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 서 론
(1) 헤르만 헤세와 독일문학을 다루는 이유
Ⅱ. 본 론
(1) 독일의 문학경향
(2) 제 2차 세계대전 이후의 문학
(3) 헤르만 헤세의 삶과 문학 인생
(4) 소설 ‘데미안’
(5) 소설 ‘수레바퀴아래서’
(6) 소설 ‘유리알 유희’
Ⅲ. 결론
(1) 헤세의 삶과 문학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력
(1) 헤르만 헤세와 독일문학을 다루는 이유
Ⅱ. 본 론
(1) 독일의 문학경향
(2) 제 2차 세계대전 이후의 문학
(3) 헤르만 헤세의 삶과 문학 인생
(4) 소설 ‘데미안’
(5) 소설 ‘수레바퀴아래서’
(6) 소설 ‘유리알 유희’
Ⅲ. 결론
(1) 헤세의 삶과 문학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력
본문내용
성장과 좌절을 그린 작가 자신의 경험이 짙게 투영되어 있다. 작자인 헤세 자신도 한스처럼 신학교에 들어 갔으나 적응하지 못하고 뛰쳐나왔다. 헤세는 그러한 좌절을 딛고 작가로서 성공하지만, 한스는 끝내 자멸하고 만다. 엄격한 규율과 형식뿐인 지식을 요구하는 신학교나 출세하기를 바라는 아버지가 계시는 고향 마을 모두 한스에게는 고통스러운 곳이며, 한스는 결국 그에게 강요되는 모든 것을 상징하는 수레바퀴 아래에 깔리게 된다.
즉, 이 작품은 주제는 한 소년의 내면적 성장과 좌절, 자연과의 교감을 잃어버린 어린 학생이 엄격한 신학교에서 겪는 좌절을 통한 근대 교육 제도를 비판하는 것이다
(6) 소설 ‘유리알 유희’
\'명인(名人) 요제프 크네히트의 전기\'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장편 ≪유리알 유희≫는 미래 어느 시대의 카스탈리엔이라는 학자들의 나라에서의 생활을 묘사하고 있다
이 책의 주인공 크네히트는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지닌 사람으로 특별한 시험을 거쳐 12세에 카스탈리엔의 영재 학교의 하나인 발트ζ에 입학이 허용된다. 그는 그 학교를 가장 우수한 학생 중의 한 명으로 졸업하고 수 년 동안의 자유 연구 생활을 거친 뒤 교단에 들어간다. 이윽고 그는 베테틱트(Bnedict) 교단과의 제휴를 강화하기 위해 약 2녀 동안 마리아 펠스 신학교와 수도원에 보내진다. 그곳에서 그는 위대한 역사 학자인 야코부스 신부와 사귀게 되고, 그를 통해 역사적 세계와 현실의 본질을 알게 된다. 카스탈리엔의 교단으로 돌아온 그는 유희의 명인으로 선발되어 정신적 계급의 최고의 지위에 오르게 되며, 실제로도 유희의 뛰어난 명인임을 나타낸다. 그러나 일찍이 카스탈리엔 사상계의 열렬한 선구자였던 그는 세월이 흐름에 따라 카스탈리엔도 역시 절대적인 가치를 의미하지 않으며 역사적 존재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따라서 카스탈리엔도 과거의 자배하에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그는 보존과 유지를 위해서는 변화와 전진을 계속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과, 도달하고 성취한 것도 \'더욱 생성과 변화를 계속할 능력을 잃게 되면 사명을 선고받은 것과 마찬가지\'라는 것을 점점 확실히 인식하기 시작한다. 그리하여 그는 교단을 떠나기로 결심한다. 교단의 간부들은 그의 결심에 반대했지만, 그는 모든 직책을 반납하고 세속의 생활로 들어가, 자기의 친구-일찍이 그와 함께 카스탈리엔의 영재 학교에 다니다가 학교를 그만두고 곧 바로 정치 생활로 들어간 친구-의 자식을 가르치는 교사가 된다. 그러나 크네히트는 새로운 생활을 시작하자마자 어떤 산에 있는 호수에서 자기의 학생과 수영을 하다가 물에 빠져 죽게 된다.
헤세(hesse)의 문학은 그의 만년의 대작 ≪유리알 유희(Das Glasperlenspiel)≫에서 정점에 달하며, ≪유리알 유희≫는 그의 문학의 총결산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이 완성된 것은 1942년 4월로 제 1차 세계 대전이 한창이던 때였다. 그리고 이 작품의 현실적 배경이 되고 있는 것도 제 1차 세계 대전, 특히 히틀러의 폭력 자배하에 있던 수 년 동안의 독일의 정치적 상황이다. 당시 헤세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일은 무정부 상태로 붕괴해 버린 세계를 절도와 정신적 질서와 규율과 외경의 염을 지닌 하나의 주(州로;국가), 즉 혼돈의 세계를 조화 있는 세계로 대치하는 일이었다. 그리하여 그는 그 이상상으로서 카스탈리엔을 설정했으며, 카스탈리엔은 사람들에 의해 수 세기 종안 이상상으로 신봉되어 왔던 플라톤(Platon)의 아카데미아(Academia)와 마찬가지로 그의 이상상이었다.
헤세의 이전의 작품이 시대에 대한 예측과 진단을 내린 것이라면, ≪유리알 유희≫는 그에 대한 치료법을 예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Ⅲ. 결론
(1) 헤세의 삶과 문학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력
나의 사춘기 시절에는 이러한 것들은 이해할수 없었지만 내가 최초로 읽은 명작이라는 것과 이해안되는 글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힘에 이끌려 끝까지 읽었던 기억이 난다.
헤르만 헤세(Hermann Hesse)의 사후 4 반세기가 되는 오늘날까지도 우리는 헤세를 가리켜 \"독일 내면성의 대표자\", \"독일 낭만주의의 마지막 기사\" , \"아웃사이더\", \"비정치적 정치가\", 또는 달콤한 시럽과 같은 사랑이야기를 쓰는 소설작가라고 부른다.
또 우리는 그를 챙이 큰 둥근 밀짚모자를 쓰고 손에는 호미와 바구니를 든 소박한 \"소(小) 정원사\"로 또는 흰 구름과 안개와 저녁 노을과 산과 호수와 낙엽 태우기를 유난히 좋아했던 \"서정적 작가\"로 , 아니면 공자와 노자의 정신세계를 이해하고 브라만교와 불교와 도교에 심취했던 왠지 친근감을 주는 파란 눈의 동양인으로 또 \"노형(老兄)\"으로 여기고 있다.
어떤 때는 \"방문 사절\"이라는 안내문을 대문에 써 붙이고 알프스의 산간마을 몬타뇰라(Montagnola)에 칩거했던 헤세, 그러나 때론 색소폰과 재즈와 춤이 부르는 도시 한가운데의 현대인의 고독과 절망을 누구보다도 깊이 체험했던 헤세. 영원한 은둔주의자와 방랑자로 살았지만 또 \"아시아적 수동성의 신봉자\"로 불리며 히틀러의 독재 치하에서도 목쉰 소리로 시대의 따거운 눈총을 거스르며 진실과 정의를 외쳐대었던 헤세.
헤세는 세계의 어느 작가보다도 우리에게 친숙하고 잘 알려진 작가다. 그의 작품은 많은 청소년들에게 바이블과 같이 많이 읽혔고 그 영향력은 잴 수 없을 정도로 컸다.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못지 않게 그의<데미안>은 젊은이들을 사로잡았고 히피들은 그를 \"성자 헤세\"라고 불렀다. 누구보다도 양면적 고뇌 속에서 조화와 이상을 추구했던 작가, 동양과 서양, 현실과 이상, 신과 자연과 인간을 깊은 통찰력으로 꾀뚫은 심오한 그의 문학세계 - 쉬운 줄거리와 언어 속에 숨겨진 그의 문학은 늘 우리 곁에 머물러 있어 우리에게 위안과 잔잔한 기쁨을 준다.
※ 참고자료
황진(1982) - 헤르만 헤세 - 생애/ 작품 및 비평
한국헤세학회(1999) 간행 - 헤세 연구 제2집
헤르만 헤세 - 데미안 (민음사)
알로이스 프린츠(2000)- 헤르만 헤세 - 모든 시작은 신비롭다
헤르만 헤세(2001) - 수레바퀴 아래서 (민음사)
헤르만 헤세(1999) - 유리알 유희 (혜원출판사)
즉, 이 작품은 주제는 한 소년의 내면적 성장과 좌절, 자연과의 교감을 잃어버린 어린 학생이 엄격한 신학교에서 겪는 좌절을 통한 근대 교육 제도를 비판하는 것이다
(6) 소설 ‘유리알 유희’
\'명인(名人) 요제프 크네히트의 전기\'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장편 ≪유리알 유희≫는 미래 어느 시대의 카스탈리엔이라는 학자들의 나라에서의 생활을 묘사하고 있다
이 책의 주인공 크네히트는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지닌 사람으로 특별한 시험을 거쳐 12세에 카스탈리엔의 영재 학교의 하나인 발트ζ에 입학이 허용된다. 그는 그 학교를 가장 우수한 학생 중의 한 명으로 졸업하고 수 년 동안의 자유 연구 생활을 거친 뒤 교단에 들어간다. 이윽고 그는 베테틱트(Bnedict) 교단과의 제휴를 강화하기 위해 약 2녀 동안 마리아 펠스 신학교와 수도원에 보내진다. 그곳에서 그는 위대한 역사 학자인 야코부스 신부와 사귀게 되고, 그를 통해 역사적 세계와 현실의 본질을 알게 된다. 카스탈리엔의 교단으로 돌아온 그는 유희의 명인으로 선발되어 정신적 계급의 최고의 지위에 오르게 되며, 실제로도 유희의 뛰어난 명인임을 나타낸다. 그러나 일찍이 카스탈리엔 사상계의 열렬한 선구자였던 그는 세월이 흐름에 따라 카스탈리엔도 역시 절대적인 가치를 의미하지 않으며 역사적 존재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따라서 카스탈리엔도 과거의 자배하에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그는 보존과 유지를 위해서는 변화와 전진을 계속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과, 도달하고 성취한 것도 \'더욱 생성과 변화를 계속할 능력을 잃게 되면 사명을 선고받은 것과 마찬가지\'라는 것을 점점 확실히 인식하기 시작한다. 그리하여 그는 교단을 떠나기로 결심한다. 교단의 간부들은 그의 결심에 반대했지만, 그는 모든 직책을 반납하고 세속의 생활로 들어가, 자기의 친구-일찍이 그와 함께 카스탈리엔의 영재 학교에 다니다가 학교를 그만두고 곧 바로 정치 생활로 들어간 친구-의 자식을 가르치는 교사가 된다. 그러나 크네히트는 새로운 생활을 시작하자마자 어떤 산에 있는 호수에서 자기의 학생과 수영을 하다가 물에 빠져 죽게 된다.
헤세(hesse)의 문학은 그의 만년의 대작 ≪유리알 유희(Das Glasperlenspiel)≫에서 정점에 달하며, ≪유리알 유희≫는 그의 문학의 총결산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이 완성된 것은 1942년 4월로 제 1차 세계 대전이 한창이던 때였다. 그리고 이 작품의 현실적 배경이 되고 있는 것도 제 1차 세계 대전, 특히 히틀러의 폭력 자배하에 있던 수 년 동안의 독일의 정치적 상황이다. 당시 헤세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일은 무정부 상태로 붕괴해 버린 세계를 절도와 정신적 질서와 규율과 외경의 염을 지닌 하나의 주(州로;국가), 즉 혼돈의 세계를 조화 있는 세계로 대치하는 일이었다. 그리하여 그는 그 이상상으로서 카스탈리엔을 설정했으며, 카스탈리엔은 사람들에 의해 수 세기 종안 이상상으로 신봉되어 왔던 플라톤(Platon)의 아카데미아(Academia)와 마찬가지로 그의 이상상이었다.
헤세의 이전의 작품이 시대에 대한 예측과 진단을 내린 것이라면, ≪유리알 유희≫는 그에 대한 치료법을 예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Ⅲ. 결론
(1) 헤세의 삶과 문학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력
나의 사춘기 시절에는 이러한 것들은 이해할수 없었지만 내가 최초로 읽은 명작이라는 것과 이해안되는 글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힘에 이끌려 끝까지 읽었던 기억이 난다.
헤르만 헤세(Hermann Hesse)의 사후 4 반세기가 되는 오늘날까지도 우리는 헤세를 가리켜 \"독일 내면성의 대표자\", \"독일 낭만주의의 마지막 기사\" , \"아웃사이더\", \"비정치적 정치가\", 또는 달콤한 시럽과 같은 사랑이야기를 쓰는 소설작가라고 부른다.
또 우리는 그를 챙이 큰 둥근 밀짚모자를 쓰고 손에는 호미와 바구니를 든 소박한 \"소(小) 정원사\"로 또는 흰 구름과 안개와 저녁 노을과 산과 호수와 낙엽 태우기를 유난히 좋아했던 \"서정적 작가\"로 , 아니면 공자와 노자의 정신세계를 이해하고 브라만교와 불교와 도교에 심취했던 왠지 친근감을 주는 파란 눈의 동양인으로 또 \"노형(老兄)\"으로 여기고 있다.
어떤 때는 \"방문 사절\"이라는 안내문을 대문에 써 붙이고 알프스의 산간마을 몬타뇰라(Montagnola)에 칩거했던 헤세, 그러나 때론 색소폰과 재즈와 춤이 부르는 도시 한가운데의 현대인의 고독과 절망을 누구보다도 깊이 체험했던 헤세. 영원한 은둔주의자와 방랑자로 살았지만 또 \"아시아적 수동성의 신봉자\"로 불리며 히틀러의 독재 치하에서도 목쉰 소리로 시대의 따거운 눈총을 거스르며 진실과 정의를 외쳐대었던 헤세.
헤세는 세계의 어느 작가보다도 우리에게 친숙하고 잘 알려진 작가다. 그의 작품은 많은 청소년들에게 바이블과 같이 많이 읽혔고 그 영향력은 잴 수 없을 정도로 컸다.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못지 않게 그의<데미안>은 젊은이들을 사로잡았고 히피들은 그를 \"성자 헤세\"라고 불렀다. 누구보다도 양면적 고뇌 속에서 조화와 이상을 추구했던 작가, 동양과 서양, 현실과 이상, 신과 자연과 인간을 깊은 통찰력으로 꾀뚫은 심오한 그의 문학세계 - 쉬운 줄거리와 언어 속에 숨겨진 그의 문학은 늘 우리 곁에 머물러 있어 우리에게 위안과 잔잔한 기쁨을 준다.
※ 참고자료
황진(1982) - 헤르만 헤세 - 생애/ 작품 및 비평
한국헤세학회(1999) 간행 - 헤세 연구 제2집
헤르만 헤세 - 데미안 (민음사)
알로이스 프린츠(2000)- 헤르만 헤세 - 모든 시작은 신비롭다
헤르만 헤세(2001) - 수레바퀴 아래서 (민음사)
헤르만 헤세(1999) - 유리알 유희 (혜원출판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