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공식 수교 이후의 관계 변화
정치외교, 경제교역, 기타 비군사 분야
2장 한·중 군사교류·협력의 현황과 문제점
1. 한, 중 군사교류의 필요성
2. 한·중 군사교류의 현황 및 성과
3. 한·중 군사교류의 문제점
4. 향후 군사외교 추진방향
3장 한반도 통일, 북핵 문제 및 주요 현안에 대한 중국의 입장
1. 한반도 통일과 한반도 안정
2. 북핵 문제에 대한 중국의 태도
3. 북핵 문제에 대한 중국의 태도 변화 요인
4. 중국의 입장에 대한 우리의 태도
5. 재중 탈북자에 대한 중국의 태도
4장 한·미 동맹과 한·중 협력의 차등성
5장 한국의 대 중국 외교·안보 대비 방향
정치외교, 경제교역, 기타 비군사 분야
2장 한·중 군사교류·협력의 현황과 문제점
1. 한, 중 군사교류의 필요성
2. 한·중 군사교류의 현황 및 성과
3. 한·중 군사교류의 문제점
4. 향후 군사외교 추진방향
3장 한반도 통일, 북핵 문제 및 주요 현안에 대한 중국의 입장
1. 한반도 통일과 한반도 안정
2. 북핵 문제에 대한 중국의 태도
3. 북핵 문제에 대한 중국의 태도 변화 요인
4. 중국의 입장에 대한 우리의 태도
5. 재중 탈북자에 대한 중국의 태도
4장 한·미 동맹과 한·중 협력의 차등성
5장 한국의 대 중국 외교·안보 대비 방향
본문내용
-1992년 8월의 공식수교 이후, 양국 교역의 비약적 증가 ⇒ 타방에 대한 3대 교역국, 한국의 2대 수출시장 ▶대조적으로, 거시적이고 근본적인 대 중국 중장기 개발전략의 부재
-지리적 위치, 대 남북한 관계, 미래 한반도 통일 과정에서의 역할 등 중국의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음
-연구내용이 ‘경제, 교역 분야’에 치중, 양국관계 지나치게 낙관 ⇒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의 국내외적 맥락을 균형 있게 연구하려는 시도가 필요.
-한중 관계 11년의 평가
1)배경과 목표
중국 – 78’ 12월 개혁, 개방 정책 이후 중국의 최상위 목표 : 경제발전 ⇒ 한국과의 관계 정상화를 통한 외교적 고립 타계, 국가발전의 토대로 삼음.
한국 – 80년대 북방정책 (남북문제와 통일을 위한 외교상의 최대과제로서 소련, 중국과의 관계개선 추구)
양국 간 입장차이 – 경제적 요인과 정치, 외교적 요인의 차이
양국관계에 분야별 불균형 ⇒ 정치, 안보 분야
↓
☞ 위의 불안상황이 중국의 역할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지리적 위치, 대 남북한 관계, 미래 한반도 통일 과정에서의 역할 등 중국의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음
-연구내용이 ‘경제, 교역 분야’에 치중, 양국관계 지나치게 낙관 ⇒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의 국내외적 맥락을 균형 있게 연구하려는 시도가 필요.
-한중 관계 11년의 평가
1)배경과 목표
중국 – 78’ 12월 개혁, 개방 정책 이후 중국의 최상위 목표 : 경제발전 ⇒ 한국과의 관계 정상화를 통한 외교적 고립 타계, 국가발전의 토대로 삼음.
한국 – 80년대 북방정책 (남북문제와 통일을 위한 외교상의 최대과제로서 소련, 중국과의 관계개선 추구)
양국 간 입장차이 – 경제적 요인과 정치, 외교적 요인의 차이
양국관계에 분야별 불균형 ⇒ 정치, 안보 분야
↓
☞ 위의 불안상황이 중국의 역할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