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패러글라이딩의 역사와 정의
1. 패러글라이더의 역사
2. 패러글라이더의 정의
3. 패러글라이더는 항공기에 속하는가?
4. 항공기 및 초경랑 비행장치
◎패러글라이딩의 구성 및 구조
1. 패러글라이더의 명칭
2. 패러글라이더의 각 부분의 역할
3. 부속장비의 역할
◎패러글라이딩 비행원리
1. 비행이론
2. 공기의 흐름
3. 공기역학
4. 날개이론
◎비행 조건 및 활공장
1. 활공장의 조건
2. 바람의 조건
3. 대표적인 활공장
◎패러글라이딩 지상 연습
1. 파일럿의 자세
2. 지상연습
◎이륙, 활공, 착륙
◎비행규칙
◎상승비행
1. 릿지비행(ridge soaring,사면 상승비행)
2. 열비행(thermal soaring)
3. 웨이브 비행(wave soaring)
◎패러글라이딩 Tip
1. 패러글라이더의 역사
2. 패러글라이더의 정의
3. 패러글라이더는 항공기에 속하는가?
4. 항공기 및 초경랑 비행장치
◎패러글라이딩의 구성 및 구조
1. 패러글라이더의 명칭
2. 패러글라이더의 각 부분의 역할
3. 부속장비의 역할
◎패러글라이딩 비행원리
1. 비행이론
2. 공기의 흐름
3. 공기역학
4. 날개이론
◎비행 조건 및 활공장
1. 활공장의 조건
2. 바람의 조건
3. 대표적인 활공장
◎패러글라이딩 지상 연습
1. 파일럿의 자세
2. 지상연습
◎이륙, 활공, 착륙
◎비행규칙
◎상승비행
1. 릿지비행(ridge soaring,사면 상승비행)
2. 열비행(thermal soaring)
3. 웨이브 비행(wave soaring)
◎패러글라이딩 Tip
본문내용
- 목 차 -
Ⅰ 패러글라이딩의 역사와 정의 2
1. 패러글라이더의 역사
2. 패러글라이더의 정의
3. 패러글라이더는 항공기에 속하는가?
4. 항공기 및 초경랑 비행장치
Ⅱ 패러글라이딩의 구성 및 구조 4
1. 패러글라이더의 명칭
2. 패러글라이더의 각 부분의 역할
3. 부속장비의 역할
Ⅲ 패러글라이딩 비행원리 5
1. 비행이론
2. 공기의 흐름
3. 공기역학
4. 날개이론
Ⅳ 비행 조건 및 활공장 6
1. 활공장의 조건
2. 바람의 조건
3. 대표적인 활공장
Ⅴ 패러글라이딩 지상 연습 9
1. 파일럿의 자세
2. 지상연습
Ⅵ 이륙, 활공, 착륙 11
1. 이륙(take off)
2. 활공비행
3. 착륙
Ⅶ 비행규칙 14
Ⅷ 상승비행 15
1. 릿지비행(ridge soaring,사면 상승비행)
2. 열비행(thermal soaring)
3. 웨이브 비행(wave soaring)
Ⅸ 패러글라이딩 Tip 18
Ⅰ 패러글라이딩의 역사와 정의
1. 패러글라이더의 역사
984년 프랑스의 등산가 Jean Mark Cuovins 가 낙하산을 개조하여 처음 패러글라이더를 만들어 비행에 성공 하였는데 이것이 오늘날 패러 글라이더의 효시라 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쉽고,간단하게 배워 비행을 즐기자 그 인구는 급속도로 증가를 하였고 각국의 항공협회 산하 행글라이딩 협회 내에 패러글라이딩 위원회를 구성하게 되었다. 국제 항공연맹(F.A.I)산하 국제 행글라이딩 분과를 구성하여 이제 새로운 항공 스포츠로 성장하게 되었다. 국내에는 1986년 처음으로 소개되어 레저 항공 스포츠로 널리 각광을 받기 시작하여 한국 활공협회 조직내에 패러글라이딩 분과를 구성하게 되었다.
2. 패러글라이더의 정의
패러 글라이더(paraglider)는 낙하산(parachute)과 행글라이더(hangglider)의 특성을 결합한 것으로 낙하산의 안정성, 분해 조립, 운반의 용이성 그리고 행글라이더의 활공성과 속도(speed)를 고루 갗춘 이상적인 날개 형태로 만들어 졌다. 패러 글라이더는 인력 활공기라 할수 있다. 즉 별도의 동력 장치 없이 사람이 달려 가면서 이륙을 하거나 또는 제자리에서 이륙을 하여 비행을 한후 두발로 착륙을 한다.
3. 패러글라이더는 항공기에 속하는가
항공기
-공기보다 가벼운 항공기(경 항공기)
-동력이 없는 것
-자유기구
-계류기구
-동력이 있는 것
-연식 비행선
-경식 비행선
_반경식 비행선
-공기보다 무거운 항공기(중 항공기)
-동력이 없는 것
-연
_활공기(동력.인력활공기)
-동력이 있는 것
-비행기
-회전식 헬리콥터
_전환식 항공기
즉 패러글라이더는 항공기에서 공기보다 무거운 항공기에 속하고 동력이 없는 활 공기(초경량비행 장치)에 속한다.
4. 항공기 및 초경랑 비행장치
1) 항공기(aircraft)기의 정의
(1)항공기(국제법)
대기의 반작용에 의해 공기 중에 떠있을수 있는 기기를 항공기라 한다.
(2)항공기(국내법)
사람이 탑승 조종하여 민간 항공에 사용하는 \"비행기,비행선,활공기\" 회전익 항공기를 말한다.
2)초 경량 비행장치
항공기 외에 사람이 탑승 조종하여 비행할수 있는 장치로서 대통령이 정하는 동력 비행
장치, 인력활공기, 기구류를 말한다.
(1)동력 비행장치 : 다음요건을 갗춘비행장치를 말한다.
1.자체중량이 115Kg 미만인 것
2.연료 용량이 19ℓ 이하인 것
3.최대 출력 사용시 수평비행속도가 시속 102km 이하인 것
4.느린 속도로 운전 하는 경우 실속 속도가 44km 이하인 것
5.차륜,스키드,플로트(FLOAT)등의 착륙장치가 부착된 고정익 비행장치인 것
(2)인력 활공기
1.자체 중량이 90Kg 미만인 행글라이더 및 패러 글라이더
(3)기구
1.유인 자유기구
3)초 경량 비행 비행 장치의 비행
초 경량 비행 장치를 이용하여 비행하고자 하는 자는 미리 비행계획을 수립하여 교통부 장관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다만 교통부에 정하는 공역에서 비행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4)초경량 비행장치의 비행 승인
초 경량 비행장치의 비행계획의 승인을 얻고자 하는 자는 다음 각호의 사항을 기제한 비행 계획 승인 신청서를 교통부 장관에게 제출 하여야 한다.
(1) 비행 예정일시 및 비행 예정 구역.
(2) 비행의 방식, 경로 및 고도
Ⅱ 패러글라이딩의 구성 및 구조
1. 패러글라이더의 명칭
1. 캐노피 (윗면/아랫면)
2. 싸이드 벤트홀(립/세로막)
3. 에어 인테이크 홀( 공기 흡입구/기공)
4. 산줄
5. 스테빌라이저
Ⅰ 패러글라이딩의 역사와 정의 2
1. 패러글라이더의 역사
2. 패러글라이더의 정의
3. 패러글라이더는 항공기에 속하는가?
4. 항공기 및 초경랑 비행장치
Ⅱ 패러글라이딩의 구성 및 구조 4
1. 패러글라이더의 명칭
2. 패러글라이더의 각 부분의 역할
3. 부속장비의 역할
Ⅲ 패러글라이딩 비행원리 5
1. 비행이론
2. 공기의 흐름
3. 공기역학
4. 날개이론
Ⅳ 비행 조건 및 활공장 6
1. 활공장의 조건
2. 바람의 조건
3. 대표적인 활공장
Ⅴ 패러글라이딩 지상 연습 9
1. 파일럿의 자세
2. 지상연습
Ⅵ 이륙, 활공, 착륙 11
1. 이륙(take off)
2. 활공비행
3. 착륙
Ⅶ 비행규칙 14
Ⅷ 상승비행 15
1. 릿지비행(ridge soaring,사면 상승비행)
2. 열비행(thermal soaring)
3. 웨이브 비행(wave soaring)
Ⅸ 패러글라이딩 Tip 18
Ⅰ 패러글라이딩의 역사와 정의
1. 패러글라이더의 역사
984년 프랑스의 등산가 Jean Mark Cuovins 가 낙하산을 개조하여 처음 패러글라이더를 만들어 비행에 성공 하였는데 이것이 오늘날 패러 글라이더의 효시라 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쉽고,간단하게 배워 비행을 즐기자 그 인구는 급속도로 증가를 하였고 각국의 항공협회 산하 행글라이딩 협회 내에 패러글라이딩 위원회를 구성하게 되었다. 국제 항공연맹(F.A.I)산하 국제 행글라이딩 분과를 구성하여 이제 새로운 항공 스포츠로 성장하게 되었다. 국내에는 1986년 처음으로 소개되어 레저 항공 스포츠로 널리 각광을 받기 시작하여 한국 활공협회 조직내에 패러글라이딩 분과를 구성하게 되었다.
2. 패러글라이더의 정의
패러 글라이더(paraglider)는 낙하산(parachute)과 행글라이더(hangglider)의 특성을 결합한 것으로 낙하산의 안정성, 분해 조립, 운반의 용이성 그리고 행글라이더의 활공성과 속도(speed)를 고루 갗춘 이상적인 날개 형태로 만들어 졌다. 패러 글라이더는 인력 활공기라 할수 있다. 즉 별도의 동력 장치 없이 사람이 달려 가면서 이륙을 하거나 또는 제자리에서 이륙을 하여 비행을 한후 두발로 착륙을 한다.
3. 패러글라이더는 항공기에 속하는가
항공기
-공기보다 가벼운 항공기(경 항공기)
-동력이 없는 것
-자유기구
-계류기구
-동력이 있는 것
-연식 비행선
-경식 비행선
_반경식 비행선
-공기보다 무거운 항공기(중 항공기)
-동력이 없는 것
-연
_활공기(동력.인력활공기)
-동력이 있는 것
-비행기
-회전식 헬리콥터
_전환식 항공기
즉 패러글라이더는 항공기에서 공기보다 무거운 항공기에 속하고 동력이 없는 활 공기(초경량비행 장치)에 속한다.
4. 항공기 및 초경랑 비행장치
1) 항공기(aircraft)기의 정의
(1)항공기(국제법)
대기의 반작용에 의해 공기 중에 떠있을수 있는 기기를 항공기라 한다.
(2)항공기(국내법)
사람이 탑승 조종하여 민간 항공에 사용하는 \"비행기,비행선,활공기\" 회전익 항공기를 말한다.
2)초 경량 비행장치
항공기 외에 사람이 탑승 조종하여 비행할수 있는 장치로서 대통령이 정하는 동력 비행
장치, 인력활공기, 기구류를 말한다.
(1)동력 비행장치 : 다음요건을 갗춘비행장치를 말한다.
1.자체중량이 115Kg 미만인 것
2.연료 용량이 19ℓ 이하인 것
3.최대 출력 사용시 수평비행속도가 시속 102km 이하인 것
4.느린 속도로 운전 하는 경우 실속 속도가 44km 이하인 것
5.차륜,스키드,플로트(FLOAT)등의 착륙장치가 부착된 고정익 비행장치인 것
(2)인력 활공기
1.자체 중량이 90Kg 미만인 행글라이더 및 패러 글라이더
(3)기구
1.유인 자유기구
3)초 경량 비행 비행 장치의 비행
초 경량 비행 장치를 이용하여 비행하고자 하는 자는 미리 비행계획을 수립하여 교통부 장관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다만 교통부에 정하는 공역에서 비행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4)초경량 비행장치의 비행 승인
초 경량 비행장치의 비행계획의 승인을 얻고자 하는 자는 다음 각호의 사항을 기제한 비행 계획 승인 신청서를 교통부 장관에게 제출 하여야 한다.
(1) 비행 예정일시 및 비행 예정 구역.
(2) 비행의 방식, 경로 및 고도
Ⅱ 패러글라이딩의 구성 및 구조
1. 패러글라이더의 명칭
1. 캐노피 (윗면/아랫면)
2. 싸이드 벤트홀(립/세로막)
3. 에어 인테이크 홀( 공기 흡입구/기공)
4. 산줄
5. 스테빌라이저
추천자료
레이더 전반사항
항공우주학개론 5장 연습문제
청소년의 정의 및 특성..그리고 청소년 상담사례
유체역학이 적용된 사례
청소년 상담 요약, 정리
학교생활지도와 아동발달, 학교생활지도와 가정생활지도, 가정통신문, 학교생활지도와 학생인...
학교생활지도의 개념과 목적 및 기본방침, 학교생활지도와 예절지도, 학교생활지도와 탈선예...
최근 사회적인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청소년의 비행의 종류를 열거하고 종류별 적절한 해결방...
[사회복지개론] 교정복지와 산업복지 및 군사회복지에 대한 이해와 정리
25. 항공역학 고양력 장치와 고항력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시요
(해피)항공우주학-항공기발달사에 대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