료
➂GMO(유전자 변형 농산물) 식품
2.식문화의 붕괴와 유기농업
➀식문화 붕괴의 근본적인 원인
➁유기농업을 향한 작은 움직임
➂유기농업이란?
➃유기농업의 원리
➄유기농업의 지향점
3.유기농업의 현실
➀현재의 친환경농업의 생산실태
➁소비실태
➂유통실태
4.유기농업의 개선과제
➀생산자의 어려움
➁해결방안 - 정책을 중심으로
➂ 소비자의 역할
5.참고문헌
①식품 첨가물
➁농약과 화학 비료
➂GMO(유전자 변형 농산물) 식품
2.식문화의 붕괴와 유기농업
➀식문화 붕괴의 근본적인 원인
➁유기농업을 향한 작은 움직임
➂유기농업이란?
➃유기농업의 원리
➄유기농업의 지향점
3.유기농업의 현실
➀현재의 친환경농업의 생산실태
➁소비실태
➂유통실태
4.유기농업의 개선과제
➀생산자의 어려움
➁해결방안 - 정책을 중심으로
➂ 소비자의 역할
5.참고문헌
본문내용
적인 문명을 지향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 유기농은 도농직거래를 통한 도시와 농촌간의 신뢰를 지향한다. 이는 과거 물질문명이 만들어놓은 인간사회의 소외와 경쟁을 탈피하여 도농 간의 믿음이 회복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도시의 소비자는 농촌의 생산자의 삶을 지탱해주고, 농촌의 생산자는 도시의 소비자의 생명을 책임지는 공생관계에 있다고 볼 때, 더 이상 농업을 비인간적이고 반생명적인 시장구조에 맡겨둘 것이 아니라, 도농 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직거래를 통해 우리가 당면한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해결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째로 유기농은 이웃 간의 정이 살아있는 옛 우리 마을 공동체를 모델로 삼아 생활 공동체의 형성을 지향한다. 대량생산과 대량폐기로 대변되는 현대물질문명을 탈피하여, 생태계의 흐름과 같이 자체적인 내부순환시스템을 갖춘 건강한 지역경제단위를 형성함으로써, 앞으로 우리에게 닥쳐올 여러 가지 위기에 대한 안전망으로서 다양성을 확보한다.
다음 두 예는 이러한 유기농의 지향점을 잘 드러내는 예이다.
예1) 한살림 생활지침 < 우리는 이렇게 살고자 합니다. >
1 우리는 우리 안에 모셔진 거룩한 생명을 느끼고 그것을 실현합니다.
2 우리는 우리가 딛고 사는 땅을 내 몸처럼 생각합니다.
3 우리는 지역의 이웃과 생산자와 소비자를 가족으로 생각합니다.
4 우리는 우주 생명의 일원으로서 생태계를 책임지고자 합니다.
5 우리는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해 나부터 실천합니다.
예2) 카톨릭 농민회 30주년 선언문
첫째, 우리는 생명의 일꾼으로서 생명중심의 가치관을 확립하고 그 삶을 성실히 실천한다.
둘째, 우리는 생명의 농업과 지역농업의 실천으로 책임있는 생산자 조직과 우리농 마을을 튼튼히 건설한다.
셋째, 우리는 도시소비자 생활공동체(우리농 생협)와 굳건히 연대하여 도농공생의 삶을 창조한다.
넷째, 우리는 이 땅의 자주·민주·통일을 위해 노력하며, 사람과 자연생태계의 뭇생명이 함께 건강하고 활기차게 공생하는 생명문화의 창조를 위해 노력한다.
다섯째, 우리는 생명의 일꾼을 길러내고 순환공생적 삶을 익히기 위한 농장과 학교를 설립한다.
3. 유기농업의 현실
- 전제되어야 할 점
이처럼 먹거리 안전성 문제가 위협받고 있다는 사회적인 공감대가 형성되고 그것의 연장선상에서 자연스럽게 유기농업의 가능성에 눈을 돌리게 된 것은 우선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여기에 몇 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유기농업은 한국농업 전체의 복합적인 문제와 함께 풀어나가야 할 과제임에도 불구하고 웰빙열풍 속에서 부각되었다. 이에 대한 부작용으로 유기농에 대한 관심이 생태적인 입장, 나아가 사회적이고 공익적인 차원의 접근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개개인의 건강에 관한 이슈로 부각되어 상품화되고 있다. 유기농업은 기본적으로는 잠재적인 유전자 변형 식품의 위협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지만, 한국농업 내적으로 보았을 때는 외국산 유기농산물의 수입 문제, 한국의 식량 자급률의 지속적인 안정성 문제, 나아가 농민들의 삶의 기반과 관련된 복합적인 문제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우선, 현재 유기농업의 생산 소비 유통 구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일들을 살펴보면, 유기농업의 필요성과 당위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어느 정도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안정된 판로 부족, 친환경농산물 생산 기술의 미정착, 소비자의 인식부족, 품질과 안전성에 대한 신뢰성 문제, 구매의 접근성과 편의성 저하, 불합리한 가격 결정구조, 품목의 다양성 부족, 수확 후 관리체계 미비, 품질 포시 인증제의 문제, 열악한 물류시설과 전산물류시스템의 여건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친환경농산물의 생산 및 수요 확대와 유통 활성화로 연계되지 못하고 있다.
현재의 친환경농업의 생산실태
표시인증 친환경농산물의 유형별 생산 현황 변화추이
구분
1999
2000
2001
2002
2003
전체
농가수(호)
면적(ha)
생산량(톤)
1,306(0.10)
876(0.04)
26,643(0.15)
2,448(0.18)
2,039(0.11)
35,406(0.19)
4,678(0.34)
4,553(0.24)
87,279(0.45)
11,892(0.93)
11,240(0.61)
200,374(1.17)
23,309(1.82)
24,564(1.33)
366,107(2.14)
유기
농가수(호)
면적(ha)
생산량(톤)
355(0.03)
231(0.01)
6,996(0.04)
353(0.03)
296(0.02)
6,538(0.04)
442(0.03)
450(0.02)
10,670(0.05)
1,505(0.12)
1,602(0.09)
21,114(0.12)
2,756(0.22)
5,654(0.31)
34,191(0.20)
무농약
농가수(호)
면적(ha)
생산량(톤)
449(0.03)
262(0.01)
11,798(0.07)
1,060(0.08)
876(0.05)
15,694(0.08)
1,654(0.12)
1,293(0.07)
32,274(0.17)
4,084(0.32)
3,727(0.20)
76,828(0.45)
7,426(0.58)
6,756(0.37)
120,358(0.70)
저농약
농가수(호)
면적(ha)
생산량(톤)
502(0.04)
383(0.02)
7,849(0.04)
1,035(0.07)
867(0.04)
13,174(0.07)
2,591(0.19)
2,811(0.15)
44,334(0.23)
6,303(0.49)
5,911(0.32)
102,432(0.60)
13,127(1.03)
12,155(0.66)
211,558(1.24)
1) 괄호 안의 수치는 당해연도 전국 총 농가 수, 면적, 생산량 대비 비율을 나타냄.
2) 2003년의 경우 전국 총 농가 수, 면적, 생산량에 대한 자료가 공식 집계결과가 발표되지 않아 편의상 2002년의 해당자료를 대체하여 이용함
자료: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2004)
위의 자료에서도 알 수 있듯 친환경농산물의 생산은 1999년 이후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2003년에는 1993년 대비, 농가 수는 약 18배, 경지면적은 약 28배, 생산량은 약 1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체 농산물 생산량 중에서 친환경농산물이 차지하는 비중도 1999
두 번째로 유기농은 도농직거래를 통한 도시와 농촌간의 신뢰를 지향한다. 이는 과거 물질문명이 만들어놓은 인간사회의 소외와 경쟁을 탈피하여 도농 간의 믿음이 회복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도시의 소비자는 농촌의 생산자의 삶을 지탱해주고, 농촌의 생산자는 도시의 소비자의 생명을 책임지는 공생관계에 있다고 볼 때, 더 이상 농업을 비인간적이고 반생명적인 시장구조에 맡겨둘 것이 아니라, 도농 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직거래를 통해 우리가 당면한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해결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째로 유기농은 이웃 간의 정이 살아있는 옛 우리 마을 공동체를 모델로 삼아 생활 공동체의 형성을 지향한다. 대량생산과 대량폐기로 대변되는 현대물질문명을 탈피하여, 생태계의 흐름과 같이 자체적인 내부순환시스템을 갖춘 건강한 지역경제단위를 형성함으로써, 앞으로 우리에게 닥쳐올 여러 가지 위기에 대한 안전망으로서 다양성을 확보한다.
다음 두 예는 이러한 유기농의 지향점을 잘 드러내는 예이다.
예1) 한살림 생활지침 < 우리는 이렇게 살고자 합니다. >
1 우리는 우리 안에 모셔진 거룩한 생명을 느끼고 그것을 실현합니다.
2 우리는 우리가 딛고 사는 땅을 내 몸처럼 생각합니다.
3 우리는 지역의 이웃과 생산자와 소비자를 가족으로 생각합니다.
4 우리는 우주 생명의 일원으로서 생태계를 책임지고자 합니다.
5 우리는 더불어 사는 삶을 위해 나부터 실천합니다.
예2) 카톨릭 농민회 30주년 선언문
첫째, 우리는 생명의 일꾼으로서 생명중심의 가치관을 확립하고 그 삶을 성실히 실천한다.
둘째, 우리는 생명의 농업과 지역농업의 실천으로 책임있는 생산자 조직과 우리농 마을을 튼튼히 건설한다.
셋째, 우리는 도시소비자 생활공동체(우리농 생협)와 굳건히 연대하여 도농공생의 삶을 창조한다.
넷째, 우리는 이 땅의 자주·민주·통일을 위해 노력하며, 사람과 자연생태계의 뭇생명이 함께 건강하고 활기차게 공생하는 생명문화의 창조를 위해 노력한다.
다섯째, 우리는 생명의 일꾼을 길러내고 순환공생적 삶을 익히기 위한 농장과 학교를 설립한다.
3. 유기농업의 현실
- 전제되어야 할 점
이처럼 먹거리 안전성 문제가 위협받고 있다는 사회적인 공감대가 형성되고 그것의 연장선상에서 자연스럽게 유기농업의 가능성에 눈을 돌리게 된 것은 우선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여기에 몇 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유기농업은 한국농업 전체의 복합적인 문제와 함께 풀어나가야 할 과제임에도 불구하고 웰빙열풍 속에서 부각되었다. 이에 대한 부작용으로 유기농에 대한 관심이 생태적인 입장, 나아가 사회적이고 공익적인 차원의 접근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개개인의 건강에 관한 이슈로 부각되어 상품화되고 있다. 유기농업은 기본적으로는 잠재적인 유전자 변형 식품의 위협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지만, 한국농업 내적으로 보았을 때는 외국산 유기농산물의 수입 문제, 한국의 식량 자급률의 지속적인 안정성 문제, 나아가 농민들의 삶의 기반과 관련된 복합적인 문제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우선, 현재 유기농업의 생산 소비 유통 구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일들을 살펴보면, 유기농업의 필요성과 당위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어느 정도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안정된 판로 부족, 친환경농산물 생산 기술의 미정착, 소비자의 인식부족, 품질과 안전성에 대한 신뢰성 문제, 구매의 접근성과 편의성 저하, 불합리한 가격 결정구조, 품목의 다양성 부족, 수확 후 관리체계 미비, 품질 포시 인증제의 문제, 열악한 물류시설과 전산물류시스템의 여건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친환경농산물의 생산 및 수요 확대와 유통 활성화로 연계되지 못하고 있다.
현재의 친환경농업의 생산실태
표시인증 친환경농산물의 유형별 생산 현황 변화추이
구분
1999
2000
2001
2002
2003
전체
농가수(호)
면적(ha)
생산량(톤)
1,306(0.10)
876(0.04)
26,643(0.15)
2,448(0.18)
2,039(0.11)
35,406(0.19)
4,678(0.34)
4,553(0.24)
87,279(0.45)
11,892(0.93)
11,240(0.61)
200,374(1.17)
23,309(1.82)
24,564(1.33)
366,107(2.14)
유기
농가수(호)
면적(ha)
생산량(톤)
355(0.03)
231(0.01)
6,996(0.04)
353(0.03)
296(0.02)
6,538(0.04)
442(0.03)
450(0.02)
10,670(0.05)
1,505(0.12)
1,602(0.09)
21,114(0.12)
2,756(0.22)
5,654(0.31)
34,191(0.20)
무농약
농가수(호)
면적(ha)
생산량(톤)
449(0.03)
262(0.01)
11,798(0.07)
1,060(0.08)
876(0.05)
15,694(0.08)
1,654(0.12)
1,293(0.07)
32,274(0.17)
4,084(0.32)
3,727(0.20)
76,828(0.45)
7,426(0.58)
6,756(0.37)
120,358(0.70)
저농약
농가수(호)
면적(ha)
생산량(톤)
502(0.04)
383(0.02)
7,849(0.04)
1,035(0.07)
867(0.04)
13,174(0.07)
2,591(0.19)
2,811(0.15)
44,334(0.23)
6,303(0.49)
5,911(0.32)
102,432(0.60)
13,127(1.03)
12,155(0.66)
211,558(1.24)
1) 괄호 안의 수치는 당해연도 전국 총 농가 수, 면적, 생산량 대비 비율을 나타냄.
2) 2003년의 경우 전국 총 농가 수, 면적, 생산량에 대한 자료가 공식 집계결과가 발표되지 않아 편의상 2002년의 해당자료를 대체하여 이용함
자료: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2004)
위의 자료에서도 알 수 있듯 친환경농산물의 생산은 1999년 이후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2003년에는 1993년 대비, 농가 수는 약 18배, 경지면적은 약 28배, 생산량은 약 1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체 농산물 생산량 중에서 친환경농산물이 차지하는 비중도 199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