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일본영화의 역사
1.1950년대부터 지금까지
2.미래의 일본영화
Ⅱ.일본 영화의 특징
1.특징
2.장.단점
Ⅲ.21세기 일본을 이끌어 갈 감독들
1.기타노 다케시
2.이와이 슌지
Ⅳ.한국에서의 일본영화
1.국내에서의 인지도
2.부진원인
Ⅴ.국내영화와 일본영화의 비교
1.전반적인 분위기
2.비슷한 장르의 영화 비교
Ⅵ.결론
*참고문헌
1.1950년대부터 지금까지
2.미래의 일본영화
Ⅱ.일본 영화의 특징
1.특징
2.장.단점
Ⅲ.21세기 일본을 이끌어 갈 감독들
1.기타노 다케시
2.이와이 슌지
Ⅳ.한국에서의 일본영화
1.국내에서의 인지도
2.부진원인
Ⅴ.국내영화와 일본영화의 비교
1.전반적인 분위기
2.비슷한 장르의 영화 비교
Ⅵ.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품을 선보이는 새로운 영화광들이 대거 영화계에 입문하면서 나타난 결과.
또 한가지 80년대 일본영화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애니메이션의 활약이다. 스튜디오 지브리를 통해 등장한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은 거의 매 작품마다 작품성과 흥행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으며 바야흐로 재패니메이션의 시대를 주도하게 된다.
④ 현재의 일본 영화(1990~현재)
일본영화의 점유율은 1995년 37%로 하락했고 관객수도 1억 2,100만명을 기록하는데 이는 최고 전성기였던 1958년에 비하면 10분의 1에 해당하는 수치.
2002년 최고 흥행작은 1억7200만 달러를 번 <해리 포터와 마법의 돌>이었다. 2002년을 기준으로 하여 외화와 일본영화를 비교해보면, 외화는 해리 포터 시리즈를 필두로 하여 강세를 보였고, 일본영화는 <고양이의 보은>, <기브리즈 에피소드2> 등으로 약세. 흥행수입 점유율은 일본영화 27.1%, 외화 72.9%를 차지하였다. 이처럼 일본영화가 침체하고 있는 데에는 애니메이션에 치중된 영화산업 발달과 높아지는 외국영화의 점유율에 비해 일본영화를 보는 관객들은 감소하고 있는 것이 그 원인.
80년대 이후 등장한 개인적인 성향의 감독들과 현재까지도 왕성하게 활동을 하고 있는 스튜디오 시스템 시대의 감독들이 오락성보다는 영화의 예술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감독들이 많기 때문
현역 감독들의 다양한 연령분포, 다양한 분야 출신의 감독, 해외에서의 좋은 평가 등은 일본영화의 장래를 밝게 해주는 요소.
2. 미래의 일본영화
① 비관론
* TV 드라마의 영향 - 날마다 인기배우가 출현하는 드라마를 공짜로 볼 수 있어서 굳이 영화관을 찾을 필요성을 못느낌
* 소재의 빈곤 - TV 드라마나 소설을 영화화하는 경우가 많음.
* 관객의 영화에 대한 무관심 - 관객을 끌만한 흡입력 있는 작품이 없음
* 구조적인 문제 - 소수 메이저영화사의 배급 독점으로 인한 비싼 입장료
* 영화 제작 시스템의 변화 - 메이저 시스템 영화의 소멸. 일본영화다운 일본영화가 없어짐
② 낙관론
* 1990년대 ‘슈퍼웨이브’의 등장 - 제2의 전성기를 예감케 하는 신인감독들의 등장. 국내뿐 아니라 해외 영화제 등에서 인정받으며 일본 영화가 해외 시장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줌으로써 침체 위기에 놓여있는 일본 영화의 희망으로 떠오르고 있음.
예) 츠카모토 신야 ‘철남’(1989) - 로마 영화제 그랑프리
다케나카 나오토 ‘무능한 사람’ 이와이
또 한가지 80년대 일본영화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애니메이션의 활약이다. 스튜디오 지브리를 통해 등장한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은 거의 매 작품마다 작품성과 흥행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으며 바야흐로 재패니메이션의 시대를 주도하게 된다.
④ 현재의 일본 영화(1990~현재)
일본영화의 점유율은 1995년 37%로 하락했고 관객수도 1억 2,100만명을 기록하는데 이는 최고 전성기였던 1958년에 비하면 10분의 1에 해당하는 수치.
2002년 최고 흥행작은 1억7200만 달러를 번 <해리 포터와 마법의 돌>이었다. 2002년을 기준으로 하여 외화와 일본영화를 비교해보면, 외화는 해리 포터 시리즈를 필두로 하여 강세를 보였고, 일본영화는 <고양이의 보은>, <기브리즈 에피소드2> 등으로 약세. 흥행수입 점유율은 일본영화 27.1%, 외화 72.9%를 차지하였다. 이처럼 일본영화가 침체하고 있는 데에는 애니메이션에 치중된 영화산업 발달과 높아지는 외국영화의 점유율에 비해 일본영화를 보는 관객들은 감소하고 있는 것이 그 원인.
80년대 이후 등장한 개인적인 성향의 감독들과 현재까지도 왕성하게 활동을 하고 있는 스튜디오 시스템 시대의 감독들이 오락성보다는 영화의 예술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감독들이 많기 때문
현역 감독들의 다양한 연령분포, 다양한 분야 출신의 감독, 해외에서의 좋은 평가 등은 일본영화의 장래를 밝게 해주는 요소.
2. 미래의 일본영화
① 비관론
* TV 드라마의 영향 - 날마다 인기배우가 출현하는 드라마를 공짜로 볼 수 있어서 굳이 영화관을 찾을 필요성을 못느낌
* 소재의 빈곤 - TV 드라마나 소설을 영화화하는 경우가 많음.
* 관객의 영화에 대한 무관심 - 관객을 끌만한 흡입력 있는 작품이 없음
* 구조적인 문제 - 소수 메이저영화사의 배급 독점으로 인한 비싼 입장료
* 영화 제작 시스템의 변화 - 메이저 시스템 영화의 소멸. 일본영화다운 일본영화가 없어짐
② 낙관론
* 1990년대 ‘슈퍼웨이브’의 등장 - 제2의 전성기를 예감케 하는 신인감독들의 등장. 국내뿐 아니라 해외 영화제 등에서 인정받으며 일본 영화가 해외 시장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줌으로써 침체 위기에 놓여있는 일본 영화의 희망으로 떠오르고 있음.
예) 츠카모토 신야 ‘철남’(1989) - 로마 영화제 그랑프리
다케나카 나오토 ‘무능한 사람’ 이와이
추천자료
일본사무라이 영화 ; 일본의 시대극
한국영화의 연도별 비교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 속에 내재된 일본문화
영화 포스터 비교 - 외화의 원본 포스터와 국내용 포스터를 중심으로
영화 ‘게이샤의 추억’을 통해 알아본 일본의 게이샤 문화
[스크린쿼터]스크린쿼터 심층 분석(한국영화산업의 미래와스크린쿼터, 스크린쿼터가 국내 영...
가족의 탄생과 ‘About a boy’ 비교분석을 통한 한국영화의 재발견
영어로 외국영화와 한국영화 비교
[일본 문화의 이해] 영화'Go'를 보고
영화 ‘정무문 (精武英雄/Fist of legend)’에서 볼 수 있는 중국 무술, 그리고 한국 무술과의 ...
영화 패왕별희에 나타나는 중국의 동성애 문화와 한국의 동성애 인식 비교
영화 '가족의 탄생'과 ‘About a boy’ 비교분석을 통한 한국영화의 재발견 - '싱글맘'을 중심...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종류, 양상, 한중번역(중국어번역)과 우리말, 한중번역(중국어번역)...
[한국과 중국의 동성애 문화] 영화 패왕별희에 나타나는 중국에서의 동성애와 한국의 동성애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