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 그 자리에서 미들브룩을 체포한다. 어리둥절해 하는 재판장에게, 검사는 미들브룩이 동료 웨슬리를 죽인 새로운 사건 때문에 그를 체포한다고 설명한다. 호레이쇼는 항의하는 미들브룩에게, 그의 옷에 고속으로 튄 웨슬리의 혈흔을 증거로 보여주며 총을 쏘느라 정신없을 때 웨슬리도 맞은 거라고 말한다. 할 말을 잃은 미들브룩은 재판장에게 보석을 신청하지만, 재판장은 이것이 새로운 사건이라 자신의 관할이 아니라며 그의 보석신청을 각하하고, 곧 미들브룩은 연행된다.
호레이쇼를 본 스티비는 범인을 잡았다는 것을 들었다고, 하지만 계속 엄마의 목소리가 기억이 안난다고 말한다. 호레이쇼는 아이를 위로하면서 제니퍼의 목걸이를 스티비에게 건네주면서 드라마는 막을 내린다.
이 사건을 보면서 문득 의문점이 든 것은 미들브룩이 살인을 했는데 재판을 받은 후 보석으로 모든 죄가 없어지는 것처럼 비춰졌다는 것이다.
보석은 법률 용어로 일정한 보증금을 납부하고, 도망하거나 기타 일정한 사유가 있는 때에는 이것을 몰수하는 제재조건으로 법원이 구속된 피고인을 석방시키는 제도이다. 이런걸 보면 '유전무죄, 무전유죄'라는 말이 괜히 나온 말이 아닌 듯 싶기도 하고 사람 목숨을 돈으로 살 수 있다는 느낌에 놀랬던 순간이였다. 현재 현대 정몽구회장도 보석신청 하려 한다던데 돈 놀음과 살인은 엄연히 차이가 나지 않는가. 살인에 대해서는 좀더 엄격해야하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이 사건의 수사과정에서 문제점을 뽑자면 데니스가 이 사건의 증인임에도 사건이 모두 해결되지도 않았는데, 증인 보호에 안일하게 대처했다는 점과 스티비가 범인을 직접 목격했는데도 불구하고 범인이 몰랐을거라는 점과 증인 보고서에 스티비 이름을 쓰지 않았다는 이유로 위험에 노출되게 놔둔 점이다. 결국 호레이쇼 반장은 증거를 찾아 범인을 찾기 위해 노력했지만 사건을 해결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증인 보호에 대해 간과했다는 점에서 약간의 실망감을 안겨주었다.
요즘은 마니아가 생겨날 정도로 범죄수사물의 인기가 많다. 이런 살인이나 폭행 등의 잔혹한 장면들이 많은 범죄수사물이 인기를 끄는 이유는 무엇일까? 개인적으로는 수사대원들이 긴장감이 감도는 가운데 결국 사건을 해결하여 간접적으로나마 본인이 사건을 해결한 것과 같은 쾌감을 느끼게 해주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된다. 하지만 그렇다 하여 이런 TV속과 현실을 구별하지 못하여 범인을 모방하는 등의 범죄가 일어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호레이쇼를 본 스티비는 범인을 잡았다는 것을 들었다고, 하지만 계속 엄마의 목소리가 기억이 안난다고 말한다. 호레이쇼는 아이를 위로하면서 제니퍼의 목걸이를 스티비에게 건네주면서 드라마는 막을 내린다.
이 사건을 보면서 문득 의문점이 든 것은 미들브룩이 살인을 했는데 재판을 받은 후 보석으로 모든 죄가 없어지는 것처럼 비춰졌다는 것이다.
보석은 법률 용어로 일정한 보증금을 납부하고, 도망하거나 기타 일정한 사유가 있는 때에는 이것을 몰수하는 제재조건으로 법원이 구속된 피고인을 석방시키는 제도이다. 이런걸 보면 '유전무죄, 무전유죄'라는 말이 괜히 나온 말이 아닌 듯 싶기도 하고 사람 목숨을 돈으로 살 수 있다는 느낌에 놀랬던 순간이였다. 현재 현대 정몽구회장도 보석신청 하려 한다던데 돈 놀음과 살인은 엄연히 차이가 나지 않는가. 살인에 대해서는 좀더 엄격해야하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이 사건의 수사과정에서 문제점을 뽑자면 데니스가 이 사건의 증인임에도 사건이 모두 해결되지도 않았는데, 증인 보호에 안일하게 대처했다는 점과 스티비가 범인을 직접 목격했는데도 불구하고 범인이 몰랐을거라는 점과 증인 보고서에 스티비 이름을 쓰지 않았다는 이유로 위험에 노출되게 놔둔 점이다. 결국 호레이쇼 반장은 증거를 찾아 범인을 찾기 위해 노력했지만 사건을 해결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증인 보호에 대해 간과했다는 점에서 약간의 실망감을 안겨주었다.
요즘은 마니아가 생겨날 정도로 범죄수사물의 인기가 많다. 이런 살인이나 폭행 등의 잔혹한 장면들이 많은 범죄수사물이 인기를 끄는 이유는 무엇일까? 개인적으로는 수사대원들이 긴장감이 감도는 가운데 결국 사건을 해결하여 간접적으로나마 본인이 사건을 해결한 것과 같은 쾌감을 느끼게 해주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된다. 하지만 그렇다 하여 이런 TV속과 현실을 구별하지 못하여 범인을 모방하는 등의 범죄가 일어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컴퓨터 범죄
황순원 소설〈소나기〉의 구조주의 비평적 접근
탈구조주의
강의법 이론과 실제
연쇄살인(무동기 살해)과 범죄 프로파일링
고대 그리스 교육사상가 이소크라테스
고대그리스의 교육사상가
고대로마의 교육사상가(키케로,퀸틸리아누스)
[수학적 의사소통]수학적 의사소통의 정의, 수학적 의사소통의 형태, 수학적 의사소통의 중요...
유아교과교육의 역사) 서양의 교과교육과 교수법과 동양의 교수학습
[내면][내면의식][내면적 상관성][내면성][박목월][계몽][내면세계][내면기행][내면작업][내...
대중문화 속에 담긴 시(詩) -시(詩), 광고와 만나다.
★ 커뮤니케이션 이론 - 두 개의 이론을 대표하는 각 각 하나씩을 선택하고 본인이 관심있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