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스포츠의 이해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애인 스포츠의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장애인 스포츠의 역사적인 배경
1) 신체활동과 스포츠의 역사적 전망
2) 장애인에 대한 예우

2. 장애인 스포츠의 구조 및 조직
1) 국제농아인스포츠위원회(CISS)
2) 국제스토크맨드빌휠체어경기연맹 (ISMWSF)
3) 국제장애인경기연맹(ISOD)
4) 국제뇌성마비인경기연맹 (CP-ISRA)
5) 국제시각장애인경기연맹 (IBSA)
6) 국제장애인스포츠기금 (IFSD)
7) 국제 장애인 레크리에이션스포츠 개발 및 장려(RESPO DS-DI)
8) 세계장애인스포츠기구 국제조정위원회
9) 국제정신지체인경기연맹 (INAS-FMH)
10) 국제장애인올림픽위원회 (IPC)
11)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KOSAD)
12) 장애인 체육단체

3. 장애인 올림픽 대회
1) 기본 이념
2) 어원
3) 발전 과정
4) 역대 장애인올림픽대회 특성

본문내용

22일부터 8월 1일까지 12일간 41개국 1,422명의 선수단 (선수 1,092명, 임원 330명)이 참가, 양궁, 농구, 펜싱 등 10개 종목에서 자기 나라의 장애인을 대표해 혼신의 노력으로 장애 극복의 의지를 밝혔다. 우리 나라는 24명의 선수단을 파견하여 은메달 2, 동메달 1개를 획득하였다.
ㆍ제8회 대회-한국 서울 (1988)
한국의 사회복지 구현 의지를 세계에 알리고 뒤떨어진 장애인 복지 수준과 국민 의식을 높이는 새 전기로 삼기 위해 유치된 제8회 서울장애인올림픽대회는 '도전과 극복', '평화와 우정', '참여와 평등'을 대회 이념으로 서울올림픽대회와 동반 개최됨으로써 명실공히 복지 올림픽으로 자리잡았으며 장애인 올림픽의 새로운 모델을 창출한 세계 장애인의 대축제였다. 국민의 관심과 성원뿐만 아니라 참가 규모 역시 역대 대회와 견주어 볼 때 최고 수준이었다. 61개국에서 선수, 임원 4,220명과 심판 554명, 보도진 2,368명, 국제기구요원 100명이 참가했으며, 자원봉사요원 6,431명, 지원요원 4,971명과 행사출연요원 12,156명이 동원됐다.
1988년 10월 10일부터 10월 27일까지 10일간 열린 이 대회는 16개종목(육상, 수영, 농구, 골볼, 탁구, 역도, 사이클, 축구, 배구, 유도, 양궁, 사격, 펜싱, 론볼링, 보치아, 당구)의 정식 종목과 휠체어 테니스가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10월 10일부터 10월 27일까지 문을 연 선수촌으로는 서울 송파구 가락동에 장애인 편의 시설을 완벽하게 갖춰 건립한 선수촌 아파트 3개동 476세대가 활용되었다.
이 대회에서 미국은 금메달 92, 은메달 91, 동메달 85개를 따내 우승했으며, 한국은 금메달 40, 은메달 35, 동메달 19개로 7위를 차지했다. 한편, 이 대회가 끝난 뒤 세계장애인스포츠국제기구조정위원회(ICC)에서는 제8회 서울 대회의 휘장인 5태극 무늬를 ICC 공식기로 채택, 장애인올림픽대회의 영원한 상징으로 남는 영광을 안게 되었다.
ㆍ제9회 대회-스페인 바르셀로나(1992)
제9회 장애인 올림픽대회는 92년 9월 3일부터 14일까지 12일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렸다. 이 대회는 올림픽대회조직위원회가 장애인올림픽조직위원회를 별도로 구성 운영하지 않고 대회 준비에 따른 인력, 행정, 물자, 재정 등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올림픽대회조직위원회 내에 장애인올림픽분과위원회를 설치 운영한 뒤 올림픽 행사 종료후 조직을 그대로 전환하였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고 또한 기존 시설, 즉 경기장 및 선수촌을 그대로 활용하였으며 휠체어 사용자 및 시각장애인을 위한 편의 시설을 추가 설치하여 운영하였다.
개회식은 명예대회장인 스페인 왕비 소피아를 비롯한 각국의 VIP, IOC위원장, ICC위원장, 국제장애인경기연맹 위원장 및 수많은 관중들이 참석한 가운데 9월 3일 오후 6시부터 10시 20분까지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성대히 거행되었다. 이 행사에서 8명의 휠체어 사용자가 장애인 올림픽기를 갖고 입장할 때와 스페인의 유명한 장애인 양궁 선수 안토니오 리볼로(Antonio Rebollo)가 불화살로 점화할 때가 장애인 올림픽 의의 및 특징을 가장 진솔하게 보여 준 장면이었다.
신체적 장애를 극복한 영국의 유명한 천재 과학자 스티븐 호킹(Stephen W. Hawking) 박사가 전세계 장애인에게 특별 메시지를 다음과 같이 전달하였다.
"우리 장애인들은 스스로 분리된 존재로 생각해서는 안되며, 오히려 어떤 특별한 요구를 가진 정상인으로 생각하여야 합니다. 지난 30년 동안 여성이나 유색인과 같이 불이익을 받았던 집단 들이 그들의 요구에 대한 인정과 동등한 대우를 성취했습니다. 이제는 우리 장애인들이 이러한 인정과 대우를 성취해야 할 차례입니다. 우리는 일반인들이 이 일을 대신 해 주리라 기대해서는 안되며, 다른 불이익 집단들이 이미 그랬던 것처럼 우리 스스로 이러한 성취를 위한 운동을 전 개해야 합니다."
모두 15개 종목(육상, 농구, 보치아, 사이클, 펜싱, 축구, 골볼, 역도, 유도, 양궁, 수영, 테니스, 탁구, 사격, 배구)에 전세계 81개국으로부터 선수, 임원 4,273명이 참가한 이 대회에서 미국은 금메달 76, 은메달 52, 동메달 48개를 따내 종합 1위를 차지하고, 한국은 금메달 11, 은메달 15, 동메달 18개로 12위를 차지했다.
이 대회가 성공적으로 끝날 수 있었던 것은 ONCE(Spanish National Organisation for the Blind)재단이 대회 예산의 40%에 해당하는 55억 2천 7백만 페세타의 막대한 재정 지원과 행정, 물자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ONCE재단은 1938년도에 설립된 비용리 공익재단으로서, 복권 사업, 기부금, 국가나 지방자치 단체 보조금, 수익 사업 등을 통해 얻은 재원을 장애인 복지를 위하여 사용하는 장애인 단체이다.
역대 장애인 올림픽대회의 한국 참가 성적

연 도
개 최 지
참가인원
참 가 실 적




3회
1968
텔 아 비 브
10
4회
1972
하이델베르크
16
4
2
1
7
탁 구 3
양 궁 1
양 궁 2
5회
1976
토 론 토
11
1
2
1
4
탁 구 1
탁 구 1
양 궁 1
탁 구 1
6회
1980
안 햄
15
2
2
1
5
탁 구 1
양 궁 1
탁 구 2
탁 구 1
7회
1984
뉴 욕
35
1
1
역 도 1
에일즈버리
24
2
1
3
탁 구 1
양 궁 1
탁 구 1
8회
1988
서 울
319
40
35
10
85
양 궁 4
육 상 16
보치아 1
사이클 2
펜 싱 3
유 도 1
역 도 2
사 격 6
수 영 1
탁 구 4
양 궁 1
육 상 11
보치아 2
사이클 1
펜 싱 1
유 도 1
론볼링 1
역 도 4
사 격 1
탁 구 7
양 궁 1
육 상 9
사이클 2
론볼링 1
역 도 1
사 격 1
수 영 3
탁 구 1
9회
1992
바르셀로나
92
11
15
18
44
양 궁 1
육 상 4
보치아 1
유 도 1
역 도 2
사 격 1
탁 구 1
육 상 7
역 도 1
사 격 5
탁 구 2
양 궁 2
육 상 4
보치아 1
사이클 1
유 도 1
역 도 1
사 격 2
탁 구 6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6.05.10
  • 저작시기200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87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