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목차
- 목 차 -
평생교육 프로그램 실행과 운영
⊙ <Abstract>
Ⅰ. 서 론
Ⅱ. 본 론
1. 프로그램 실행과 운영의 의미
2. 프로그램 실행과 운영의 원리
3. 프로그램 교수학습 관리
3.1. 프로그램 학습 관리
3.2. 프로그램 교수 관리
4. 프로그램 교수학습 전개
4.1. 도입단계
4.2. 전개단계
4.3. 정리단계
5. 프로그램 교수학습 전략
6. 프로그램 운영 관리
6.1. 프로그램 운영관리의 과정
6.2. 프로그램 운영관리의 영역
6.3. 프로그램 실행 및 운영 관리의 유의 사항
Ⅲ. 결론
⊙ 조별 일지
⊙ 개별 일지 10편 수록
⊙ 참고문헌
평생교육 프로그램 실행과 운영
⊙ <Abstract>
Ⅰ. 서 론
Ⅱ. 본 론
1. 프로그램 실행과 운영의 의미
2. 프로그램 실행과 운영의 원리
3. 프로그램 교수학습 관리
3.1. 프로그램 학습 관리
3.2. 프로그램 교수 관리
4. 프로그램 교수학습 전개
4.1. 도입단계
4.2. 전개단계
4.3. 정리단계
5. 프로그램 교수학습 전략
6. 프로그램 운영 관리
6.1. 프로그램 운영관리의 과정
6.2. 프로그램 운영관리의 영역
6.3. 프로그램 실행 및 운영 관리의 유의 사항
Ⅲ. 결론
⊙ 조별 일지
⊙ 개별 일지 10편 수록
⊙ 참고문헌
본문내용
황에 임한다.
③동기지향성: 성인들은 목적지향, 활동지향, 학습지향성에 따라 효율적인 학습을 원한다.
④적극적 참여성 : 자신에게 필요한 내용을 다루는 학습을 할 경우 적극적으로 참여 할 기회를 가지려 하는 특성을 가진다.
2) 성인학습의 원리
①교육의 출발점을 다양하게 제시한다.
②내재적 동기를 부여한다.
③학습에 대한 강화는 정적 강화가 보다 효과적이다.
④학습의 극대화를 위해 정보를 조직적으로 제시한다.
⑤체계적 반복으로 교육효과를 극대화 시킨다.
⑥의미 있는 학습과제를 제시한다.
⑦능동적인 참여 분위기를 조성한다.
⑧물리적 환경요인과 심리적 환경요인을 적절하게 파악한다.
(2) 성인교수학습이론
성인교육이란 말은 1833년의 독일 교사 Alexander Kapp가 처음 만든 용어이다. 이후 M.Knowles(1968)가 \"Andragogy Not Pedagogy\"라는 글을 발표한 뒤 1970년대를 거쳐 1980년대에 이르러 안드라고지가 성인교육을 뜻하는 용어로 정착되었다.
그는 페다고지는 전형적으로 아동을 위한 것이며 안드라고지는 전형적으로 성인을 위한 것이라고 명확히 구분하여 이분법적으로 설명했다. 그의 발표는 안드라고지를 널리 알리게 되었지만 많은 비평이 있었다. 구조가 너무 과잉 단순화되었으며 안드라고지가 아동교육에서도 적용 가능하고, 페다고지가 성인교육에서도 적용 가능하다는 지적이었다. 다음은 페다고지와 안드라고지를 비교한 표이다.
1) 자기주도학습(Self-directed learning)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창의적 생산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학습체제로 학습과정(계획, 요구진단, 자원탐색, 학습 평가시)에서 개인이 주도권을 갖는 학습과정이다. 교수자의 도움 없이 학습자가 자신의 속도로 진행시켜나갈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자율성이 있는 개인학습자가 개별적으로 학습하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으로도 정의한다. 이것은 외부의 도움이 필요 없다는 의미가 아니다. 또한 자기주도적으로 학습된 내용이 모두 동일하게 중요하다고도 볼 수 없다.
2) 구성주의와 객관주의에 근거한 교육
학습은 지식의 구성과정으로, 정보의 기록이 아닌 정보의 해석에 의해 일어난다. 예로는 노트에 아무리 적어놓아도 그것을 학습했다고 할 수 없다는 것을 들 수 있다.
학습은 기존 지식에 의존하며, 새로운 지식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이전의 지식 및 경험을 사용한다. 따라서 학습은 개인마다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학습은 학습이 일어나는 상황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상황은 협동적이고 실제적 상황일 때 효과적이다.
2-1) 구성주의 교수학습의 기본 원리
①실제적 상황과 유사한 학습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②학교교육 대부분의 지식들이 일반화되고 보편적인 탈상황적 맥락에서 진행된다.
③협동학습을 장려해야 하고, 다른 구성원의 사고과정을 학습하는 인지적 모델링이 가능하다.
④학습자의 능동성을 고려해야 한다.
⑤적극적이고 자율적인 참여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2) 구성주의학습이론의 의의와 한계점
구성주의에서 학습자는 하나의 정보나 지식, 사물들을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하며, 그 해석은 상호의존적이기 때문에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허용한다. 따라서 의미 있는 지식이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새로운 지식을 형성한다는 전망을 제시하기 때문에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정해진 목적이 전혀 없는 교수활동이 바람직하며 가능한가의 문제가 걸린다. 그리고 학습자가 대부분 구조화된 지식을 그대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엄밀하게 주도적이라고 얘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3) 시간중심 교수이론
실제로 교육현장에서는 거의 모든 교수 행위가 시간표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간이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는다. 따라서 교육자는 시간 중심 교수이론에 입각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수행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음의 사실을 알고 있어야 한다.
1) 효과적 교수학습을 위한 평생교육사의 역할
① 학습자에게 가급적 많은 기회를 제공하는데 노력해야 한다.
② 학습자가 학습을 지속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어야 한다.
③ 교육내용이 학습자의 적성과 일치하는지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④ 성인학습자의 과제 집중시간과 탐구적 학습시간의 원리를 잘 알고 학습과정에 임해야 한다.
⑤ 교육기관, 동료, 강사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와 강사의 배경이 학습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2) 학습자의 성취도
학습자의 성취도는 ‘학습에 소비된 시간 / 학습에 필요한 시간’ 의 관계로 정의되는데 여기서 학습에 실제로 소비한 시간은 학습기회와 학습지속의 요인에 관계된다. 또한 학습에 필요한 시간은 해당 과제에 대한 적성과 이에 영향을 주는 교수 학습의 질, 학습자의 이해력 요인이 관여한다.
4. 프로그램 교수학습 전개
4.1. 도입단계
1. 친밀감 조성 : 교육이 시작되었을 때, 교관은 무엇보다 학습자 상호간의 소개와 기타 활동 (예, 간단한 레크레이션, 신뢰감 확립 활동 등)을 통하여 친밀감과 안락한 분위기를 조성하여야 한다.
2. 동기유발 : 교육활동이 시작됨과 동시에 다양한 자극을 사용하여 참여한 학습자들의 교육활동에 대한 동기를 유발시킨다. 이것은 교육의 매력성과 참여에 대한 의지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교육활동에 대한 주의 집중을 촉진시킬 것이다. 주의집중은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주목을 요구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인간관계 즉, 친밀 관계를 전제로 학습의 동기를 부여함으로서 가능하다. 그러므로 도입단계에서 동기유발과, 주의집중은 같은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하며, 이는 교육의 가장 핵심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동기유발 및 주의집중 방법은 언어를 통한 방법, 몸집을 통한 방법, 교구나 교편물을 이용하는 방법, 활동을 통한 방법 등이 있으며, 그 원리는 흥미의 원리, 변화의 원리, 다양성의 원리이다. 즉,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흥미와 변화 그리고 다양성을 유도할 때 주의집중 및 동기유발을 획득하고 유지시킬 수 있다. 교관은 부드럽고 친밀한 분위기를 창출하도록 노력하여야 하고, 본시 교육이 구성원들에게 유의미한 경험이 될 수 있다는 확신감을 지니고 있어야 하며, 교육이 종료될
③동기지향성: 성인들은 목적지향, 활동지향, 학습지향성에 따라 효율적인 학습을 원한다.
④적극적 참여성 : 자신에게 필요한 내용을 다루는 학습을 할 경우 적극적으로 참여 할 기회를 가지려 하는 특성을 가진다.
2) 성인학습의 원리
①교육의 출발점을 다양하게 제시한다.
②내재적 동기를 부여한다.
③학습에 대한 강화는 정적 강화가 보다 효과적이다.
④학습의 극대화를 위해 정보를 조직적으로 제시한다.
⑤체계적 반복으로 교육효과를 극대화 시킨다.
⑥의미 있는 학습과제를 제시한다.
⑦능동적인 참여 분위기를 조성한다.
⑧물리적 환경요인과 심리적 환경요인을 적절하게 파악한다.
(2) 성인교수학습이론
성인교육이란 말은 1833년의 독일 교사 Alexander Kapp가 처음 만든 용어이다. 이후 M.Knowles(1968)가 \"Andragogy Not Pedagogy\"라는 글을 발표한 뒤 1970년대를 거쳐 1980년대에 이르러 안드라고지가 성인교육을 뜻하는 용어로 정착되었다.
그는 페다고지는 전형적으로 아동을 위한 것이며 안드라고지는 전형적으로 성인을 위한 것이라고 명확히 구분하여 이분법적으로 설명했다. 그의 발표는 안드라고지를 널리 알리게 되었지만 많은 비평이 있었다. 구조가 너무 과잉 단순화되었으며 안드라고지가 아동교육에서도 적용 가능하고, 페다고지가 성인교육에서도 적용 가능하다는 지적이었다. 다음은 페다고지와 안드라고지를 비교한 표이다.
1) 자기주도학습(Self-directed learning)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창의적 생산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학습체제로 학습과정(계획, 요구진단, 자원탐색, 학습 평가시)에서 개인이 주도권을 갖는 학습과정이다. 교수자의 도움 없이 학습자가 자신의 속도로 진행시켜나갈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자율성이 있는 개인학습자가 개별적으로 학습하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으로도 정의한다. 이것은 외부의 도움이 필요 없다는 의미가 아니다. 또한 자기주도적으로 학습된 내용이 모두 동일하게 중요하다고도 볼 수 없다.
2) 구성주의와 객관주의에 근거한 교육
학습은 지식의 구성과정으로, 정보의 기록이 아닌 정보의 해석에 의해 일어난다. 예로는 노트에 아무리 적어놓아도 그것을 학습했다고 할 수 없다는 것을 들 수 있다.
학습은 기존 지식에 의존하며, 새로운 지식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이전의 지식 및 경험을 사용한다. 따라서 학습은 개인마다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학습은 학습이 일어나는 상황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상황은 협동적이고 실제적 상황일 때 효과적이다.
2-1) 구성주의 교수학습의 기본 원리
①실제적 상황과 유사한 학습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②학교교육 대부분의 지식들이 일반화되고 보편적인 탈상황적 맥락에서 진행된다.
③협동학습을 장려해야 하고, 다른 구성원의 사고과정을 학습하는 인지적 모델링이 가능하다.
④학습자의 능동성을 고려해야 한다.
⑤적극적이고 자율적인 참여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2) 구성주의학습이론의 의의와 한계점
구성주의에서 학습자는 하나의 정보나 지식, 사물들을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하며, 그 해석은 상호의존적이기 때문에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허용한다. 따라서 의미 있는 지식이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새로운 지식을 형성한다는 전망을 제시하기 때문에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정해진 목적이 전혀 없는 교수활동이 바람직하며 가능한가의 문제가 걸린다. 그리고 학습자가 대부분 구조화된 지식을 그대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엄밀하게 주도적이라고 얘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3) 시간중심 교수이론
실제로 교육현장에서는 거의 모든 교수 행위가 시간표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간이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는다. 따라서 교육자는 시간 중심 교수이론에 입각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수행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음의 사실을 알고 있어야 한다.
1) 효과적 교수학습을 위한 평생교육사의 역할
① 학습자에게 가급적 많은 기회를 제공하는데 노력해야 한다.
② 학습자가 학습을 지속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어야 한다.
③ 교육내용이 학습자의 적성과 일치하는지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④ 성인학습자의 과제 집중시간과 탐구적 학습시간의 원리를 잘 알고 학습과정에 임해야 한다.
⑤ 교육기관, 동료, 강사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와 강사의 배경이 학습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2) 학습자의 성취도
학습자의 성취도는 ‘학습에 소비된 시간 / 학습에 필요한 시간’ 의 관계로 정의되는데 여기서 학습에 실제로 소비한 시간은 학습기회와 학습지속의 요인에 관계된다. 또한 학습에 필요한 시간은 해당 과제에 대한 적성과 이에 영향을 주는 교수 학습의 질, 학습자의 이해력 요인이 관여한다.
4. 프로그램 교수학습 전개
4.1. 도입단계
1. 친밀감 조성 : 교육이 시작되었을 때, 교관은 무엇보다 학습자 상호간의 소개와 기타 활동 (예, 간단한 레크레이션, 신뢰감 확립 활동 등)을 통하여 친밀감과 안락한 분위기를 조성하여야 한다.
2. 동기유발 : 교육활동이 시작됨과 동시에 다양한 자극을 사용하여 참여한 학습자들의 교육활동에 대한 동기를 유발시킨다. 이것은 교육의 매력성과 참여에 대한 의지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교육활동에 대한 주의 집중을 촉진시킬 것이다. 주의집중은 학습자들에게 단순히 주목을 요구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인간관계 즉, 친밀 관계를 전제로 학습의 동기를 부여함으로서 가능하다. 그러므로 도입단계에서 동기유발과, 주의집중은 같은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하며, 이는 교육의 가장 핵심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동기유발 및 주의집중 방법은 언어를 통한 방법, 몸집을 통한 방법, 교구나 교편물을 이용하는 방법, 활동을 통한 방법 등이 있으며, 그 원리는 흥미의 원리, 변화의 원리, 다양성의 원리이다. 즉,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흥미와 변화 그리고 다양성을 유도할 때 주의집중 및 동기유발을 획득하고 유지시킬 수 있다. 교관은 부드럽고 친밀한 분위기를 창출하도록 노력하여야 하고, 본시 교육이 구성원들에게 유의미한 경험이 될 수 있다는 확신감을 지니고 있어야 하며, 교육이 종료될
키워드
추천자료
[인문과학]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현실과 문제점 및 재고찰
(평생교육 프로그램) 미혼모의 자존감을 높이며 원만한 사회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 프로그램...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램개발 접근법)
평생교육 프로그램 관리자는 어떠한 홍보전략을 수립해야 하는지 홍보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에...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원리와 제한요인 [프로그램개발]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론] <평생교육 프로그램(Lifelong Education Program) 평가> 평생교...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론] 평생교육 프로그램(Lifelong Education Program)의 기획 (프로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론] 평생교육 프로그램(Lifelong Education Program)의 개념과 유형 ...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마케팅 이론을 활용할 필요성을 논하시오 [평생교육]
[평생교육방법론] 평생학습시대가 도래했으며 다양한 형태의 평생교육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평생교육 프로그램개발의 일반적인 과정(기획, 설계, 마케팅, 실행, 평가)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현재 대학의 평생교육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현황을 설명하시오.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접근법을 코왈스키는 5가지로 구분했는데 각각의 접근법에 대해서 설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