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Ⅱ. 본 론 2
1. 우리나라 금융기관 현황 2
2. 우리나라 금융기관의 미래상 3
1) 대형화, 겸업화 추세는 금융권 전체의 재편을 촉진 4
2) 외국계 금융기관 확산으로 국내 금융권 재편 촉진 4
3) 자본시장관련 금융업의 발달 5
4) 소매금융시장 확대로 재편압력 증대 6
3. 금융권역별로 본 재편 전망 6
1) 은행 6
2) 증권회사 7
3) 보험회사 8
4) 여신전문금융기관 9
5) 서민지역금융기관 10
|||. 결 론 10
※ 참고서적 11
Ⅱ. 본 론 2
1. 우리나라 금융기관 현황 2
2. 우리나라 금융기관의 미래상 3
1) 대형화, 겸업화 추세는 금융권 전체의 재편을 촉진 4
2) 외국계 금융기관 확산으로 국내 금융권 재편 촉진 4
3) 자본시장관련 금융업의 발달 5
4) 소매금융시장 확대로 재편압력 증대 6
3. 금융권역별로 본 재편 전망 6
1) 은행 6
2) 증권회사 7
3) 보험회사 8
4) 여신전문금융기관 9
5) 서민지역금융기관 10
|||. 결 론 10
※ 참고서적 11
본문내용
과 업계내 차별화 예상
- 유통업계와 외국금융기관들이 신용카드업에 활발히 진출할 것으로 예상
- 정부가 신용카드시장의 경쟁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신규진입을 허용할 가능성
- 기존의 국내 백화점 및 대형할인점 등 유통업계는 자사카드의 확대 또는 기존 은 행 카드사업부의 인수 등을 통해 카드업 진출을 추진
- 외국 금융기관들도 국내 은행들의 카드사업부 인수를 통한 카드업 진출을 모색 중
(2) 신규 신용카드사 진입과 신용카드 업계 성장세 둔화로 신용카드사간 경쟁 이 더욱 치열해지는 가운데 업계내 차병화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
- 부실 카드사와 우량카드사간에 우열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
- 실적 차별화가 심화되면서 매각 도는 합병사례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
(3) 할부금융사, 영업다변화 전망
- 할부금융사들의 영업이 전통적 할부금융업에서 벗어나 업무다각화 를 추진하는 추세가 더욱 뚜렷해질 것으로 예상
- 할부금융사들은 소매금융시장이 확대되면서 자신의 특화된 시장을 찾아 다양한 상품을 출시하며 소매금융시장으로의 영업을 확대하는 추세
- 금융권 및 비금융권과의 제휴도 더욱 강화할 전망
- 자동차, 가전, 내구재, 컴퓨터 등의 제조업체 등과 제휴를 통해 영업을 강화
- 은행 또는 카드, 상호저축은행등과의 제휴로 고객신용도에 따른 여신 제공
5) 서민지역금융기관
(1) 틈새시장 특화를 통한 생존전략 모색
- 상호저축은행업은 전반적인 위축이 예상되는 가운데, 개별 저축은행은 합병을 통 한 대형화, 업종전환, 특화전략 등 다양한 생존전략을 추구
- 상호저축은행으로의 전환을 기회로, 대형화를 위한 상호저축은행간의 합병이 활 발해질 것으로 전망
- 지방은행이 퇴출된 일부 지역의 경우 상호저축은행간의 합병을 통하여 지방은행 화하는 움직임도 예상
- 일부 상호저축은행은 모회사인 금융기관이나 여타 은행권으로 합병이나 매각을 통해 업종 전환을 시도
(2) 신용협동조합, 새마을금고 등 조합형 금융기관은 부실조합의 조기 퇴출 과 단위 조합간 합병을 통한 소수 정예화로 활로를 모색할 전망
- 고정비용 절감, 난립된 조합의 정리, 타 금융기관의 침투로 좁아진 입지에 대응하 기 위해 인접 지역 조합간 합병이 지속
- 중앙회 조직을 통하여 금융 서비스 영역을 확대하여 경쟁력 제고를 도모
- 장기적으로는 신협과 새마을금고 조직의 업무 제휴와 중앙회 기구의 통합 움직임 도 예상
(3) 농협, 수협 등 상호금융조합은 전문은행으로 전환할 가능성
- 독립채산제로 움직이는 회원조합을 중앙회 조직으로 통합시켜 전문은행으로 전 환하는 방안이 고려될 가능성
- 다양한 금융서비스 제공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역내의 신협, 새마을금고 등 유 사 조합형 금융기관들과의 업무제휴도 예상
Ⅲ. 결 론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 금융기관에는 은행, 증권회사, 보험회사, 여신전문금융기관, 시민지역금융기관 등이 있다. 이러한 금융기관들은 외한위기 이후 기존과는 다른 변화하는 환경에 직면하게 되었고, 이렇게 금융산업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는 금융산업의 구조변화를 촉진시키고, 은행, 증권, 보험회사, 여신전문기관, 지역금융기관 등 각 금융권에도 재편압력이라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우리나라 금융기관에도 여러 다양한 변화가 나타날 것이고 그에 힘입어 발전할 것이다.
※ 참고서적
1. 윤봉환 외, 금융기관론, 크라운판, 1999
2. 이충렬 외, 디지털경제와 금융기관의 버추얼경영, 에프케이아이미디어, 2002
3. 권순우 외, 환경변화에 따른 향후 금융산업 구조재편 방향, 삼성경제연구소, 2002
4. 정홍주, 금융기관의 이해, 아리스크, 2002
5. 권재중, 금융기관 인허가제도 개선방안, 한국금융연구원, 1999
- 유통업계와 외국금융기관들이 신용카드업에 활발히 진출할 것으로 예상
- 정부가 신용카드시장의 경쟁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신규진입을 허용할 가능성
- 기존의 국내 백화점 및 대형할인점 등 유통업계는 자사카드의 확대 또는 기존 은 행 카드사업부의 인수 등을 통해 카드업 진출을 추진
- 외국 금융기관들도 국내 은행들의 카드사업부 인수를 통한 카드업 진출을 모색 중
(2) 신규 신용카드사 진입과 신용카드 업계 성장세 둔화로 신용카드사간 경쟁 이 더욱 치열해지는 가운데 업계내 차병화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
- 부실 카드사와 우량카드사간에 우열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
- 실적 차별화가 심화되면서 매각 도는 합병사례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
(3) 할부금융사, 영업다변화 전망
- 할부금융사들의 영업이 전통적 할부금융업에서 벗어나 업무다각화 를 추진하는 추세가 더욱 뚜렷해질 것으로 예상
- 할부금융사들은 소매금융시장이 확대되면서 자신의 특화된 시장을 찾아 다양한 상품을 출시하며 소매금융시장으로의 영업을 확대하는 추세
- 금융권 및 비금융권과의 제휴도 더욱 강화할 전망
- 자동차, 가전, 내구재, 컴퓨터 등의 제조업체 등과 제휴를 통해 영업을 강화
- 은행 또는 카드, 상호저축은행등과의 제휴로 고객신용도에 따른 여신 제공
5) 서민지역금융기관
(1) 틈새시장 특화를 통한 생존전략 모색
- 상호저축은행업은 전반적인 위축이 예상되는 가운데, 개별 저축은행은 합병을 통 한 대형화, 업종전환, 특화전략 등 다양한 생존전략을 추구
- 상호저축은행으로의 전환을 기회로, 대형화를 위한 상호저축은행간의 합병이 활 발해질 것으로 전망
- 지방은행이 퇴출된 일부 지역의 경우 상호저축은행간의 합병을 통하여 지방은행 화하는 움직임도 예상
- 일부 상호저축은행은 모회사인 금융기관이나 여타 은행권으로 합병이나 매각을 통해 업종 전환을 시도
(2) 신용협동조합, 새마을금고 등 조합형 금융기관은 부실조합의 조기 퇴출 과 단위 조합간 합병을 통한 소수 정예화로 활로를 모색할 전망
- 고정비용 절감, 난립된 조합의 정리, 타 금융기관의 침투로 좁아진 입지에 대응하 기 위해 인접 지역 조합간 합병이 지속
- 중앙회 조직을 통하여 금융 서비스 영역을 확대하여 경쟁력 제고를 도모
- 장기적으로는 신협과 새마을금고 조직의 업무 제휴와 중앙회 기구의 통합 움직임 도 예상
(3) 농협, 수협 등 상호금융조합은 전문은행으로 전환할 가능성
- 독립채산제로 움직이는 회원조합을 중앙회 조직으로 통합시켜 전문은행으로 전 환하는 방안이 고려될 가능성
- 다양한 금융서비스 제공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역내의 신협, 새마을금고 등 유 사 조합형 금융기관들과의 업무제휴도 예상
Ⅲ. 결 론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 금융기관에는 은행, 증권회사, 보험회사, 여신전문금융기관, 시민지역금융기관 등이 있다. 이러한 금융기관들은 외한위기 이후 기존과는 다른 변화하는 환경에 직면하게 되었고, 이렇게 금융산업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는 금융산업의 구조변화를 촉진시키고, 은행, 증권, 보험회사, 여신전문기관, 지역금융기관 등 각 금융권에도 재편압력이라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우리나라 금융기관에도 여러 다양한 변화가 나타날 것이고 그에 힘입어 발전할 것이다.
※ 참고서적
1. 윤봉환 외, 금융기관론, 크라운판, 1999
2. 이충렬 외, 디지털경제와 금융기관의 버추얼경영, 에프케이아이미디어, 2002
3. 권순우 외, 환경변화에 따른 향후 금융산업 구조재편 방향, 삼성경제연구소, 2002
4. 정홍주, 금융기관의 이해, 아리스크, 2002
5. 권재중, 금융기관 인허가제도 개선방안, 한국금융연구원, 199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