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정제의 독재정치수단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청의 건국과 체제
1. 청의 건국
2. ‘삼번의 난’과 강희제의 치세

Ⅲ. 옹정제의 즉위
1. 황태자의 폐위
2. 황자들의 실력대결
3. 옹정제의 즉위
4. 잔혹한 권력강화
5. 태자밀건법의 제정

Ⅳ. 옹정제의 치세
1. 사상통제
2. 효율적 관료정치를 위한 밀정의 운용
3. 주접제도의 이용
4. 효율적인 인재등용
5. 군기처의 운용

Ⅴ. 『대의각미록』을 통해 본, 옹정제의 정치
1. 대의각미록과 사상통제
2. 뤼류량의 편지와 일기
3. 쩡징의 반역도모
4. 황제의 대답
5. 황제와 지방관들의 긴밀한 관계
6. 옹정제가 쩡징을 용서하고자 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7. 『대의각미록』을 퍼뜨린 결과

Ⅵ. 옹정제 독재정치의 한계
1. 광대한 중국 영토에 그 영향력이 미치지 못한다.
2. 1인 독재정치는 잘못된 방향으로 갈 가능성이 있다.

Ⅶ. 옹정제를 통해 배우는 자세
1. 뜻을 위한 치열한 계획과 인내
2. 꼭 필요한 것이 있다면 반대에 굴하지 않는 자세
3. 능력위주의 인재등용

Ⅷ. 맺으며

본문내용

정반대로 진행되고 말았다.
Ⅵ. 옹정제 독재정치의 한계
1. 광대한 중국 영토에 그 영향력이 미치지 못한다.
옹정제의 독재정치의 가장 큰 한계는, 아무리 그가 관료제도를 개편하여, 전국을 그의 손아래 놓고 싶어도, 그것이 결국에는 뜻대로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점이다. 그가 관료제도의 개편을 통해 얻고자 했던, 관리들의 청렴결백과 능률적 관리는 이상에 불과했던 것이다. 그가 총애했던, 톈원징이나 리웨이같은 인물들은 아주 극소수에 불과했다. 나머지 관료들은 여전히 부정부패에 손을 대고 있었으며, 옹정제가 그들 모두를 그의 눈에 둘 수는 없었던 것이다. 비록, 밀정과 주접을 이용하여 그들을 손아귀에 넣고자 했지만, 광대한 중국영토가 그것을 허용하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나, 이런 옹정제의 시도는 결코 의미가 없던 것은 아니었기에, 능력 위주의 인재등용은 청대의 전통이 되어 남았다. 옹정제의 이러한 시도가, 관료제의 부패를 조금이라도 완화시키는데는 성공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옹정제가 없었다면, 청말 관료제의 부패가 훨씬 앞당겨 나타났을 것이다.
2. 1인 독재정치는 잘못된 방향으로 갈 가능성이 있다.
『대의각미록』이 대표적인 예일 것이다. 옹정제는 이 책을 통해, 청조의 권위를 되찾고, 자신의 노고를 백성들이 이해해주기 바랐으나, 결과는 정반대로 나타났다. 백성들은 유언비어를 오래도록 기억했으며, 그의 해명은 기억해 주지 않았다. 독재정치는 이렇게, 실패가능성을 언제나 안고 있는 것이다. 물론, 지방관이나 신하의 의견을 받아들이지만, 강력한 독재정치는 백성들이나, 신하들로 하여금 무비판적으로 군주의 의견을 따라가도록 만드는 힘이 있는 것이다. 물론, 군주가 절대 실수를 하지 않는 신이라면 문제가 달라지겠으나, 군주 역시 사람이기 때문에,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갈 가능성은 언제나 내포되어 있다.
만약, 신하들과 백성들이 무비판적으로 독재에 익숙해진다면, 그것은 오히려 나라발전의 역량을 저해하는 일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나라가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가더라도 그것을 막아낼 수 있는 저항세력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는 단점도 갖고 있다.
Ⅶ. 옹정제를 통해 배우는 자세
1. 뜻을 위한 치열한 계획과 인내
옹정제는 그의 45년 생애를 통해, 주목받지 못하는 황자로서 더부살이를 하면서 자라왔다고 회고하고 있다. 반면, 그 경험을 통해 자신의 아버지의 정치를 제3자의 입장에서 볼 수 있었기 때문에, 자신의 효율적인 정치체제를 갖추는데 밑바탕이 되었다고 말한다. 그는 자신의 뜻을 위해, 몸을 낮출 줄 알았고, 기회를 노려, 아버지의 신임을 받는데 최선을 다했다. 무엇이 중요하고, 무엇이 필요한 것인지 아는 사람의 자세라고 할 수 있다.
2. 꼭 필요한 것이 있다면 반대에 굴하지 않는 자세
사실 그의 관료제도는 관료들에 의해 비판받기에 마땅하다. 자신을 믿고 파견했음에도, 끊임없이 정찰을 보내고, 끊임없이 주접을 통해 자신의 능력을 판단한다는 것은, 당연히 반발을 초래하는 것이었다. 게다가, 은본위제라던가, 양렴은제는 관리들의 강력한 반발을 샀다. 물론, 그것은 그들의 이익을 줄이기 때문이었다. 옹정제는, 그들의 강력한 반발에도 불구하고 그를 따르는 몇몇 관료들과 함께, 이일을 강력하게 추진하는 추진력을 갖고 있었다. 그런 추진력에서 그의 강력한 독재정치가 시작되는 것이다.
3. 능력위주의 인재등용
이는, 정에 휩쓸리는 우리나라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많다. 당시 청초의 시기에는 매관매직이 성행하는 시기였다. 이는 능력위주의 인재등용이라기 보다는 가문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반하여, 옹정제의 인재등용은 매우 특이한 면이 있었다. 그는 덕이 있더라도 능력이 없으면 등용하지 않았고, 매 기간마다 시험을 통해, 각 관리의 됨됨이를 판단하고 적소에서 그들의 능력을 사용했다. 현대 CEO들이 갖춰야 할 능력을 이미 갖추고 있었던 것은 아닌가 생각된다. 이를 통해, 진정으로 나라와 백성을 생각하는 군주의 모습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Ⅷ. 맺으며
옹정제는 현대의 입장에서는, 절대 위대한 지도자가 될 수 없을 것이다. 그는 현대사회로 보자면, 공산주의의 수장 같은 역할을 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는, 강력한 사상통제를 통해, 청에 반발하는 세력을 막았으며, 강력한 중앙집권적 통치를 위해 관리들을 자신의 손아귀에 두었다. 그러기 위해, 수많은 밀정을 파견했으며, 주접제도를 통해 모든 지방에 직접적인 자신의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러한 강력한 독재정치체제가 가장 살기 좋았던 시대로 회자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가장 중요한 것은, 옹정제가 매우 영민하고 백성을 생각하는 군주였다는 데에 있다. 그는 독재정치를 통해 일신의 영광을 꾀했던 것이 아니라, 자신의 시간과 노력을 희생하더라도 백성의 안정을 꾀했다는데 그의 독재가 매우 성공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의 치세기간이 유난히 짧았음을 감안할 때, 이런 독재는 그의 몸을 너무나도 혹사시켰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그의 독재정치도 나름대로의 한계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건 중국의 광대함 때문이었다. 그가 아무리 강력한 중앙집권적 독재를 추구하고자 해도, 그의 영향력이 전국에 미치기에는 중국은 너무나도 큰 영토를 가지고 있었고, 다른 민족과, 문화들을 함께 아우르고 있었다. 게다가, 그 자신의 실수 가능성까지 내포하고 있었기에, 그의 독재정치는 여러 한계점을 갖고 있을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옹정제는 국가 전체를 자신의 손에 놓고, 개혁하는 일을 통해 청조를 쇄신하는데 일조했음이 틀림없기에, 그는 중국 역사상 위대한 왕중에 하나였음에는 틀림이 없을 것이다.
《참고자료》
미야자키 이치사다, 차혜원 역, 『옹정제』, (서울 : 이산, 2001)
조너선 스펜스, 이준갑 역, 『반역의 책 : 옹정제와 사상통제』, (서울 : 한영문화사, 1996)
조관희 편저, 『중국사』, (서울 : 청아출판사, 1998)
둥예쥔, 황보경 역, 『치국(옹정 원전)』, (서울 : 시아출판사, 2004)
조너선 스펜스, 이준갑 역, 『강희제』, (서울 : 이산, 2001)
조너선 스펜스, 김희교 역, 『현대중국을 찾아서1』, (서울 : 이산, 1999)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5.09
  • 저작시기200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83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