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I.(주)신세계 - 7개의 백화점. 69개의 이마트점포
Ⅱ.중국 개황
본론
I.투자배경과 상하이 현황
1.이마트의 해외직접투자 배경
2.중국선정배경 - 큰 시장, 같은 동양정서.
3.중국․상하이 현황
Ⅱ.중국진출 전략
1.점포개황
2.현지화 전략
결론-(전망)
1.신세계 기업의 성장 가능성
2.신세계 성장에 따른 이마트의 중국시장투자확대
3.중국의 WTO 가입(2002. 1. 1)에 따른 유통업의 전망.
4.구학서 사장의 이마트에 대한 비젼(vision)
I.(주)신세계 - 7개의 백화점. 69개의 이마트점포
Ⅱ.중국 개황
본론
I.투자배경과 상하이 현황
1.이마트의 해외직접투자 배경
2.중국선정배경 - 큰 시장, 같은 동양정서.
3.중국․상하이 현황
Ⅱ.중국진출 전략
1.점포개황
2.현지화 전략
결론-(전망)
1.신세계 기업의 성장 가능성
2.신세계 성장에 따른 이마트의 중국시장투자확대
3.중국의 WTO 가입(2002. 1. 1)에 따른 유통업의 전망.
4.구학서 사장의 이마트에 대한 비젼(vision)
본문내용
협상을 통하여 일용품의 공급판매계약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상품이 유통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국영상업기업을 통한 유통경로 이외에 공장이 직접 판매에 참여하거나 민간상업기업이 상품유통에 대거 참여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을 통하여 도매, 물류 기능이 향상되고 있으나 전통적인 국영기업 위주의 유통체계가 아직도 잔존하여 그에 따른 문제점이 남아 있다.
그리고 물류의 하드웨어적인 기반도 매우 취약하다. 대량수송 수단이 부족하며, 도로가 비좁고 충분하지 않다. 특히, 내륙운송이 취약하고 항만도 대형선박의 기항이 어려운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중국은 교통 운수 관련 기초 인프라의 부족으로 인해 물류 과정에서의 제품 손실이 큰 편이다. 이는 중국의 물류 과정이 비효율적이고 산만하며 서로 잘 연계되어 있지 않아 최소한 10여 차례의 운송 단계를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전국적으로 물류 과정에서 일어나는 제품 손실액은 농산품이 1,354억 위안, 곡식이 36억 위안, 철강제품이 1,000억 위안에 달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274만개의 운송회사가 있으나 평균 소유 화물차는 1.43대로 100대 이상의 화물차를 소유한 회사는 중윈(中運)과 중와이윈(中外運) 등 소수에 불과하며 화물을 싣지 않고 운행하는 화물차가 전문 물류 기업의 경우만 하더라도 39.8%(매년 150여 만대)로 그 손실이 수 천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합리적인 선진 물류시스템을 갖추기만 해도 5%로 낮출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중국은 물류산업의 낙후가 경제 전반에 걸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정부와 기업 모두가 인식하고 선진 물류시스템의 도입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정부는 국가 대내무역국이 앞으로 전국 주요 도시에 30개의 현대식 물류 배송센터를 설치하고 10개의 전국적 물류망을 가진 전문 물류 배송기업을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국가경제무역위원회, 철도부, 교통부, 정보(信息)산업부, 대외경제무역부, 민항(民航)국 등이 서로 연계하여 2001년 3월 <국내 현대 물류발전에 대한 견해(關與加快我國現代物流發展的若干意見)>라는 보고서를 발표하는 등 물류 산업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외국기업의 선진 관리제도와 기술을 도입하여 제2의 도약을 꾀하고 있다.
지역
물류시스템 정비 계획
상해
- 3가지 물류시스템 구축에 집중
육해공 물류, 도소매 배송 물류, 전자상거래 물류
- 5개 지역에 물류단지 건설
타오푸, 신촹, 푸동공항, 와이가오챠오, 강코우청
- ‘10.5’계획 기간중 물류산업에서 4,500억 위안 매출 기대
신천
- 물류산업을 3대 중요산업으로 선정. 220억 위안 투자
- 광대한 면적의 물류기지 건설(1,600억 위안 투자유치계획)
- ‘10.5’ 기간중 물류산업 매출액을 심천 GDP의 15~20%까지 제고
광주
- 4대 물류센터
북부 : 바이원공항, 철도, 고속도로 등이 연결된 상품 무역 물류센터
남부 : 난샤항을 연결하는 창고 물류 센터
서부 : 광퍼 도시권 발전에 대비한 상품물류센터
동부 : 산업관련 생산재 물류센터
<중국의 지역별 물류산업 정비계획>
Ⅱ. 중국진출 전략
1.점포개황
신세계백화점은 1993년 이래 홍콩사무소를 중심으로 중국유통시장의 진출을 모색하던 중, 1995년 상해 제일야오한백화점의 요청을 받고 1996년 1월 매장임차 방식으로 진출함으로써 한국 최초의 본격적인 대중국 유통업투자로 기록되었다.
최대경쟁사인 까르푸와 여러 외국업체들이 55:45의 비율로 합작하는 것에 비해 이마트는 98%의 자본출자를 하고 중국의 商務中心(상무중심)측은 2%의 자본과 매장사용권을 현물 출자함으로써 이마트의 독자경영을 가능하게 했기에 특혜적 합작형태가 되었다. 이와 같은 합작을 통해 국내 할인점으로는 최초로 중국에 출점한 이마트는 중국 상해시 곡양로 800호에 소재하는 건물 1.2층 4,620평을 10년 기간으로 임차하여, 1997년 2월1일 이마트 상해점을 개점하게 되었다. 1층에는 식품과 비식품 등 생활 필수품을, 2층에는 남녀의류, 패션잡화, 레져, 문화용품 등을 Full Line으로 구성해 원스톱 쇼핑을 선사하며, 판매상품의 75% 이상을 신세계 PB상품 Private brand goods. 백화점슈퍼마켓 등 대형소매상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브랜드 상품. 신세계백화점의 \'피코크\', 롯데백화점의 \'샤롯데\', 현대백화점의 \'시그너스\'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및 한국산으로 구성하여 한국 상품의 중국 진출의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다.
2.현지화 전략
매장관리
국내 기업으로는 최초로 중국 유통시장에 진출한 신세계 이마트가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 것은 철저한 현지화 전략 때문이다. 현지화 전략으로 호기심을 자극하는 방법을 선택했는데 호기심 전략은 한국인이 아닌 중국인의 시각에서 바라봤기 때문에 가능했다. 중국인들의 호기심을 공략하기 위해 각 진열대마다 매일 2~3개씩의 신상품을 구비함으로써 개점 초기 7천여 종이었던 상품의 수가 현재는 1만 8천여 종으로 늘었다. 신상품을 단순히 새로 진열해 판매하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시연판매나 시식코너를 운영하는데, 시연판매나 시식행사는 고객들을 끌어 모으는 효과가 있는 행사이다. 일례로 갓 잡은 연어구이 시식을 실시한 결과 30분 동안 50kg의 연어가 절판되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또한 이마트 상해점은 국내 점포보다 진열대가 낮아 보통 키의 어른이면 모든 상품이 손에 닿을 수 있다는 점이다. 97년 상해점 개점 초기에는 국내 점포와 마찬가지로 진열대 위에다 보관용 상품을 따로 올려놓기도 했지만 상품 진열을 고객 눈 높이에 맞추기 위해 보관용 제품은 모두 매장에서 빼버렸다. 이마트 상해점의 이 같은 눈 높이 마케팅은 상해에 진출한 외국 업체들도 최근 벤치마킹할 정도로 고객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상해는 중국에서도 가장 번화한 도시지만 아직까지 사회주의 생활패턴이 잔재해 있으며 또한 국가에서도 생필품을 제외한 사치품의 소비에 대한 제한을 많이 하기 때문에 식품 쪽의 상품비중을 60%이상으로 높였다. 매출 구성비서 보면 알 수 있듯이 통조림 등 가공식품이 40%, 생활용품 33%, 빵
그리고 물류의 하드웨어적인 기반도 매우 취약하다. 대량수송 수단이 부족하며, 도로가 비좁고 충분하지 않다. 특히, 내륙운송이 취약하고 항만도 대형선박의 기항이 어려운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중국은 교통 운수 관련 기초 인프라의 부족으로 인해 물류 과정에서의 제품 손실이 큰 편이다. 이는 중국의 물류 과정이 비효율적이고 산만하며 서로 잘 연계되어 있지 않아 최소한 10여 차례의 운송 단계를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전국적으로 물류 과정에서 일어나는 제품 손실액은 농산품이 1,354억 위안, 곡식이 36억 위안, 철강제품이 1,000억 위안에 달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274만개의 운송회사가 있으나 평균 소유 화물차는 1.43대로 100대 이상의 화물차를 소유한 회사는 중윈(中運)과 중와이윈(中外運) 등 소수에 불과하며 화물을 싣지 않고 운행하는 화물차가 전문 물류 기업의 경우만 하더라도 39.8%(매년 150여 만대)로 그 손실이 수 천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합리적인 선진 물류시스템을 갖추기만 해도 5%로 낮출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중국은 물류산업의 낙후가 경제 전반에 걸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정부와 기업 모두가 인식하고 선진 물류시스템의 도입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정부는 국가 대내무역국이 앞으로 전국 주요 도시에 30개의 현대식 물류 배송센터를 설치하고 10개의 전국적 물류망을 가진 전문 물류 배송기업을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국가경제무역위원회, 철도부, 교통부, 정보(信息)산업부, 대외경제무역부, 민항(民航)국 등이 서로 연계하여 2001년 3월 <국내 현대 물류발전에 대한 견해(關與加快我國現代物流發展的若干意見)>라는 보고서를 발표하는 등 물류 산업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외국기업의 선진 관리제도와 기술을 도입하여 제2의 도약을 꾀하고 있다.
지역
물류시스템 정비 계획
상해
- 3가지 물류시스템 구축에 집중
육해공 물류, 도소매 배송 물류, 전자상거래 물류
- 5개 지역에 물류단지 건설
타오푸, 신촹, 푸동공항, 와이가오챠오, 강코우청
- ‘10.5’계획 기간중 물류산업에서 4,500억 위안 매출 기대
신천
- 물류산업을 3대 중요산업으로 선정. 220억 위안 투자
- 광대한 면적의 물류기지 건설(1,600억 위안 투자유치계획)
- ‘10.5’ 기간중 물류산업 매출액을 심천 GDP의 15~20%까지 제고
광주
- 4대 물류센터
북부 : 바이원공항, 철도, 고속도로 등이 연결된 상품 무역 물류센터
남부 : 난샤항을 연결하는 창고 물류 센터
서부 : 광퍼 도시권 발전에 대비한 상품물류센터
동부 : 산업관련 생산재 물류센터
<중국의 지역별 물류산업 정비계획>
Ⅱ. 중국진출 전략
1.점포개황
신세계백화점은 1993년 이래 홍콩사무소를 중심으로 중국유통시장의 진출을 모색하던 중, 1995년 상해 제일야오한백화점의 요청을 받고 1996년 1월 매장임차 방식으로 진출함으로써 한국 최초의 본격적인 대중국 유통업투자로 기록되었다.
최대경쟁사인 까르푸와 여러 외국업체들이 55:45의 비율로 합작하는 것에 비해 이마트는 98%의 자본출자를 하고 중국의 商務中心(상무중심)측은 2%의 자본과 매장사용권을 현물 출자함으로써 이마트의 독자경영을 가능하게 했기에 특혜적 합작형태가 되었다. 이와 같은 합작을 통해 국내 할인점으로는 최초로 중국에 출점한 이마트는 중국 상해시 곡양로 800호에 소재하는 건물 1.2층 4,620평을 10년 기간으로 임차하여, 1997년 2월1일 이마트 상해점을 개점하게 되었다. 1층에는 식품과 비식품 등 생활 필수품을, 2층에는 남녀의류, 패션잡화, 레져, 문화용품 등을 Full Line으로 구성해 원스톱 쇼핑을 선사하며, 판매상품의 75% 이상을 신세계 PB상품 Private brand goods. 백화점슈퍼마켓 등 대형소매상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브랜드 상품. 신세계백화점의 \'피코크\', 롯데백화점의 \'샤롯데\', 현대백화점의 \'시그너스\'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및 한국산으로 구성하여 한국 상품의 중국 진출의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다.
2.현지화 전략
매장관리
국내 기업으로는 최초로 중국 유통시장에 진출한 신세계 이마트가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 것은 철저한 현지화 전략 때문이다. 현지화 전략으로 호기심을 자극하는 방법을 선택했는데 호기심 전략은 한국인이 아닌 중국인의 시각에서 바라봤기 때문에 가능했다. 중국인들의 호기심을 공략하기 위해 각 진열대마다 매일 2~3개씩의 신상품을 구비함으로써 개점 초기 7천여 종이었던 상품의 수가 현재는 1만 8천여 종으로 늘었다. 신상품을 단순히 새로 진열해 판매하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시연판매나 시식코너를 운영하는데, 시연판매나 시식행사는 고객들을 끌어 모으는 효과가 있는 행사이다. 일례로 갓 잡은 연어구이 시식을 실시한 결과 30분 동안 50kg의 연어가 절판되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또한 이마트 상해점은 국내 점포보다 진열대가 낮아 보통 키의 어른이면 모든 상품이 손에 닿을 수 있다는 점이다. 97년 상해점 개점 초기에는 국내 점포와 마찬가지로 진열대 위에다 보관용 상품을 따로 올려놓기도 했지만 상품 진열을 고객 눈 높이에 맞추기 위해 보관용 제품은 모두 매장에서 빼버렸다. 이마트 상해점의 이 같은 눈 높이 마케팅은 상해에 진출한 외국 업체들도 최근 벤치마킹할 정도로 고객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상해는 중국에서도 가장 번화한 도시지만 아직까지 사회주의 생활패턴이 잔재해 있으며 또한 국가에서도 생필품을 제외한 사치품의 소비에 대한 제한을 많이 하기 때문에 식품 쪽의 상품비중을 60%이상으로 높였다. 매출 구성비서 보면 알 수 있듯이 통조림 등 가공식품이 40%, 생활용품 33%, 빵
키워드
추천자료
국제수지(투자수지)와 해외직접투자 조세천국에 관한 조사
해외진출, 해외직접투자.ppt
해외투자론 - 뜨는 별 남아공의 해외직접투자
해외시장 진입전략_해외직접투자
[중소기업의 해외투자전략] 해외직접투자의 의의와 동기 및 효과, 중소기업의 해외진출방법
[해외직접투자] 해외직접투자의 개념과 유형(분류) 및 결정요인
[해외직접투자 의의] 해외직접투자의 개념과 특성, 동기, 유형 분류
[비즈니스/경제] 해외직접투자 [분석/조사]
[해외투자론]LG 전자의 해외직접투자
[FDI 개요]기업의 해외 진입방식,해외직접투자의 형태,그린필드(Green Feild)형,브라운필드(B...
[한국의 무역과 해외직접투자] 한국(우리나라)의 무역 규모와 해외직접투자 규모
기업이 해외직접투자를 하는 이유 (직접투자와 경영지배, 우위성의 명제, 우위성의 원천)
해외직접투자전략론- 아모레퍼시픽의 해외 진출전략,아모레퍼시픽의 해외진출,브랜드마케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