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산문의 개념
2.산문의 맹아 -갑골, 복사
3.중국고대산문의 변천과정(시대별 도표)
3-1. 선진 산문
(1) 역사 산문
(2) 제자 산문
3-2. 한대 산문
(1) 정론류
(2) 사전류
3-3. 위진남북조 산문
(1) 위진 산문
(2) 남북조 산문
3-4. 당대 산문
(1) 고문운동의 배경
(2) 한, 유의 고문운동
3-5. 송대 산문
(1) 북송 산문
(2) 남송 산문
3-6. 원대 산문
(1) 전기
(2) 후기
3-7. 명대 산문
(1) 명전기
(2) 명중기
(3) 명후기
3-8. 청대 산문
(1) 청 초기
(2) 청 중기
(3) 만청 산문
(4) 변려문
2.산문의 맹아 -갑골, 복사
3.중국고대산문의 변천과정(시대별 도표)
3-1. 선진 산문
(1) 역사 산문
(2) 제자 산문
3-2. 한대 산문
(1) 정론류
(2) 사전류
3-3. 위진남북조 산문
(1) 위진 산문
(2) 남북조 산문
3-4. 당대 산문
(1) 고문운동의 배경
(2) 한, 유의 고문운동
3-5. 송대 산문
(1) 북송 산문
(2) 남송 산문
3-6. 원대 산문
(1) 전기
(2) 후기
3-7. 명대 산문
(1) 명전기
(2) 명중기
(3) 명후기
3-8. 청대 산문
(1) 청 초기
(2) 청 중기
(3) 만청 산문
(4) 변려문
본문내용
문 작품이 출현하게 되었다.
선진 산문은 기본적으로는 백가쟁명 속에서 각종 문장이 모두 발전하였다고 할 수 있는데, 가장 의욕인 사유의 시대였던 만큼, 격정과 이상이 충만 되어 있고, 비유나 우언 등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였으며, 도도한 변설을 거침없이 토해 내는 등 설리의 장편화가 시도되었고, 반 형식주의적 문장의 자유화가 추구되었다고 할 수 있다.
(1) 역사 산문 歷史 散文
중국 고대 문학은 크게 운문과 산문으로 나눌 수 있는데, 시경, 초사가 운문 문학의 길을 열었다고 하면, 산문 문학은 선진때의 역사산문과 제자산문이 그 발단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역사 산문은 상서(尙書), 춘추(春秋), 국어(國語), 좌전(左傳), 전국책(戰國策) 등을 들 수 있다.
1) 상서(尙書)
상서는 ‘상고의 책’ 이란 뜻으로 書 또는 書經이라고도 하며, 고대의 역사문헌을 모아놓은 책으로서 중국에 있어서 최초의 산문이다.
이 책은 주로 상상, 주주, 특히 서주西周 초기의 정치 문헌으로 이 가운데에는 요전堯典, 고도모皐陶謨, 우공禹貢, 홍범洪範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갑골문, 종정문 이외에는 가장 오래된 산문이다.
2) 춘추(春秋)
춘추는 원래 선진 시대에 각구 사서의 통칭이었는데 나중에 노나라의 춘추만이 세상에 전해져 노나라 편년사를 지칭하는 말이 되었다. 이는 공자의 수정을 거친 것으로, 그 내용이 지나치게 간략하고 단어의 뜻이 매우 난해하여 후세 사람들이 알아보기 어려웠다. 이 때문에 공양전, 곡양정, 좌전 등 세권의 책이 씌어지게 되었는데 이를 일컬어 춘추삼전(春秋三傳)이라 한다.
3) 좌전(左傳)
좌전은 춘추를 해석하여 지은 것으로, 모두 30권의 약 20만자로 노의 은공 원년(기원전 722)으로부터 노의 애공 27년(기원전 468)에 이르는 254년 동안의 춘추열국(春秋列國)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내용의 특징- 전쟁의 원인, 성격, 승패 등 전쟁에 대한 구체적인 상황 묘사가 뛰어남.
인물의 언어와 행동의 묘사를 매우 간결한 언어로 선명하게 부각.
예를들어, [효지전之戰]
역사적 사실을 기술함과 동시에 고사성과 희극성이 풍부한 사실을 서술.
4) 국어(國語)
국어는 국별사國別史로, 주 목왕(기원전 990)으로부터 노 도공(기원전454)에 이르기까지의 왕조의 일과 제후 여러나라의 일을 기록하였다. 주어周語, 노어魯語, 제어齊語, 진어晉語, 정어鄭語, 초어楚語, 오어吳語, 월어越語 등의 성패의 역사로, 모두 21권으로 되어있다.
내용의 특징 - 여러나라의 중요한 역사 및 역사 인물의 언행, 전설을 서술
그러나 처음부터 끝까지 체계적으로 기술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떤 사건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기술.
5) 전국책(戰國策)
전국책은 주 정정왕 57년(기원전 454)으로부터, 진시황 37년(기원전)210에 이르기까지 약 240년 동안의 정치, 사회와 책사언행을 기록한 역사책이다.
초, 제, 위. 연, 한 등의 12국책으로 나누어 모두 33권이다.
내용의 특징 - 명확한 주제를 중심으로 한 인물의 언어, 행동의 개성을 집중적을 부각하는 등의 문필이 유창.
문장이 간결, 생동적이며, 설리에 뛰어나, 역대 문인들의 문장의 아름다움을 찬양하는 등 책사 언행에 대한 기술이 뛰어남.
비유와 우언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대단히 강력한 설득력 가짐.
(2) 제자산문 諸子散文
1) 1단계 : 춘추말년 ~ 전국 초기
주요 작품 : 論語, 老子
노자 - 격언체를 사용하여, 문체가 질박하고, 산문과 운문을 섞어 운용하였으며, 철리성哲理性이 풍부한 저작이다. 하지만 논술에 있어 다소 분석적이지 못한 단점을 가진다.
논어 - 논어는 어록체의 산문집으로 주로 유학의 창시자인 공자(기원전551~479)의 사상과 언술을 기록했다. 공자에 의해 창립된 유학은 이후 대단한 위력을 발휘하여 중국 전통 사상, 문화의 기본적인 틀이 되었으며, 논어는 문인들의 필독서로 받들어졌는데, 논어는 언어가 간단하면서도 의미가 심장하고 함축적이며, 온화하면서도 아름다운 품위를 갖고 있어 한 시대를 풍미했던 종사宗師의 모범적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 2단계 : 전국 중엽
주요 작품 : 孟子, 莊子
맹자 - 동자 이후의 유가학파 중에서 가장 권위 있는 대학자 맹가(기원전372~289)의 언행을 기록한 책이다. 맹자는 언사가 예리하여 감정이 충일하고 기세가 웅건하며, 논변적 성질을 농후하게 담고 있어서, 한 사상가의 기지 있고 예리한 언변을 잘 표현하고 있으며, 문장 또한 거침없는 표현으로 호쾌하면서도 치밀하다.
알묘조장(苗助長),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장자 - 장자는 장주(기원전 약 369~286)와 그의 문하생들의 저작으로, 주로 도가학파의 사상을 밝혔다. 장자의 철학적 관점은 대부분 신화나, 우언의 이야기를 통해 표현되었으며, 어떤 편장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몇 개의 허구적인 고사에 의해 구성된 것도 있다. 문장이 아무런 거리낌이나 구애됨이 없으며, 변화가 자유롭고, 예측이 불가능하며, 낭만적 색채가 농후하게 깔려있다.
3) 전국 말엽
주요 작품 : 荀子, 韓非子
순자 - 순자는 모두 32편으로 되어있는데, 천명이나 귀신의 존재를 부정하고 사람의 힘으로 운명을 극복 할 수 있다는 사상을 제기하였다. 언어 사용에 있어서 용어가 정확하고 박식하며, 어법이 정비되어 있으며, 각종 형상적인 비유와 대구의 방식으로 언어의 리듬감을 살려 고대 산문사에 있어서 걸작이라 할 만 하다.
한비자 - 한비자는 모두 55편으로 되어 있는데, 그 핵심은 법法과 술術과 세勢가 결합하는 법치사상이다. 한비자의 문장은 사려가 깊고, 논술이 치밀하며, 글을 씀에 있어서 거침이 없고, 전투성이 매우 강하다. 또한 많은 우언과 고사를 사용하여 사리를 논증하는 비유로 삼았고, 문장을 생동감 넘치게 하였으며, 그로써 설득력도 높였다.
3-2. 한대 산문 漢代 散文
(1) 정론류 政論類
1) 가의 賈誼의 「과진론 過秦論」
과진론은 진나라의 정치 득실을 따져 당시의 통치자들을 풍자한 것으로, 거침없고, 날카로운 필치의 명문이다.
2) 조조 晁錯의 「논귀속소 論貴粟疏」
논귀속소는 중농 정책과 농민 생활의 안정을 역설하면서 생산 의욕을
선진 산문은 기본적으로는 백가쟁명 속에서 각종 문장이 모두 발전하였다고 할 수 있는데, 가장 의욕인 사유의 시대였던 만큼, 격정과 이상이 충만 되어 있고, 비유나 우언 등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였으며, 도도한 변설을 거침없이 토해 내는 등 설리의 장편화가 시도되었고, 반 형식주의적 문장의 자유화가 추구되었다고 할 수 있다.
(1) 역사 산문 歷史 散文
중국 고대 문학은 크게 운문과 산문으로 나눌 수 있는데, 시경, 초사가 운문 문학의 길을 열었다고 하면, 산문 문학은 선진때의 역사산문과 제자산문이 그 발단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역사 산문은 상서(尙書), 춘추(春秋), 국어(國語), 좌전(左傳), 전국책(戰國策) 등을 들 수 있다.
1) 상서(尙書)
상서는 ‘상고의 책’ 이란 뜻으로 書 또는 書經이라고도 하며, 고대의 역사문헌을 모아놓은 책으로서 중국에 있어서 최초의 산문이다.
이 책은 주로 상상, 주주, 특히 서주西周 초기의 정치 문헌으로 이 가운데에는 요전堯典, 고도모皐陶謨, 우공禹貢, 홍범洪範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갑골문, 종정문 이외에는 가장 오래된 산문이다.
2) 춘추(春秋)
춘추는 원래 선진 시대에 각구 사서의 통칭이었는데 나중에 노나라의 춘추만이 세상에 전해져 노나라 편년사를 지칭하는 말이 되었다. 이는 공자의 수정을 거친 것으로, 그 내용이 지나치게 간략하고 단어의 뜻이 매우 난해하여 후세 사람들이 알아보기 어려웠다. 이 때문에 공양전, 곡양정, 좌전 등 세권의 책이 씌어지게 되었는데 이를 일컬어 춘추삼전(春秋三傳)이라 한다.
3) 좌전(左傳)
좌전은 춘추를 해석하여 지은 것으로, 모두 30권의 약 20만자로 노의 은공 원년(기원전 722)으로부터 노의 애공 27년(기원전 468)에 이르는 254년 동안의 춘추열국(春秋列國)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내용의 특징- 전쟁의 원인, 성격, 승패 등 전쟁에 대한 구체적인 상황 묘사가 뛰어남.
인물의 언어와 행동의 묘사를 매우 간결한 언어로 선명하게 부각.
예를들어, [효지전之戰]
역사적 사실을 기술함과 동시에 고사성과 희극성이 풍부한 사실을 서술.
4) 국어(國語)
국어는 국별사國別史로, 주 목왕(기원전 990)으로부터 노 도공(기원전454)에 이르기까지의 왕조의 일과 제후 여러나라의 일을 기록하였다. 주어周語, 노어魯語, 제어齊語, 진어晉語, 정어鄭語, 초어楚語, 오어吳語, 월어越語 등의 성패의 역사로, 모두 21권으로 되어있다.
내용의 특징 - 여러나라의 중요한 역사 및 역사 인물의 언행, 전설을 서술
그러나 처음부터 끝까지 체계적으로 기술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떤 사건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기술.
5) 전국책(戰國策)
전국책은 주 정정왕 57년(기원전 454)으로부터, 진시황 37년(기원전)210에 이르기까지 약 240년 동안의 정치, 사회와 책사언행을 기록한 역사책이다.
초, 제, 위. 연, 한 등의 12국책으로 나누어 모두 33권이다.
내용의 특징 - 명확한 주제를 중심으로 한 인물의 언어, 행동의 개성을 집중적을 부각하는 등의 문필이 유창.
문장이 간결, 생동적이며, 설리에 뛰어나, 역대 문인들의 문장의 아름다움을 찬양하는 등 책사 언행에 대한 기술이 뛰어남.
비유와 우언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대단히 강력한 설득력 가짐.
(2) 제자산문 諸子散文
1) 1단계 : 춘추말년 ~ 전국 초기
주요 작품 : 論語, 老子
노자 - 격언체를 사용하여, 문체가 질박하고, 산문과 운문을 섞어 운용하였으며, 철리성哲理性이 풍부한 저작이다. 하지만 논술에 있어 다소 분석적이지 못한 단점을 가진다.
논어 - 논어는 어록체의 산문집으로 주로 유학의 창시자인 공자(기원전551~479)의 사상과 언술을 기록했다. 공자에 의해 창립된 유학은 이후 대단한 위력을 발휘하여 중국 전통 사상, 문화의 기본적인 틀이 되었으며, 논어는 문인들의 필독서로 받들어졌는데, 논어는 언어가 간단하면서도 의미가 심장하고 함축적이며, 온화하면서도 아름다운 품위를 갖고 있어 한 시대를 풍미했던 종사宗師의 모범적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 2단계 : 전국 중엽
주요 작품 : 孟子, 莊子
맹자 - 동자 이후의 유가학파 중에서 가장 권위 있는 대학자 맹가(기원전372~289)의 언행을 기록한 책이다. 맹자는 언사가 예리하여 감정이 충일하고 기세가 웅건하며, 논변적 성질을 농후하게 담고 있어서, 한 사상가의 기지 있고 예리한 언변을 잘 표현하고 있으며, 문장 또한 거침없는 표현으로 호쾌하면서도 치밀하다.
알묘조장(苗助長),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장자 - 장자는 장주(기원전 약 369~286)와 그의 문하생들의 저작으로, 주로 도가학파의 사상을 밝혔다. 장자의 철학적 관점은 대부분 신화나, 우언의 이야기를 통해 표현되었으며, 어떤 편장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몇 개의 허구적인 고사에 의해 구성된 것도 있다. 문장이 아무런 거리낌이나 구애됨이 없으며, 변화가 자유롭고, 예측이 불가능하며, 낭만적 색채가 농후하게 깔려있다.
3) 전국 말엽
주요 작품 : 荀子, 韓非子
순자 - 순자는 모두 32편으로 되어있는데, 천명이나 귀신의 존재를 부정하고 사람의 힘으로 운명을 극복 할 수 있다는 사상을 제기하였다. 언어 사용에 있어서 용어가 정확하고 박식하며, 어법이 정비되어 있으며, 각종 형상적인 비유와 대구의 방식으로 언어의 리듬감을 살려 고대 산문사에 있어서 걸작이라 할 만 하다.
한비자 - 한비자는 모두 55편으로 되어 있는데, 그 핵심은 법法과 술術과 세勢가 결합하는 법치사상이다. 한비자의 문장은 사려가 깊고, 논술이 치밀하며, 글을 씀에 있어서 거침이 없고, 전투성이 매우 강하다. 또한 많은 우언과 고사를 사용하여 사리를 논증하는 비유로 삼았고, 문장을 생동감 넘치게 하였으며, 그로써 설득력도 높였다.
3-2. 한대 산문 漢代 散文
(1) 정론류 政論類
1) 가의 賈誼의 「과진론 過秦論」
과진론은 진나라의 정치 득실을 따져 당시의 통치자들을 풍자한 것으로, 거침없고, 날카로운 필치의 명문이다.
2) 조조 晁錯의 「논귀속소 論貴粟疏」
논귀속소는 중농 정책과 농민 생활의 안정을 역설하면서 생산 의욕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