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데스 음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안데스 음악의 개관과 흐름
1.고대 문명에서부터 식민 통치 시대까지
2.적극적 계승 시기
3.이제 월드 뮤직으로

Ⅱ.안데스 음악의 지역적 분석

Ⅲ.안데스 음악의 음악적 분석
1.리듬
2.악기
3.안데스 음악의 특색

Ⅳ.안데스 음악의 의의와 영향
1.안데스 음악 자체의 의의
2.안데스 음악의 영향
3.마치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배의 역사에서 민족적 정체성을 확보해 줄 수 있는 민족 전통 음악으로서의 의의이고, 둘째는 유럽의 클래식 음악과 미국의 팝 음악, 이 양대 산맥이 세계 음악의 주류를 이룬다고 할 때, 비주류의 다양하고 독창적인 음악성을 제공하는 제3세계 음악으로서의 의의이다.
16세기 초부터 19세기까지 이어진 스페인의 식민 지배는 아메리카 원주민에게 있어서 그들의 민족 전통 문화를 지켜 나아가기에 크나큰 시련이었을 것이고, 민족적 정체성이라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음악을 비롯한 여러 문화 분야에서 그들의 전통을 계승하는 것은 그들의 생존 과제나 다름없었을 것이다. 게다가 잉카로 대변되는 안데스 지역의 문화권에서는 소통 수단이 문자가 아니라 구전의 설화와 음악, 춤 등이었다고 하니 그 문화 전통을 이어 나아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일이었을지 짐작할 수 있다.
물론 그 과정이 순탄했을 리는 없고, 안데스 음악 역시 식민 지배 시기에는 암흑기였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20세기 초 무렵부터 안데스의 민속 음악을 보다 전문적인 형태로 전승하려는 작업들이 시도되었고, 1930년대의 아따왈빠 유빵끼, 비올레따 빠라 등의 노력을 거쳐 결국 1960년대에는 그들의 음악을 전 세계 사람들 앞에 내놓게 된다. 이렇게 민족 고유의 문화를 지켜 나아가는 노력을 통해 오랜 기간의 식민 통치에도 불구하고 민족적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안데스 음악의 의의를 찾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고유의 예술성과 독창적인 음악 세계를 갖고 있는 안데스 음악은, 전 세계가 비슷한 양태를 보이며 주류 음악에 휩쓸리던 시기에 예술적 다양성을 제공하는 데 일조했다. 께나, 시꾸, 차랑고 등의 악기들은 주류 음악과는 다른 음감을 선사했고, 팝이나 클래식과 크로스 오버하는 과정에서도 그 특징을 잃기보다 오히려 주류 음악에 독특한 색깔을 입혀주는 역할을 했다. 또한 안데스 음악만의 자연적이고 토속적인 음악 세계는 기존의 주류 음악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사상과 이미지를 표현하며 자신만의 매력을 발산했다.
2. 안데스 음악의 영향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안데스 음악은 두 가지 측면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그런데 이러한 성격에서 비롯한 안데스 음악의 영향은 두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왜냐하면 다른 음악가나 그룹의 입장에서 새로운 음악성에 대한 호기심과 자극 혹은 안데스 음악의 민족정신 중 오직 한 가지만을 택해 영향을 받지는 않기 때문이다. 음악적 자극과 안데스 음악의 정신은 함께 맞물리고, 또 다른 비음악적 요소와의 조화를 통해 안데스 음악의 영향력을 만들어 낸 것이다. 그리고 안데스의 안과 밖에서의 영향력은 그 성격이 조금 다를 것이라는 점도 생각해야 한다. 안데스 내부에서 그들의 전통 민속 음악으로 계승발전되어 온 안데스 음악이 음악적으로 체계화되고 보편성을 획득했다는 것은 팝이나 클래식의 주류 음악과 민족적 정체성 사이에서 고민하던 안데스의 음악가들에게는 좋은 활동 기반이 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60년대의 시대의 요구에 따라 이런 활동은 새노래운동 (Nueva Cancion) 등으로 연결되기도 했다. 한편 안데스 외부에서의 안데스 음악의 영향은 아무래도 음악적 자극의 측면이 조금 더 컸다고 할 수 있다. 물론 라틴아메리카라는 지역 범위에서는 민족 정체성도 중요한 모티브였고 쿠바의 음악가들이 안데스 음악과 연결되는 고리가 되기도 했지만 월드 뮤직의 범위에서 보면 안데스 음악의 독특한 음색과 감수성이 해외의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끼친 점을 우선적으로 꼽아야 하겠다.
그런데 이렇게 안데스 음악의 의의와 영향에 대한 논의에서 음악적 요소와 비음악적 요소, 그리고 지역 범위에 따른 구분이 이루어지는 것은 안데스 음악의 생명력, 더 나아가 월드 뮤직이라는 장르의 음악적 지속성과 연관이 있다고 생각한다. 우선 안데스 음악의 독창성이 안데스 내부에서도 지속적으로 발전되고 재창조되지 않는 한 월드 뮤직으로서의 안데스 음악의 영향력은 어느 순간 쇠멸하고 말 것이다. 변하지 않는 모습으로 언제나 새로울 수 있는 것은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안데스 음악이 안데스인들 안에서 보편성을 확보했던 시기에는 시대 배경이라는 비음악적 요소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40~50여 년이 지난 지금 시대는 그만큼 변했다. 즉, 당시 안데스인들 자신을 매료시키고 그들의 민족적 정체성을 제시해주었던 안데스 음악에 정작 그들은 음악적 정체성을 입히지 못한 사이에 시대는 변해버린 것이 아닌가 하는 지적이다. 이런 지적은 오늘날의 안데스 음악이 악기나 리듬 등 전통 안데스 음악의 형식만을 유지하고 그 감수성이나 분위기는 주류 음악에 편승하고 있는 모습과도 연결된다.
3. 마치며
앞에서 지적한 안데스 음악의 음악적 정체성과 발전 방향에 대한 고민은 비단 안데스 음악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민속 전통 음악에 해당하는 것이리라. 어느 부분까지를 고수하고 어느 부분까지를 바꿀 것인가, 아니면 전통을 고집하는 것이 옳은 것일까 변화와 접목을 추구하는 것이 옳은 것일까 하는 고민들 말이다. 물론 순수한 음악적 동기만으로 많은 음악가들이 각각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여러 갈래의 음악 색깔과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가장 좋은 일이겠으나, 음악과 상업성을 떨어뜨려 놓고 생각할 수 없는 자본주의의 이 시대에 마냥 바라고만 있을 수는 없는 일이다.
안데스 음악을 통해서, 그리고 세계 여러 지역의 전통 민속 음악을 통해서 우리는 무엇을 표현하고 싶고, 무엇을 듣고 싶은지,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그 기반을 닦아 나아갈 것인지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남겨진 질문일 것이다.
*참고문헌:
서남준, 「월드 뮤직 : 멀리서 들려오는 메아리」, 서울: 대원사, 2003
마스다 요시오, 신금순 역, 「이야기 라틴아메리카사」, 서울: 심산, 2003
*목 차
Ⅰ.안데스 음악의 개관과 흐름
1.고대 문명에서부터 식민 통치 시대까지
2.적극적 계승 시기
3.이제 월드 뮤직으로
Ⅱ.안데스 음악의 지역적 분석
Ⅲ.안데스 음악의 음악적 분석
1.리듬
2.악기
3.안데스 음악의 특색
Ⅳ.안데스 음악의 의의와 영향
1.안데스 음악 자체의 의의
2.안데스 음악의 영향
3.마치며
*참고문헌: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5.23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09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