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도입
Ⅱ.소설 「서편제」&「소리의 빛」
1. 작가소개: 이청준
2. 이청준과 恨
3. 남도사람
(1)「서편제」
(2)「소리의 빛」
(3) 소설을 살펴 본 후에…. : 끝없는 방랑
Ⅲ. 영화 <서편제>
1. 영화 '서편제'에 대해
2. 영화 <서편제>의 핵심적인 내용과 등장인물 소개
3. 영화 시놉시스
4. 영화 '서편제'의 줄거리
5. 영화 '서편제'에서의 길의 의미
6. 영화 '서편제'에서 판소리가 차지하는 비중
7. 원작자 이청준이 본 서편제
8. 정리
Ⅳ '서편제' - 소설과 영화의 차이점
Ⅴ.서편제 - 영화화의 의의
1. 문학 작품과 영화의 차이
2. 영화 서편제의 한계 (소설 서편제와 비교하여) - 추상성의 상실
3. 영화 서편제의 의의
※ 서편제 영화화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
Ⅵ. 결론
Ⅰ.도입
Ⅱ.소설 「서편제」&「소리의 빛」
1. 작가소개: 이청준
2. 이청준과 恨
3. 남도사람
(1)「서편제」
(2)「소리의 빛」
(3) 소설을 살펴 본 후에…. : 끝없는 방랑
Ⅲ. 영화 <서편제>
1. 영화 '서편제'에 대해
2. 영화 <서편제>의 핵심적인 내용과 등장인물 소개
3. 영화 시놉시스
4. 영화 '서편제'의 줄거리
5. 영화 '서편제'에서의 길의 의미
6. 영화 '서편제'에서 판소리가 차지하는 비중
7. 원작자 이청준이 본 서편제
8. 정리
Ⅳ '서편제' - 소설과 영화의 차이점
Ⅴ.서편제 - 영화화의 의의
1. 문학 작품과 영화의 차이
2. 영화 서편제의 한계 (소설 서편제와 비교하여) - 추상성의 상실
3. 영화 서편제의 의의
※ 서편제 영화화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
Ⅵ. 결론
본문내용
다 현실에 가깝다. 또한 송화가 눈이 멀게 된 이후에 딸을 데리고 살아가는 부분 역시 연약한 여동 생의 이미지보다는 누이의 이미지가 더 그 상황을 잘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송화를 누 이로 각색함으로써 감독은 자신의 의도대로 이야기에 더욱 현실성을 부여하였다.
- 또한 이점에서 낙산 거사를 한번 더 거론할 수 있다. 낙산거사는 영화에서 나레이터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 낙산거사의 나레이터의 역할로 인해 우리가 평소 느끼는 삶에 대 한 느낌이 살아난다. 즉, 사람의 삶은 단순히 개인의 또는 그 삶의 경험과 연관된 사람 들만의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도 보여지고 느껴질 수 있는 구체적이라는 것이라는 것을 느끼게 해준다. 이러한 요소가 영화 서편제가 관객들에게 현실감을 느낄 수 있게 해준다.
(3) 희망의 여지
- '소설 서편제'에서는 송화가 아비가 죽은 뒤 처녀인 채로 홀로 살아가는 것으로 표현되 어있다. 물론 소설의 마지막에서 이러한 송화의 처지를 통해 소리의 맥이 끊어진다거나 소멸시키지는 않았다. 그러나 '영화 서편제'에서는 송화에게 딸아이를 두게 함으로써 소 리가 전승될 여지와 딸아이를 통한 한의 승화에 더욱 희망을 부여하고 있다. 즉, 소설에 서보다 더욱 송화의 처지를 희망적으로 마무리함으로써 관객들로 하여금 낙관적인 미래 를 추측할 수 있게 하였다.
(4) 판소리 중심
- 소설 서편제'보다 '영화 서편'제'가 가장 뛰어난 점은 아마도 영화 내내 울려 퍼지는 구슬픈 판소리 가락이 아닐까 싶다. 물론 독자들이 책을 통해 상상할 수 있는 소리의 깊이와 크기를 영화가 제한하는 것일 수도 있다. 그러나 현대 일반인들로서는 제대로 된 소 리라는 것을 실제로 들어보기가 쉽지 않다. 소설에서 등장하는 판소리는 독자들이 상상 해야 한다. 또, 그 판소리 원래의 느낌으로 글을 읽어나가는 것이 아니라 작가가 만들어 놓은 배경과 느낌에 따라 판소리의 느낌을 추측하게 된다. 이는 작품을 읽어나가면서 독 자들이 얻는 감동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하지만 독자들이 판소리 자체에 관심을 갖기는 어렵다. 반면 '영화 서편제'는 영화 전반에 소리를 심어놓고, 또한 한이 쌓여가는 과정과 소리가 성숙해가는 것을 '오정혜' 라는 걸출한 인물을 통해서 매우 효과적으로 표현해내고 있다. 따라서 관객들은 영화 내용에서 오는 판소리와 관계된 느낌을 무시할 수는 없지만 소설에 비해 판소리 자체를 느낄 수 있게 된다. 이는 한과 소리의 성숙이라는 추상적인 부분을 여 주인공의 연기를 통해 직접 귀로 듣고 함께 느낄 수 있으며 판소리 자체에도 관심을 갖게 한다.
※ 서편제 영화화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
- 긍정적 효과
" 우리 판소리가 참으로 훌륭한 예술임을 깨달았다" -관람평 → 우리가 외면하고 천대했던 우리의 것(판소리의 미학,한의 미학)도 얼마든지 대중 문화의 한 소재 가 될 수 있고 그것 자체가 이미 뛰어난 예술임을 영화 '서편제'를 통해 사람들에게 재인식 시켜줌, 국악인들에게 판소리의 현대적 변용과 그러기 위한 신국악학 운동의 새 기틀이 될 수 있는 계기 제공
" 우리 나라의 산천이 그렇게 아름다울 줄은 미처 몰랐다" -관람평 → 영화의 아름다운 자연은 언제나 우리 곁에 있는 것이지만 문제는 우리들의 자연에 대한 관심의 부재를 인식시켜줌 ( 그 곳이 바로 우리가 살고 있는 땅이다 - 임권택 ) 영화 소재의 다양성에 기여 → 감각적인 영화가 판을 치는 시점에 내용과 형식이 모두 충실한 영화로(특히 우리의 전통문화를 소재로) 성공한 전례를 남긴다는 점에서 한국 영화계의 소중한 성과 - 부정적 효과
국제적 보편성을 결(결)하고 있고 지나치게 과거지향적이다 - 마광수 → 자칫 잘못하면 국수주의적 세계관에 바탕한 문화적 쇄국주의로 흐를 수 있다.
Ⅵ. 결론
소설 <서편제> 와 영화 <서편제> 는 가장 큰 차이점이 한의 승화의 정도차이라고 생각한다. 소설에서는 한이 완전하게 승화되지 않고 송화가 다시 떠나는 모습으로 그 떠남에서 한의 연속과 그 한을 점차 삭혀가는 모습이 그려진다. 하지만 영화에서는 송화의 한이 거의 완전한 상태로 승화되는 것을 느끼게 된다. 소설과 영화 <서편제> 의 여러 가지 차이점들은 궁극적으로 이 '한의 승화' 의 정도차이가 아닐까 싶다.
< 서편제>를 통해 살펴 보았듯이 문학작품이 영화화가 될 때에는 여러 가지 차이가 발생하고, 그러한 차이는 영화 제작자들이 작품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았는지, 어떤 방식으로 해석을 했는지에 기인한다. 이는 하나의 문학 작품이 영화화 되었을 때, 혹평의 원인이 될 수도 있고, 호평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문학 작품을 영화로 옮기는 것에는 여러 가지 제약도 따르고, 소설과의 관점차이도 생길 뿐더러 표현하고자 하는 모든 것이 표현 될 수도 없다. 또한, 소설의 의도가 왜곡되거나 생략 될 수도 있는 반면, 영화 제작자의 참신한 의도가 첨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모든 과정들이 영화 제작 시 제작자들 사이에 잘 타협이 되고,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문학 작품이 참신한 관점으로 해석된다면 문학 작품은 좋은 영화로 재탄생 할 수 있다. 그렇게 된다면 그것은 단순히 문학 작품이 대중화된다는 의미를 넘어서 대중의 관심을 또 하나의 좋은 예술 작품으로 불러 모을 수 있는 진정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목 차
Ⅰ.도입
Ⅱ.소설 「서편제」&「소리의 빛」
1. 작가소개: 이청준
2. 이청준과 恨
3. 남도사람
(1)「서편제」
(2)「소리의 빛」
(3) 소설을 살펴 본 후에…. : 끝없는 방랑
Ⅲ. 영화 <서편제>
1. 영화 '서편제'에 대해
2. 영화 <서편제>의 핵심적인 내용과 등장인물 소개
3. 영화 시놉시스
4. 영화 '서편제'의 줄거리
5. 영화 '서편제'에서의 길의 의미
6. 영화 '서편제'에서 판소리가 차지하는 비중
7. 원작자 이청준이 본 서편제
8. 정리
Ⅳ '서편제' - 소설과 영화의 차이점
Ⅴ.서편제 - 영화화의 의의
1. 문학 작품과 영화의 차이
2. 영화 서편제의 한계 (소설 서편제와 비교하여) - 추상성의 상실
3. 영화 서편제의 의의
※ 서편제 영화화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
Ⅵ. 결론
- 또한 이점에서 낙산 거사를 한번 더 거론할 수 있다. 낙산거사는 영화에서 나레이터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 낙산거사의 나레이터의 역할로 인해 우리가 평소 느끼는 삶에 대 한 느낌이 살아난다. 즉, 사람의 삶은 단순히 개인의 또는 그 삶의 경험과 연관된 사람 들만의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도 보여지고 느껴질 수 있는 구체적이라는 것이라는 것을 느끼게 해준다. 이러한 요소가 영화 서편제가 관객들에게 현실감을 느낄 수 있게 해준다.
(3) 희망의 여지
- '소설 서편제'에서는 송화가 아비가 죽은 뒤 처녀인 채로 홀로 살아가는 것으로 표현되 어있다. 물론 소설의 마지막에서 이러한 송화의 처지를 통해 소리의 맥이 끊어진다거나 소멸시키지는 않았다. 그러나 '영화 서편제'에서는 송화에게 딸아이를 두게 함으로써 소 리가 전승될 여지와 딸아이를 통한 한의 승화에 더욱 희망을 부여하고 있다. 즉, 소설에 서보다 더욱 송화의 처지를 희망적으로 마무리함으로써 관객들로 하여금 낙관적인 미래 를 추측할 수 있게 하였다.
(4) 판소리 중심
- 소설 서편제'보다 '영화 서편'제'가 가장 뛰어난 점은 아마도 영화 내내 울려 퍼지는 구슬픈 판소리 가락이 아닐까 싶다. 물론 독자들이 책을 통해 상상할 수 있는 소리의 깊이와 크기를 영화가 제한하는 것일 수도 있다. 그러나 현대 일반인들로서는 제대로 된 소 리라는 것을 실제로 들어보기가 쉽지 않다. 소설에서 등장하는 판소리는 독자들이 상상 해야 한다. 또, 그 판소리 원래의 느낌으로 글을 읽어나가는 것이 아니라 작가가 만들어 놓은 배경과 느낌에 따라 판소리의 느낌을 추측하게 된다. 이는 작품을 읽어나가면서 독 자들이 얻는 감동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하지만 독자들이 판소리 자체에 관심을 갖기는 어렵다. 반면 '영화 서편제'는 영화 전반에 소리를 심어놓고, 또한 한이 쌓여가는 과정과 소리가 성숙해가는 것을 '오정혜' 라는 걸출한 인물을 통해서 매우 효과적으로 표현해내고 있다. 따라서 관객들은 영화 내용에서 오는 판소리와 관계된 느낌을 무시할 수는 없지만 소설에 비해 판소리 자체를 느낄 수 있게 된다. 이는 한과 소리의 성숙이라는 추상적인 부분을 여 주인공의 연기를 통해 직접 귀로 듣고 함께 느낄 수 있으며 판소리 자체에도 관심을 갖게 한다.
※ 서편제 영화화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
- 긍정적 효과
" 우리 판소리가 참으로 훌륭한 예술임을 깨달았다" -관람평 → 우리가 외면하고 천대했던 우리의 것(판소리의 미학,한의 미학)도 얼마든지 대중 문화의 한 소재 가 될 수 있고 그것 자체가 이미 뛰어난 예술임을 영화 '서편제'를 통해 사람들에게 재인식 시켜줌, 국악인들에게 판소리의 현대적 변용과 그러기 위한 신국악학 운동의 새 기틀이 될 수 있는 계기 제공
" 우리 나라의 산천이 그렇게 아름다울 줄은 미처 몰랐다" -관람평 → 영화의 아름다운 자연은 언제나 우리 곁에 있는 것이지만 문제는 우리들의 자연에 대한 관심의 부재를 인식시켜줌 ( 그 곳이 바로 우리가 살고 있는 땅이다 - 임권택 ) 영화 소재의 다양성에 기여 → 감각적인 영화가 판을 치는 시점에 내용과 형식이 모두 충실한 영화로(특히 우리의 전통문화를 소재로) 성공한 전례를 남긴다는 점에서 한국 영화계의 소중한 성과 - 부정적 효과
국제적 보편성을 결(결)하고 있고 지나치게 과거지향적이다 - 마광수 → 자칫 잘못하면 국수주의적 세계관에 바탕한 문화적 쇄국주의로 흐를 수 있다.
Ⅵ. 결론
소설 <서편제> 와 영화 <서편제> 는 가장 큰 차이점이 한의 승화의 정도차이라고 생각한다. 소설에서는 한이 완전하게 승화되지 않고 송화가 다시 떠나는 모습으로 그 떠남에서 한의 연속과 그 한을 점차 삭혀가는 모습이 그려진다. 하지만 영화에서는 송화의 한이 거의 완전한 상태로 승화되는 것을 느끼게 된다. 소설과 영화 <서편제> 의 여러 가지 차이점들은 궁극적으로 이 '한의 승화' 의 정도차이가 아닐까 싶다.
< 서편제>를 통해 살펴 보았듯이 문학작품이 영화화가 될 때에는 여러 가지 차이가 발생하고, 그러한 차이는 영화 제작자들이 작품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았는지, 어떤 방식으로 해석을 했는지에 기인한다. 이는 하나의 문학 작품이 영화화 되었을 때, 혹평의 원인이 될 수도 있고, 호평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문학 작품을 영화로 옮기는 것에는 여러 가지 제약도 따르고, 소설과의 관점차이도 생길 뿐더러 표현하고자 하는 모든 것이 표현 될 수도 없다. 또한, 소설의 의도가 왜곡되거나 생략 될 수도 있는 반면, 영화 제작자의 참신한 의도가 첨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모든 과정들이 영화 제작 시 제작자들 사이에 잘 타협이 되고,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문학 작품이 참신한 관점으로 해석된다면 문학 작품은 좋은 영화로 재탄생 할 수 있다. 그렇게 된다면 그것은 단순히 문학 작품이 대중화된다는 의미를 넘어서 대중의 관심을 또 하나의 좋은 예술 작품으로 불러 모을 수 있는 진정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목 차
Ⅰ.도입
Ⅱ.소설 「서편제」&「소리의 빛」
1. 작가소개: 이청준
2. 이청준과 恨
3. 남도사람
(1)「서편제」
(2)「소리의 빛」
(3) 소설을 살펴 본 후에…. : 끝없는 방랑
Ⅲ. 영화 <서편제>
1. 영화 '서편제'에 대해
2. 영화 <서편제>의 핵심적인 내용과 등장인물 소개
3. 영화 시놉시스
4. 영화 '서편제'의 줄거리
5. 영화 '서편제'에서의 길의 의미
6. 영화 '서편제'에서 판소리가 차지하는 비중
7. 원작자 이청준이 본 서편제
8. 정리
Ⅳ '서편제' - 소설과 영화의 차이점
Ⅴ.서편제 - 영화화의 의의
1. 문학 작품과 영화의 차이
2. 영화 서편제의 한계 (소설 서편제와 비교하여) - 추상성의 상실
3. 영화 서편제의 의의
※ 서편제 영화화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
Ⅵ.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