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미술과 21세기문화아이콘 -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에 위치한 동아대학교박물관 관람문(견학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전통미술과 21세기문화아이콘 -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에 위치한 동아대학교박물관 관람문(견학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림되는 형식이 현대에 쓰이는 형식의 기법과 많이 비슷하여 과거에도 이런기법이 있다는것에 놀라움의 금치 못하였다.
이작품은 조선시대 정궁인 경복궁의 동쪽에 자리한 창덕궁과 창경궁을 함께 그렸다하여 동궐도라고 이름이 붙혀졌다. 물론 본인은 창덕궁과 창경궁을 가보지 못했지만, 이 작품을 바로 볼 때 작가께서 사실적으로 표현하려는것이 불현듯 느껴졌다. 이 동궐도에는 비단바탕에 먹과 채색을 사용하였고, 주위의 산을 배경으로 창덕궁과 창경궁의 수많은 전각 재당 누정 등의 건축물과 연못,괴석등의 정원이나 공원, 그리고 각종 시설물들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평행사선구도와 부감법(그림의 시점을 높은곳에서 아래를 내려다 보는 기법)을 결합하여 세밀하게 묘사한 작품이다.
옆의 사진은 동궐도 속 여러 가지 시설물을 찾기 쉽게 동궐도 안의 여러 가지 시설물을 각각 분류하여 안내판으로 만들어 놓은것이다. 처음 그림을 감상하였을 때에는 창덕궁과 창경궁을 위에서 바라보는 그 넓고 장엄한 그림에 놀랐었지만, 이것을 보고나니 측우기, 해시계, 우물, 당간지주 등 그림속에 그 당시를 표현한 과학기구와 생활기물을 찾는 맛이 쏠쏠하였다.
이 동궐도는 회화적 가치보다는 궁궐 건물 연구에 더 큰 의

추천자료

  • 가격6,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5.06.27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48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