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중세 카톨릭교의 직업관
Ⅲ. 루터
1. 루터의 종교개혁
2. 루터의 직업관
(1) 신분
(2) 직업
(3) 일
Ⅳ. 칼뱅
1. 칼뱅의 예정설
2. 칼뱅의 직업관
(1) 노동의 강조
(2) 검소, 절약의 강조
(3) 직업관
Ⅴ.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 윤리와 자본주의의 정신」
Ⅵ. 나오며
Ⅱ. 중세 카톨릭교의 직업관
Ⅲ. 루터
1. 루터의 종교개혁
2. 루터의 직업관
(1) 신분
(2) 직업
(3) 일
Ⅳ. 칼뱅
1. 칼뱅의 예정설
2. 칼뱅의 직업관
(1) 노동의 강조
(2) 검소, 절약의 강조
(3) 직업관
Ⅴ.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 윤리와 자본주의의 정신」
Ⅵ. 나오며
본문내용
오히려 신분질서를 유지하려는 경제적 전통주의로 복귀했다고 베버는 주장했다. 이에 반해 칼뱅은 루터의 직업 관념을 계승하고 전통주의적인 면을 일소하여 근대적 직업 관념을 발전시켰다고 보았다. 자기의 직업에 충실한 것이 하나님께 충실한 것이라고 가르침으로써 일에 전념하는 인간형을 발전시켰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베버는 칼뱅주의의 예정론이 자본주의의 발달에 공헌했다고 보았다. 예정론에 의하면 어떤 사람은 하나님으로부터 선택되었고 어떤 사람은 버림을 받았으며, 이것은 인간이 돌이킬 수 없는 결정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사람들은 자기가 선택받았는가를 묻게 되고 그 선택의 표징을 찾게 되었으며, 자기가 선택받은 자임을 확신하기 위해 금욕적 노동에 충실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요컨대 베버는 칼뱅주의의 직업관과 예정론이 근면하고 검소하고 절약하는 인간형을 형성했으며, 그런 사람들에 의해 자본주의가 발달했다고 주장했다
Ⅵ. 나오며...
고대사회로부터 프로테스탄트 이전 시대까지는 경제적 소득을 목적으로 하거나 생계를 위해 생산적인 일에 종사하는 활동은 천시되었고 낮은 신분의 사람들에게만 한정된 활동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동관과 직업관에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한 것은 종교개혁이 일어나면서부터였다. 종교개혁자들은 종교적인 것 못지않게 세속적인 노동 역시 동등한 가치를 지니 며 똑같이 하느님을 기쁘시게 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종교개혁 이후 프로테스탄트(改新敎)의 윤리는 모든 직업적 활동을 하느님의 소명(召命, calling)이라고 하는 새로운 해석을 하게 되었다. 모든 직업은 하느님이 그로 하여금 그 일을 하 도록 부르신 것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자신의 직업적 활동에 최선을 다해야 하고 직업을 통해 하느님의 영광을 드러내야 할 것이라고 가르치게 되었다. 더 나아가서 직업적 성공은 하느님의 구원을 받았다는 증거가 된다고 규정함으로써 모든 사람들은 자신의 생업에 대해 긍지를 갖게 되었을 뿐 아니라 직업적 활동에 온갖 정성을 기울이게 되었다.
개신교 가운데에서도 칼뱅주의자들은 모든 사람은 특정한 직분을 하느님에게서 부여받아 그 직업을 통해서 하느님의 영광을 드러내면서 살도록 부르심을 받았다고 믿었던 것이다. 하느님은 모든 사람에게 서로 다른 재능을 주시고 그 재능에 따라 여러 가지 직분을 정해 주셨으므로 모든 사람들은 자신의 직업에 최선을 다함으로써 하느님의 뜻을 이룬다고 가르쳤다.
이와 같은 소명의식을 가지고 개신교도들은 자신의 직업에 정성을 다 기울였을 뿐 아니라, 항상 근면하고 성실하며 검약한 생활을 해 나아갔던 것이다. 이러한 소명의식에 기초한 직업윤리는 돈과 권력과 명예와 같은 세속적 가치를 보상으로써 기대하는 직업윤리가 아니고 종교적 구원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근면, 성실, 정직, 검약을 직업활동의 신조로 삼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종교개혁 이후의 개신교도들은 경제적 소득을 위한 생산적 활동이나 생계를 위해 일하는 생업으로서의 직업활동에 대해 더 이상 죄의식이나 열등의식을 갖지 않아도 좋게 되었을 뿐 아니라 오히려 일과 노동과 직업을 신성한 의무로써 받아들이게 된 것이다. 종교개혁자들은 모 든 노동은 가치에 있어서 동일하며 노동이 하느님을 섬기는 것이요, 노동 안에서 하느님의 뜻을 실천할 수 있다는 노동에 긍정적인 뜻을 심어주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 참고 문헌 ▣
『종교개혁사』, 목원대학교출판부, 김기련, 2001
『서양사개룐』, 삼영사, 민양홍, 2005
『서양문명의 역사2』, 소나무, 에드워드 맥널 번즈, 로버트 러너, 스탠디시 미첨, 1994
『프로테스탄티즘의 倫理와 資本主義精神 』, 서울 : 文藝出版社, 막스웨버, 1988
Ⅵ. 나오며...
고대사회로부터 프로테스탄트 이전 시대까지는 경제적 소득을 목적으로 하거나 생계를 위해 생산적인 일에 종사하는 활동은 천시되었고 낮은 신분의 사람들에게만 한정된 활동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동관과 직업관에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한 것은 종교개혁이 일어나면서부터였다. 종교개혁자들은 종교적인 것 못지않게 세속적인 노동 역시 동등한 가치를 지니 며 똑같이 하느님을 기쁘시게 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종교개혁 이후 프로테스탄트(改新敎)의 윤리는 모든 직업적 활동을 하느님의 소명(召命, calling)이라고 하는 새로운 해석을 하게 되었다. 모든 직업은 하느님이 그로 하여금 그 일을 하 도록 부르신 것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자신의 직업적 활동에 최선을 다해야 하고 직업을 통해 하느님의 영광을 드러내야 할 것이라고 가르치게 되었다. 더 나아가서 직업적 성공은 하느님의 구원을 받았다는 증거가 된다고 규정함으로써 모든 사람들은 자신의 생업에 대해 긍지를 갖게 되었을 뿐 아니라 직업적 활동에 온갖 정성을 기울이게 되었다.
개신교 가운데에서도 칼뱅주의자들은 모든 사람은 특정한 직분을 하느님에게서 부여받아 그 직업을 통해서 하느님의 영광을 드러내면서 살도록 부르심을 받았다고 믿었던 것이다. 하느님은 모든 사람에게 서로 다른 재능을 주시고 그 재능에 따라 여러 가지 직분을 정해 주셨으므로 모든 사람들은 자신의 직업에 최선을 다함으로써 하느님의 뜻을 이룬다고 가르쳤다.
이와 같은 소명의식을 가지고 개신교도들은 자신의 직업에 정성을 다 기울였을 뿐 아니라, 항상 근면하고 성실하며 검약한 생활을 해 나아갔던 것이다. 이러한 소명의식에 기초한 직업윤리는 돈과 권력과 명예와 같은 세속적 가치를 보상으로써 기대하는 직업윤리가 아니고 종교적 구원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근면, 성실, 정직, 검약을 직업활동의 신조로 삼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종교개혁 이후의 개신교도들은 경제적 소득을 위한 생산적 활동이나 생계를 위해 일하는 생업으로서의 직업활동에 대해 더 이상 죄의식이나 열등의식을 갖지 않아도 좋게 되었을 뿐 아니라 오히려 일과 노동과 직업을 신성한 의무로써 받아들이게 된 것이다. 종교개혁자들은 모 든 노동은 가치에 있어서 동일하며 노동이 하느님을 섬기는 것이요, 노동 안에서 하느님의 뜻을 실천할 수 있다는 노동에 긍정적인 뜻을 심어주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 참고 문헌 ▣
『종교개혁사』, 목원대학교출판부, 김기련, 2001
『서양사개룐』, 삼영사, 민양홍, 2005
『서양문명의 역사2』, 소나무, 에드워드 맥널 번즈, 로버트 러너, 스탠디시 미첨, 1994
『프로테스탄티즘의 倫理와 資本主義精神 』, 서울 : 文藝出版社, 막스웨버, 1988
추천자료
- 미래 산업 사회와 직업 세계의 변화
- 기독지성의 책임
- 기독교적관점에서의직업
- 위그노는 누구인가?
- 일반취업지원기관의 장애인 취업지원서비스 증진과 장애인 취업 기회 확충방안
- [직종][일][직업][직업능력][직종][21세기 직업세계][신직업][직업 전망][유망직업][유망직종...
- [일][직업][취업][직업윤리]일과 직업의 변화, 견해, 향후 취업 전망 분석(직업의 가치, 직업...
- [지도자][지도성][리더][리더십][리더쉽][스포츠][생활체육][레크레이션]생활체육지도자(생활...
- 직장예절예의(인사예절), 직장예절예의(근무예절), 직장예절예의(사무실예절), 직장예절예의(...
- 한국 사회에서의 직업윤리 문제의 의미와 전망 및 교회의 역할
- [경제관][기독교][유교][소태산 대종사][원불교 송정산][소태산][대종사][원불교][송정산][경...
- [직업][직업 개념][직업 의의][직업 기능][사이버매니저][펀드매니저][창업보육센터매니저]직...
- 종교개혁과 종교개혁의 사상적 의의 : 종개개혁 우수 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