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석굴암 조성배경
3. 마애비 명문에 대하여
4. 나오며
# 참고문헌
2. 석굴암 조성배경
3. 마애비 명문에 대하여
4. 나오며
#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만 석굴암 자체에 대한 기록이 워낙 빈약하여 석굴암 복원과 같은 연구에 있어서 크나큰 장애가 있다. 특히 총독부에서 막대한 경비와 3차에 걸친 공사에 관해서 보고서가 하나도 남겨지지 않았고 자의적인 수리-입구경관의 개변을 한 데서 석굴암은 본래의 모습을 상실하게 되었다. 1200년간 우리의 손에 의하여 수호된 석굴암. 마치 자신들이 처음 발견하고 수리하였다고 선전한 일제에 의해 또 한번 우리의 역사는 어둠 속에서 헤매고 있으나 진실은 언젠가는 밝혀질 것이다.
# 참고문헌
황수영 「석굴암 수리공사보고서」, 1967
이홍직,「석굴암 수리공사보고서 서평」,『한국사연구』, 한국사연구회, 1968, p 166
남천우,「석굴암에서 망각되어있는 고도의 신라과학」, 『진단학보』, 진단학회, 1969,
pp 94~97
문명대,「경주석굴암의 조성배경과 석굴의 구조」, 『신라문화재학술발표회 논문집』,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988, pp 103~109
최부득,「신적 공간의 현현(顯現)-석굴암」,『미학예술학연구』, 한국미학예술학회, 1992
pp 45~48
박홍국, 「석굴암 진입로변의 조선시대 마애비」, 『경주사학』20, 경주사학회, 2001,
pp 197~206
# 참고문헌
황수영 「석굴암 수리공사보고서」, 1967
이홍직,「석굴암 수리공사보고서 서평」,『한국사연구』, 한국사연구회, 1968, p 166
남천우,「석굴암에서 망각되어있는 고도의 신라과학」, 『진단학보』, 진단학회, 1969,
pp 94~97
문명대,「경주석굴암의 조성배경과 석굴의 구조」, 『신라문화재학술발표회 논문집』,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988, pp 103~109
최부득,「신적 공간의 현현(顯現)-석굴암」,『미학예술학연구』, 한국미학예술학회, 1992
pp 45~48
박홍국, 「석굴암 진입로변의 조선시대 마애비」, 『경주사학』20, 경주사학회, 2001,
pp 197~20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