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여성들의 복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시대 여성들의 복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본론
1. 조선시대의 복식 - 한복
2. 조선시대 여성 옷의 구성
3. 조선시대 여성 장신구
4. 조선시대 여성의 머리모양과 쓰개

Ⅲ. 머리말

본문내용

족두리 등 관식 이외에 머리 그 자체의 미를 좀더 드러내 보이고자 하는 욕구에서 나온 것이다. 솜을 넣어 만든 것도 있고 종이 백비로 만들기도 하여 가운데를 비게 하여 머리에 쓴 것으로, 민족두리, 꾸민 족두리 등이 있다.
4)장옷쓰개치마너울
장옷쓰개치마너울은 내외가 심하였던 조선조에, 외출 시 내외를 하기 위해 얼굴을 가리는데 쓰였다.
*장옷 : 원래 서민 부녀의 내외용으로만 착용이 허용되었고, 사족(士族) 부녀의 착용은 금하였으나 말기에 들어와 반상을 가리지 않고 통용된 것으로 보인다. 장옷은 초록색 무명이나 명주로 만들고 안은 자주색을 사용하였는데, 동정 대신 넓고 흰 헝겊을 대어 이마 위 정수리에 닿도록 하였으며, 앞은 마주 여미어지도록 맺는 단추를 달았고, 여기에 이중 고름을 양쪽에 달아 손으로 잡아 아무리도록 하였다.
*쓰개치마 : 사족부녀의 장옷 착용이 문제가 되자 상류층에서 사용하던 너울대신 간편함을 쫓아 만들어 쓴 것이 치마형 쓰개치마였으나 국 말에는 상류층도 쓰개치마 대신 장옷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형태가 치마와 같은 것으로, 옥색 옥양목 치마를 방안에다 걸어두었다가, 문 밖에 나갈 때 손쉽게 쓰기도 하였다.
*너울 : 조선 초부터 궁중 양식, 양반집 양식으로 상류계급에서 사용한 부녀자의 내외용(內外用) 쓰개. 원립(圓笠:紫笠靑笠靑箱笠) 위에 자루 모양의 천을 어깨가 덮일 정도로 드리웠으며, 썼을 때 얼굴이 있는 부분은 항라(혹은 망사류)를 대어 앞을 투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너울의 근원은 고려의 몽수(蒙首)에 두고 있으나, 고려의 몽수는 당(唐)의 유모(帽)와 오호(五胡)의 멱리(冪)에 연결된다. 이러한 쓰개는 여인의 외출 시, 특히 말을 탈 때 쓰던 것으로 장식적인 요소가 큰 데 비해, 조선시대의 너울[羅兀]은 엄격한 내외법(內外法)에 따라 착용한 내외용 쓰개였다. 이러한 것은 여성의 내외법이 국 초부터 유교적 도덕관에 의하여 제도화되었음에 비롯한 것이다. 궁중에서는 가례나 상례 때 왕비 이하 나인이 착용하였고, 계급 간에는 천빛깔에 차이가 있었다.
Ⅲ. 맺음말
나름대로 열심히 조사한다고 이것저것 뒤적거리며 일주일을 보냈는데 막상 레포트를 마치고 나니 처음에 조사할 때의 마음과는 달라 매우 후회스럽다. 처음에는 정말이지 ‘이 레포트 하나면 조선시대 여성들의 복식을 마스터했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잘 하려고 했는데, 생각만큼 되지 않은 것 같다.
결과야 어찌되었건 그래도 나는 이제껏 별로 관심 갖지 않았던 ‘한복’에 대해 찾으면서 모르던 것을 많이 알게 되었다. 우선, 이전에 워낙 조선시대 여성들의 옷과 같은 곳에 관심이 없어서 그랬을 런지도 모르지만, 한복에 속옷이 이렇게 자세하게 갖추어져있는지 이제껏 몰랐었다. 한복을 안 입은 지가 10년은 된 것 같은데, 요즘 한복을 입을 때는 치마 안에 속치마 하나만 입고 바로 치마를 입어서 옛날에도 그런 줄 알았다. 그런데 속옷이 체계적으로 잘 갖추어져 있었고, 치마 속에 바지도 입어서 내가 원래 생각했던 것만큼 한복이 그렇게 불편하지는 않았을 것 같았다. 또 속옷이 많았던 만큼 치마까지 제대로 갖춰 입으면 그 모양새가 정말 아름다웠을 것 같았다. 치마를 더 부풀려 보이게 하려고 입는 속옷도 있었다고 하니, 몸을 많이 가리지만 여성스러운 우아함이나 단아함은 다른 어떤 옷보다도 더 잘 표현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 비녀도 은비녀나 옥비녀만 봐왔었는데, 책에는 각종 무늬로 장식된 비녀들이 많이 나왔는데 정말 훌륭한 예술품 같이 보였다. 비녀의 상징성도 처음 알게 되었는데 비녀로도 그 여성의 신분과 처지를 나타냈다고 했다. 조선시대 남녀간의 사랑에서도 비녀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해 온 것도 알고 나니 비녀야말로 조선시대 여성을 대표하는 장신구라는 생각이 들었다.
각종 장신구들을 찾아보다가, 사극에서 흔히 보던 가체에서 흔들흔들 거리던 것이 떨잠이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떨잠이 ‘떨림의 미학’을 표현한 것이라는 데에 공감이 갔다. 사뿐사뿐 한복을 입고 한 걸음씩 옮길 때마다 떨잠도 함께 곰실곰실 움직이면서 한복의 우아함을 더해주는 것 같았다.
‘쓰개’와 같은 것을 조사 할 때는 내외법이 엄격했던 당시 사회를 잘 알 수 있었는데, 외출도 잘 못하는데다가 한 번 외출을 한다 하여도 쓰개로 가리고 다녀야 했던 당대 여성들은 매우 답답했을 것 같았다. 여성들의 사회활동이 많지 않던 때여서 외출할 일이 잘 없기는 하겠지만, 내외를 위해서 얼굴을 제외하고는 거의 가리고 돌아다니려면 이것저것 둘러보는데도 불편하고 걷는데도 불편했을 것 같았다. 특히 너울을 착용한 조선시대 여성의 모습은 얇은 자루를 덮어쓰고 있는 것 같았다. 유교의 질서가 얼마나 엄격했었는지를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의 사극에서는 궁중에서 일어나는 일을 다루어 왕비나 빈 등의 옷이 많이 나온다. 그런 옷은 제작비도 엄청나고, 화면에서 보면 굉장히 화려하다. 하지만 실제로 조선조에는 역대 왕들이 국민의 사치를 억제하고 검약을 따르게 하기 위해 복식에 금령이 자주 있었다고 한다. 그에 따라 왕실 스스로 먼저 검소한 생활로 솔선수범을 보여야 했으므로, 비빈의 의생활이 민가에서 생각하는 것만큼 호화스럽고 사치스럽지는 않았다고 한다.
이번 조사를 마치고 내가 절실히 느낀 점은 ‘공부를 좀 해야겠다’는 것이다. 역사교육과지만 그간 역사에 대해 크게 관심을 갖지 않아서 조사를 하면서도 내가 모르는 게 너무 많다는 생각이 들었다. 입학한 후에 늘 들떠서 책도 잘 안 읽고 했는데, 이제는 여러 분야에 책을 좀 두루 많이 읽어서 역사에 관련하여 어떤 주제라도 그에 대해서 잘 알았으면 한다. 그래도 이제는 사극을 보면 대충 옷의 명칭이나, 구성 같은 건 좀 알 수 있을 것 같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이번 조사가 다른 역사 분야로도 관심을 넓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사진 자료##
너울 장옷 대삼작노리개
※ 참고자료 ※
『전통문화』 44호 1996년 4월호, 한국의 미.
두산동아백과사전 CD-ROM.
권오창, 『조선시대 우리 옷』, 현암사.
유희경, 『한국복식문화사』, 교문사.
사진자료 : http://www.naver.com의 이미지 검색.
  • 가격3,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6.05.04
  • 저작시기200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78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