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의 성숙한 성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동양의 성숙한 성격
1)유학의 인격론
2)동서양의 사고 차이

2.서양의 성숙한 성격 - 학파별 접근
2.1심리 역동적 접근
2.2특성 이론적 접근
2.3행동-인지적 접근
2.4인본주의적 접근

3.결론
1)성숙한 성격에 대한 개념은 보편적이다.
2)누구도 완전하게 성숙한 성격의 소유자는 아니다.

※추가 사례- 테레사 수녀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하지만, 성숙한 성격이 되려고 해도 그 방법을 모르는 것과는 다른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
※ 추가 사례- 테레사 수녀
1) 테레사 수녀에 대한 소개
1910년 유고슬라비아의 한 농가에서 태어난 테레사 수녀는 열성적인 카톨릭 신자였던 부모님의 영향으로 어렸을 때부터 선교활동에 관심을 갖고 1928년 로레토 성모 수녀회에 들어갔다. 수녀회에서 학생을 가르치다가 인도의 캘커타 빈민가에서 가난한 사람 중에서도 가장 가난한 사람들에게 자신을 헌신하는 열망으로 '사랑의 선교회'을 열고 집을 마련했다. 나환자들이 자립해서 살 수 있게 도와주는 재활 센터를 마련하기도 하고, 빈민굴에서 부모를 잃고 고생하고 있는 고아들을 데려다가 돌보기도 했다. 세계 곳곳에 분원을 설치하여 가난으로 고생하는 사람을 돌보는가 하면, 걸프 전쟁이 일어났을 때는 조지 대통령과 후세인 대통령을 찾아가 전쟁을 중지시키도록 호소하기도 했다. 테레사 수녀는 1949년 받은 노벨 평화상 외에도 수많은 상을 받았지만 그녀의 정신과 활동은 이 세상에 있는 그 어떤 상으로도 평가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1997년 죽기 전까지 심장병과 말라리아에 걸려 고생하면서도 자선 활동을 멈추지 않았다.
2) 테레사 수녀에게서 발견 할 수 있는 성숙한 성격의 특성
① 사명의식과 헌신 - 부르심 속의 부르심
테레사 수녀는 캘커타의 빈민촌을 돌아보면서 그곳의 아이들과 노인들을 위해 봉사할 것을 다짐했다. 1946년 9월, 기차를 타고 다질링으로 가던 테레사 수녀는 수녀원을 떠나 가난한 사람들과 함께 살고 그들에게 봉사하면서 평생을 바치라는 메시지를 듣는다. 그녀는 이것을 하느님의 부르심이라는 것을 깨달았고 이것을 부르심 속의 부르심이라 일컬었다. 그녀는 자신의 선택을 하느님의 선택으로 믿었으며 그것은 '누구도 빼앗을 수 없는 기쁨'이었다.
② 원만한 대인 관계>
테레사 수녀는 다른 사람들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성숙한 성격의 소유자의 면을 보여준다. 세계 여러 사람들과의 친분은 그녀의 봉사활동에 많은 힘을 보태주었다. 앤 블라이키 여사와의 만남을 통해 '마더 테레사 위원회'가 만들어졌고 이 모임은 국제적인 '마더 테레사 협력자회'로 조직화 되어져 나갔다. 자클린느 드 데커와의 만남을 통해서 '병자와 고통당하는 사람들의 협력자회'가 만들어졌고 프랑스의 조르쥬 고레 신부의 교류는 사랑의 선교회에 속한 수도원과 세계 여러 곳의 다른 관상수도회 수도원과 영적인 결연을 맺게 하였다. 단순히 협력자나 후원자의 관계가 아니라 서신을 주고 받는 등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그녀의 정신이 전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게 하였다. 또 세계 여러 지도자들과 인연을 맺음으로서 국제적인 분쟁이나 재해가 있을 때 도움을 주기도 했다.
③ 절정경험
테레사 수녀는 하느님과의 기도를 통해 절정경험을 받곤 했다. 캘커타에서 구호활동에 헌신하게 된 것 역시 그녀를 부르는 하느님의 음성을 들었던 사건에서부터 시작하며, 그것은 누구도 빼앗을 수 없는 기쁨이 되었다.
그녀는 매일 아침 6시에 미사를 드림으로써 하루를 시작하였다. 테레사 수녀는 “미사 없이는 1시간도 1분도 견딜 수 없다”라고 말하며 자신의 삶을 유지하는 에너지의 원천이 미사에 있음을 고백하였다. 이렇듯 테레사 수녀에게서 종교적인 체험은 그녀의 삶을 지탱해주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
<참고문헌>
인간의 성격(2003), 정원식, 교육과학사
소박한 기적(2005),T.T문다켈,황애경 역, 위즈덤 하우스
마더 데레사(2005), 나빈 치올라, 이순영 역, 생각의 나무
마더 데레사 자서전(2005), 호세 루이스 곤살레스 발라도, 송병선 역, 황금가지
마더 테레사(1997), 신홍범, 두레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1997), 권선만, 학지사
생각의 지도(2004), 리처드 니스벳, 최인철 역, 김영사
*목 차
1.동양의 성숙한 성격
1)유학의 인격론
2)동서양의 사고 차이
2.서양의 성숙한 성격 - 학파별 접근
2.1심리 역동적 접근
2.2특성 이론적 접근
2.3행동-인지적 접근
2.4인본주의적 접근
3.결론
1)성숙한 성격에 대한 개념은 보편적이다.
2)누구도 완전하게 성숙한 성격의 소유자는 아니다.
※추가 사례- 테레사 수녀
<참고문헌>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5.26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14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