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영화 이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 영화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일본영화의 역사
1.1950년대부터 지금까지
2.미래의 일본영화

Ⅱ.일본 영화의 특징
1.특징
2.장.단점

Ⅲ.21세기 일본을 이끌어 갈 감독들
1.기타노 다케시
2.이와이 슌지

Ⅳ.한국에서의 일본영화
1.국내에서의 인지도
2.부진원인

Ⅴ.국내영화와 일본영화의 비교
1.전반적인 분위기
2.비슷한 장르의 영화 비교

Ⅵ.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품을 선보이는 새로운 영화광들이 대거 영화계에 입문하면서 나타난 결과.
또 한가지 80년대 일본영화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애니메이션의 활약이다. 스튜디오 지브리를 통해 등장한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은 거의 매 작품마다 작품성과 흥행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으며 바야흐로 재패니메이션의 시대를 주도하게 된다.
④ 현재의 일본 영화(1990~현재)
일본영화의 점유율은 1995년 37%로 하락했고 관객수도 1억 2,100만명을 기록하는데 이는 최고 전성기였던 1958년에 비하면 10분의 1에 해당하는 수치.
2002년 최고 흥행작은 1억7200만 달러를 번 <해리 포터와 마법의 돌>이었다. 2002년을 기준으로 하여 외화와 일본영화를 비교해보면, 외화는 해리 포터 시리즈를 필두로 하여 강세를 보였고, 일본영화는 <고양이의 보은>, <기브리즈 에피소드2> 등으로 약세. 흥행수입 점유율은 일본영화 27.1%, 외화 72.9%를 차지하였다. 이처럼 일본영화가 침체하고 있는 데에는 애니메이션에 치중된 영화산업 발달과 높아지는 외국영화의 점유율에 비해 일본영화를 보는 관객들은 감소하고 있는 것이 그 원인.
80년대 이후 등장한 개인적인 성향의 감독들과 현재까지도 왕성하게 활동을 하고 있는 스튜디오 시스템 시대의 감독들이 오락성보다는 영화의 예술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감독들이 많기 때문
현역 감독들의 다양한 연령분포, 다양한 분야 출신의 감독, 해외에서의 좋은 평가 등은 일본영화의 장래를 밝게 해주는 요소.
2. 미래의 일본영화
① 비관론
* TV 드라마의 영향 - 날마다 인기배우가 출현하는 드라마를 공짜로 볼 수 있어서 굳이 영화관을 찾을 필요성을 못느낌
* 소재의 빈곤 - TV 드라마나 소설을 영화화하는 경우가 많음.
* 관객의 영화에 대한 무관심 - 관객을 끌만한 흡입력 있는 작품이 없음
* 구조적인 문제 - 소수 메이저영화사의 배급 독점으로 인한 비싼 입장료
* 영화 제작 시스템의 변화 - 메이저 시스템 영화의 소멸. 일본영화다운 일본영화가 없어짐
② 낙관론
* 1990년대 ‘슈퍼웨이브’의 등장 - 제2의 전성기를 예감케 하는 신인감독들의 등장. 국내뿐 아니라 해외 영화제 등에서 인정받으며 일본 영화가 해외 시장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줌으로써 침체 위기에 놓여있는 일본 영화의 희망으로 떠오르고 있음.
예) 츠카모토 신야 ‘철남’(1989) - 로마 영화제 그랑프리
다케나카 나오토 ‘무능한 사람’ 이와이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5.19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01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