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종류, 양상, 한중번역(중국어번역)과 우리말, 한중번역(중국어번역)과 중국영화,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문제점,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사례, 한중번역(중국어번역)과 한국어문법 비교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종류, 양상, 한중번역(중국어번역)과 우리말, 한중번역(중국어번역)과 중국영화,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문제점,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사례, 한중번역(중국어번역)과 한국어문법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종류
1. 수필
2. 시와 극본

Ⅲ.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양상
1. 어휘 선택의 오류
1) 正在錯愕中, 官太太便到窗外來叫我出去
2) 這(才得到)……是吉兆衚衕一所小屋裏的兩間南屋
3) 雖然竭力掩飾, 總還是時時露出憂疑的神色來
4) 在通俗圖書館裏往往瞥見一閃的光明, 新的生路橫在前面
2. 어휘 번역의 다양성
1) 我覺得你近來很兩樣了
2) 我覺得這似乎給了我當頭一擊
3) 我的心也沈靜下來, 覺得在沈重的迫壓中, 漸漸隱約地現出脫走的路徑
4) (…嫉妬的朋友絶了交,) 然而這倒很淸靜
3. 貶義를 살린 번역
1) 我憎惡那太像子君鞋聲的常常穿着新皮鞋的隣院的搽雪花膏的小東西
2) 那雪花膏便是局長的兒子的賭友, 一定要去添些謠言, 設法報告的

Ⅳ. 한중번역(중국어번역)과 우리말
1. 祝賀你們, 我的朋友! 衷心地祝賀你們
2. 他們的車破, 跑得慢, 所以得多走路, 少要錢

Ⅴ. 한중번역(중국어번역)과 중국영화
1. 영웅본색
2. 비정성시
3. 지존무상
4. 첩혈쌍웅
5. 천장지구
6. 홍등
7. 소오강호
8. 동사서독
9. 금지옥엽
10. 첨밀밀
11. 여인사십
12. 변검
13. 와호장룡
14. 인재뉴약
15. 하일군재래
16. 류망의생
17. 아이니 아이워

Ⅵ.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문제점
1. 미등록어
1) 중국 인명의 자동식별
2) 중국 지명의 자동식별
3) 외국의 번역명
2. 중의 현상
1) 파
2) 재
3) 연구생/회/채취/행동

Ⅶ.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사례

Ⅷ. 한중번역(중국어번역)과 한국어문법의 비교
1. 어순 문제
1) 我1對於我國獻身科學的靑年們2的希望是什麽呢? 首先, 要循序漸進
2) 我對她的愛是純潔的. 我要讓她知道我的愛
3) 我想要求留在C城1, 和她在一起2
4) 看着那高等的車夫, 他計劃着怎樣殺進他的腰去1, 好更顯出他的鐵扇面似的胸, 與直硬的背2; 扭頭看看自己的肩, 多麽寬, 多麽威嚴
2. 시제 문제
1) 我的那位同學說, 這稿子要是送到他手裏, 他非給退回去不可, 要不然將來算起賬來, 算誰的
2) 孫老師!···你看何老師這事應該怎樣辦呢? 妥協嗎
3) 我很喜歡你媽媽. 可是你媽媽不喜歡我, 喜歡你爸爸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않는다. 변검는 ‘얼굴 갈아치우기’란 뜻으로 중국의 전통적 마스크 묘기 이야기인데 그대로 독음을 달아서 무슨 ‘변화무쌍한 검술’이 나오는 무협영화의 이미지를 주고 있다.
그러나 금지옥엽은 한국어로 굳이 해석하기가 모호하다. 한 시대를 풍미했던 가수 鄧麗君 Deng Lijun의 노래에서 따온 것이기에 중국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친근감이나 신비감을 줄 수 있다. 아니면 ‘달콤한 사랑’ 혹 ‘달콤 새콤’ 등으로 의역할 수도 있었다. 홍등은 긴 제목을 줄여서 앞의 두 글자 ‘홍등’만 취해서 간단하게 만들었다. 금지옥엽는 ‘아주 귀하다’는 뜻으로 한국인들도 자주 사용하는 사자성어임으로 가능하고 와호장룡도 독음 그대로 이해하기 쉬운 제목이다.
아무튼 유독 중국영화의 제목은 원어 독음 그대로 사용하는 경향이 짙다. “우리말로 풀어 쓰느니 아예 한자의 우리말 독음을 그대로 옮기는 게 낫다”라고 작정한 듯하다. 이러한 현상이 아직까지 유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것은 현재 한국인의 외래어 선호 의식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외래어를 사용하면 세련되어 보이는 심리가 영화에도 미치고 있는 것이다.
14. 인재뉴약
人在紐約
Ren zai Niuyue
Full Moon in New York
(1989)
‘紐約 Niuyue’은 New York을 의미한다. 직역하면 ‘뉴욕의 사람’ 의역하면 ‘뉴욕 이야기’ 쯤 될 것이다. 이 중국어 외래어를 모르는 사람이 한자 독음을 그대로 우리말로 달았기 때문에 작품성을 인정받는 이 영화의 시청자들이 무슨 뜻인지 전혀 유추도 안 되는 엉뚱한 제목을 탄생시켰다.
15. 하일군재래
何日君再來
He ri jun zai lai
(I Am Sorry)
이 제목을 직역하면 ‘님은 언제 다시 오시려나’ 이다. 중국어의 기초 지식만 있으면 이렇게까지 독음을 그대로 달진 않았을 것이다. 원제를 마구 번역한 부끄러운 제목 중 하나이다. 더구나 영어권에서 단 영어제목은 한 술 더 뜬다. ‘I am Sorry’, 언제 돌아올지 모르게 하니 미안하다는 뜻인가? 그래도 여인을 기다리게 하는 주인공 테러리스트의 마음을 반영한 듯 하므로 ‘하일군재래’와는 차원이 다르다.
16. 류망의생
流氓醫生
Liumang yisheng
(Mack the Knife)
梁朝偉 Yang Chaowei 주연의 이 홍콩영화 역시 제목만 봐서는 도무지 무슨 뜻인지 추측할 수가 없다. 사실 독음까지 틀렸으니 말이다. ‘氓 mang’의 우리말 독음은 ‘망’이 아니라 ‘맹’이다. ‘流氓 Liumang\'은 ’건달‘, ’醫生 Yisheng‘은 ’면허가 없는 의사‘이다. 우리말로 직역하면 ’건달의사‘에 가깝다.
17. 아이니 아이워
愛愛我
Ai ni ai wo
‘아이니 아이워’는 특이하게도 중국어 표준어 발음을 옮겨 적어 번역했다. 중국원어 발음의 음성학적 효과를 노린 그나마 참신한 발상이라고 볼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영화의 제목은 관객이 영화를 이해하는데 결정적 도움을 주기 때문에 기왕이면 영화제목을 번역하는 작업부터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완전하고 정확한 우리말을 만들기 위하여 그래서 영화번역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최소한의 심사숙고를 투자해야 한다.
Ⅵ.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문제점
적지 않은 문제가 존재하는데, 여기서는 未登錄語와 重義 현상, 2가지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1. 미등록어
未登錄語란 電子 辭典은 물론, 종이 辭典에도 등재되지 않은 中國 및 外國의 人名.地名.기구 조직명.사건명.화폐명.약어.파생어.각종 전문 용어 외에 현재에도 계속 출현하고 있는 新造語들을 포함한다. 아래에 몇 가지로 나누어 고찰하기로 한다.
1) 중국 인명의 자동식별
中國語 人名은 아래와 같은 특징이 있어, 컴퓨터가 식별하기에는 복잡하다.
가) 서양인의 人名과 같은 형태 특징(大小 文字)이 없다.
나) 姓名의 출현 형식이 다양하여 구조가 복잡하다.
(예: 姓氏+이름/姓氏 또는 이름만 출현/ 別名/筆名/어렸을 때의 이름 등)
다) 어떤 사람들은 다른 사람과 이름이 중복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잘 사용되지 않고 심지어는 辭典에도 등재가 되지 않은 글자를 사용하여 이름을 짓는다.
예) 喆(哲) /(奔)
※ 어떤 사람들은 西洋式의 이름을 지으며, 어떤 사람들은 姓氏는 사용하지 않고, 이름만 사용한다. 예)王瑪麗 /李約翰
※ 몇 가지 오류의 실례
가) 인명의 약칭에 대한 처리 능력 부족--예)阿春/阿蓮/小曾/老葉 등
나) 이름이 2글자인데, 하나로 잘못 식별함--예)民警劉海東送老人回家。(劉海東)
다) 이름이 1글자인데, 2글자로 잘못 식별함---예)部長强衛和烈士崔大慶(强衛)
라) 이름을 국가이름으로 잘못 식별함--예)盛中國小提琴獨奏音樂會(盛中國)
2) 중국 지명의 자동식별
中國地名委員會가 編(1994)한 中華人民共和國地名錄(北京:中國社會出版社)에 10만 개 정도의 地名이 수록되어 있긴 하나, 아직도 수많은 도시의 도로명, 골목명. 시골마을 명등이 수록되어 있지 않아, 향후 수많은 地名을 수집하여 수록해야 한다.
또한 동일한 地名이 同義語.略語 외에 古今이 상이한 형식으로 출현하기 때문에 더욱 인식이 어렵다.(예 北京--京/天津--津)
3) 외국의 번역명
중국어는 외국의 人名.地名등의 고유명사를 그대로 쓰지 않고, 中國語로 번역하여(주로 音譯 /義譯 /音譯+義譯의 형식임)사용하기 때문에 中國人 사이에도 漢字 표기가 相異할 정도이다.
예)可口可樂(coca cola) 車(트럭--car+車)
可利福尼亞/州(캘리포니아/주)--可利福尼/亞州(/아시아주)
2. 중의 현상
1개 문장에서 동일한 단어를 어떻게 분리.분석하는 가에 따라서 한국어 번역이 相異해 진다. 아래에 몇 가지 예를 들어 본다.
예)
1) 파
/把/兄弟/看成/什/人了---他們/是/把兄弟(의형제)
2) 재
가)동사--他/在/家
나)전치사--他/在/家/吃/飯.
다)부사---他/在/吃/飯
3) 연구생/회/채취/행동
硏究生會/採取/行動
Ⅶ.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사례
실제 번역 작업에 임하다 보면 동일한 작가에 내재된 다양한 숨결 앞에서 곤혹스러워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특히 번역자의 숨결이 텍스트에 내재된 숨결의 다양성을
  • 가격9,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3.08.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86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