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음악치료 효과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음악치료 효과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음악치료요법의 정의
2. 음악치료요법의 역사
1) 고대에서 근대까지
2) 현대의 음악치료

3. 음악치료요법의 원리

4. 음악치료요법의 이론모델
1) 행동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음악치료
2) 인본주의에 바탕을 둔 음악치료
3) 정신분석에 바탕을 둔 음악치료
4) 생체의학에 바탕을 둔 음악치료

5. 음악치료요법의 적용 대상자

6. 음악치료요법의 효과
1) 음악에 대한 생리적인 반응
2) 음악에 대한 심리적인 반응
3) 음악에 대한 사회적인 반응
4) 음악 치료 시 기대되는 일반적 효과

7. 음악치료요법의 방법
1) 음악 연주그룹
2) 즉흥 연주그룹
3) 창작, 작곡, 노래 만들기
4) 적극적인 음악 감상과 인식, 말하기 유도
5) 적극적인 음악 감상과 상상
6) 삶을 위한 리듬
7) 배경음악을 사용한 다른 활동들

8. 음악치료요법의 적용
1) 진단(Assessment)
2) 치료계획(Planning)
3) 치료(Treatment)
4) 평가(Evaluation)

9. 음악치료요법의 적용사례

Ⅲ.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부록 -2

본문내용

악치료사들이 다른 진단평가 방법에서는 검사할 수 없다고 여겨지는 특정 대상자를 정하기 위해 동기부여, 만족, 비인지적, 음악의 오른 뇌 등을 이용하는 것을 허락하여야 한다.
2) 치료계획(Planning)
대상자를 위한 목적과 목표를 설정한다. 목적은 장기적이고 추상적인 것이며 목표는 치료가 가해진 후 반응을 객관적인 자료를 통해 평가할 수 있도록 정해진 단기적이고 구체적으로 설정한다.
3) 치료(Treatment)
치료사가 대상자의 건강과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음악적 경험, 특정 기법을 적용하는 치료의 한부분이다. 주로 사용하는 기법은 즉흥연주, 재창조의 경험, 작곡, 감상이다.
4) 평가(Evaluation)
치료사가 치료의 결과로 대상자가 변화되었는지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진단평가에 따라 다양한 기법으로 접근할 수 있다.
세션 1.
방법: 노래 패러디, 노래 만들기
목적: 라포 형성
활동내용: 내담자 자신 이름 소개, 인사 노래 만들기(hello song, goodbye song)
=> 국악 ‘굿거리 장단’ 반주법을 사용해서 노래 분위기가 흥겹고 친숙한 선율이 되도록 함
치료적 근거
-Let me introduce myself(N.R.) \'이름소개‘를 위해 작곡되어진 곡. 12/8박의 경쾌한 리듬과 단순한 선율 . 기억하기 쉽고 따라 부르기가 쉽다.
-Hello Song : 6/8의 세마치장단 . 국악의 조성인 평조(서양의 장조)작곡.
-Goodbye Song : 가사가 그들의 상황에 와 닿고, 부르기 쉬운 노래면 노래를 배우고, 부르는데 있어서 충분히 동기유발을 시킬 수 있다. 슈만의 가곡- 신체적 긴장을 풀어주고 안정감을 준다. 세션의 끝을 알리고, 하루의 긴장을 이완
9. 음악치료요법의 적용사례 - 우울증을 가진 노인들을 위한 음악치료
세션 2.
방법: 노래 패러디
목적: 라포형성
활동 내용: 내담자 자신의 마음의 나이를 말해보고 그때의 사건, 열등 등에 초점을 맞춰서 이야기 하도록 유도한다.
=> ‘나는 열일곱 살이에요’ 를 개사하여 자신의 나이를 소개
ex) 치료자: “ooo할머니의 마음의 나이는 몇 살이세요?”
내담자: “나는 가슴이 두근거려요. 당신만 아세요, 스무 살이에요”
치료자: “스무살이요? 그럼 저보다도 어린 나이네요~ 그럼, 그때 가장 기억나는 일이 머에요?”
내담자:“ 그때? 우리 낭군님 만났지..”
치료적 근거
-‘나는 열일곱 살이에요’ ; 유행가. 내담자귀에 익숙하고 따라 부르기 쉬워, 세션 초기에 내담자가 느낄 수 있는 치료시간에 대한 긴장과 부담감을 풀어 준다.
세션 3.
방법: 노래 듣고 회상하기, 노래 패러디
목적: 라표 형성 및 추억 회상
활동 내용:
1)고향 소개 - ‘고향의 봄’, ‘메기의 추억’를 부르고 난 뒤 서로의 고향과 어릴 적 고향 친구에 대해 얘기하기.
2)가족 소개 - ‘비둘기 집’ 노래를 불러본 뒤 가족 구성원을 소개해 보고 구성원 안에서의 자신의 역할에 대해서 이야기 하도록 한다.
치료적 근거
-‘고향의 봄’,‘매기의 추억’ : 노래를 통한 과거 회상. 노년기에 발생하는 스트레스 적응.내면의 문제와 우울감 등을 해소. 대인관계 및 사회성을 향상 시키고, 자아감을 높일 수 있다.
- ‘비둘기 집’ : Song writing은 우리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 할수 있는 음악적 활동
세션 4.
방법: 노래 그림 그리기, 노래 대화하기
목적: 추억 회상
활동내용: 노래 감상 후 보고 싶은 얼굴을 떠올려 보고, 그림 그려보기
=> ‘얼굴’노래를 들려준 뒤 보고 싶은 얼굴을 떠올려서 그리게 한다.
치료적 근거
-‘얼굴’ : 귀에 익숙한 이 곡은 노래선율만 들어도 ‘얼굴’이란 단어를 금방 떠올릴 수 있고, 보고 싶은 얼굴을 회상할 수 있도록 한다.‘동그라미 그리려다 무심코 그~린 얼굴~’ 하며 느린박자에 단조의 선율.노래가사처럼 노래 감상후 자연스럽게 각자 떠올린 사람의 얼굴을 그림으로 표현.
세션 5.
방법: 노래 부르고, 대화하기
목적: 내면의 문제 감정이입
활동내용: 노래를 부른 후 자신의 문제점을 표현한다.
=> ‘가시나무’ 노래를 부른 뒤 자신의 마음 중 가장 버리고 싶은 것 한 가지를 이야기 한 뒤 마음 속에서 버리게 한다.
ex) \"내 속엔 헛된 내가 없으니~ 당신이 쉴~ 곳 있~네“ 로 개사하며 마무리.
치료적 근거
-‘가시나무’ : ‘내 속엔 내가 너무도 많아서, 당신의 쉴 곳 없네’하며 시작된다. 내면의 문제를 은유적으로 표현해 낸 가사. 내담자의 문제점. 문제점을 보편화 할 수 있어, 세션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줄 수 있다. 단계 2로 들어가기 위한 도입과정.
세션 6.
방법: 노래 부르고 대화하기
목적: 내면의 문제점을 자각하고 보편성 갖기
활동내용:
1) 현재의 문제점을 표현하기
=>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외로운 길을 홀로 가는 존재지만 다른 사람들이 있음으로 많은 힘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한다.
ex) \'누군가 널 위해 기도하네‘ 곡을 한사람 한사람을 쳐다보며 불러주기
2) 다른 사람 용서하기
=> ‘클레멘 타인’ 노래를 부르며 나를 버리고 간 사람들, 나를 서운하게 한 사람들을 떠오르게 한다.
‘아리랑’을 개사(“나를 버리고 가신 ~님~도 잘 먹고, 잘 살아라”)하여 용서하게 한다.
치료적 근거
-‘산장의 여인’ ‘아무도 날 찾는 이 없는 외로운 이 산장에~
병들고, 가족한테 버림받은 지금 내 담자들의 처지와도 비슷. 내담자들은 자신의 문제를 투사하고, 정화시킬 수 있으며, 문제를 보편화, 부담없이 표현.
-‘ 클레멘 타인’ ‘아리랑’
가사를 통해 문제를 외면화. 서로의 문제를 주고 받으며 보편화 시킬 수 있다.
세션 7.
방법: 노래로 대화하기
목적: 내면의 문제 확인하고 수용하기
활동내용: ‘인생의 마지막 순간’을 표현하고 그것을 위해 현재 삶의 자세는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해서 생각하게 한다.
=> ‘하숙생’ 들려주고 가사를 읽어준 뒤 생각하게 한다.
치료적 근거
-하숙생 : ‘인생의 희, 노, 애, 락’을 회상하게 하고, 또 내담자 자신의 인생관에서 버려야 할 욕심들을 떠올려 볼 수 있돌고 돕는다. ‘인생의 마지막 시간’을 생각해 보고 나누기

키워드

음악치료,   간호,   음악요법,   음악,   치료,   정신,   보건,   간호학
  • 가격2,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6.08.02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87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