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 민족의 이해(태국 리수족, 중국 리수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수 민족의 이해(태국 리수족, 중국 리수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태국 리수족
이동경로
언어
촌락 및 가옥
경제와 풍습
고산족의 재래식 농업 달력
태국의 소수부족들
그들의 생활 방식
태국의 소수부족선교
리수족과 선교
맺는 말
리수(Lisu)족의 언어
중국티베트어족(Sino-Tibetan)
중국티베트어족 개관
중국티베트어족의 분류
중국티베트어족의 친연관계
중국티베트어족의 특징
티베트버마제어(Tibeto-Burman languages)
버마어(Burmese language)
롤로어(Lolo languages)
리수어계열

본문내용

타드어)중앙친어계(루샤이어)남방친어계(키안어)메이테이어계(메이테이어)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밖에 먀오어(Mi怖o:苗語)와 야오어(Yao:瑤語)의 그룹을 먀오야오어파라 하여 이에 덧붙이는 학자도 있다. 특히 중국의 학자는 이 어족을 캄타이(愼芝)티베트버마(藏緬)먀오야오의 세 어파로 나누고 있다
중국티베트어족의 친연관계
같은 어계에 속하는 말 사이에서는 성조(聲調)의 대응관계까지도 매우 규칙성을 가지고 있고, 그 친연관계(親緣關係)는 충분히 증명할 수 있다. 그리고 같은 어군에 속하는 어계 사이에서도 친연관계의 증명은 상당한 신뢰성을 나타내지만, 어군간의 비교연구에 있어서는 대응례(對應例)가 적고, 증명력이 약해져, 이 어족의 성립을 언어학적으로 명확히 증명할 수 없게 된다.
중국티베트어족의 특징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말에는 다음과 같은 공통된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⑴ 다음절어, 특히 2음절로 된 단어가 많으며, 기본적인 의미단위(意味單位)는 자음모음자음의 연속으로 이루어지는 단음절어이다. 그리고 하나의 음절은 반드시 하나의 성조로써 발음된다. 히말라야 지역의 티베트어에는 성조가 없으나, 그 밖의 말에서는 2종 및 8종까지 있다. 성조의 수는 대체로 티베트버마제어보다 중국타이어파가 훨씬 많다.
⑵ 중국타이어파에서는 단어가 주어―술어―목적어의 순으로 나열되는데 예를 들면 \'나는 그를 때린다\'는 \'나는 때린다 그를\', 티베트버마어파에서는 주어―목적어―술어 \'나는 그를 때린다\'의 어순이다. 후자는 또한 주격(主格)속격(屬格)대격(對格)어격(於格) 등을 나타내는 특정의 조사를 단어의 뒤에 붙인다.
⑶ 캄타이어군에서는 한정하는 명사대명사가 한정되는 명사대명사의 뒤에 놓인다. 예를 들면 \'나의 말\'은 \'말 나의\'로 되지만, 티베트버마어에서는 \'나의 말\'로 된다.
⑷ 티베트어카친어를 제외하고는 한국어의 \'한 자루의 연필\' \'한 장의 종이\'의 \'자루\' \'장\'에 해당하는 유별사(類別詞)가 많이 쓰인다. 중국어에서는 \'這張紙(이 종이)\' \'一張紙(한 장의 종이)\'와 같이 지시어수사와 명사 사이에 이 유별사가 놓이는데, 캄타이어군에서는 \'종이장이\' 또는 \'장종이이\'가 되고, 티베트버마어파에서는 대체로 \'종이이장\' \'종이한장\'의 순으로 된다.
⑸ 중국타이어파에서는 동사가 특히 접미사를 따르지 않지만, 티베트버마제어에서는 접미사가 따르는 것이 보통이다. 예를 들면 \'온다\'는 yong-wa(티베트어), la-de(버마어), W型a-\'ay(카친어), lo-wa(말어), l怖-nge(비스어), l怖-hw(아카어), la-vei(라프어), l怖h-\'ah(리스어) 등으로 표현된다.
또 이 어족에 버마타이에 분포하는 카렌(Karen)어군이나 북방시베리아의 예니세이오스탸크(Yenisei-Ostyak)어군을 넣거나, 아메리카인디언의 말과 친연관계가 있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또 캄타이어군을 이 어족에서 제외하여 인도네시아어군과 결부시키려는 시도도 있다.
티베트버마제어(Tibeto-Burman languages)
:인도의 카슈미르 지방으로부터 중국의 시짱[西藏] 칭하이[靑海] 간쑤[甘肅] 쓰촨[西川] 윈난[雲南]의 각 성(省) 및 히말라야지방으로부터 타이 미얀마 북부에 걸쳐 분포하는 제언어(諸言語).
이에 포함되는 제언어의 비교연구는 아직 충분히 되어 있지 않고, 그 분류에 있어서도 정설(定說)은 없으나, 편의상 티베트어 히말라야어 등을 포함하는 티베트어군(語群), 버마어 아카어 롤로어 등을 포함하는 버마롤로어군 외에 보도나가어군, 친어군 등 4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기본적인 의미 단위로서는 모음과 자음이 연속하는 단음절(單音節)이며, 일반적인 어순으로서 주어-목적어-술어의 형식을 취한다.
버마어(Burmese language)
:미얀마의 국어.
좁게는 이라와디강(江) 유역의 평야에 사는 미얀마인의 언어로서 미얀마 연방의 공용어이다. 연방 내 여러 민족이 사용한다. 방언의 차는 많지 않으나 수도 양곤의 지식계급의 방언이 표준으로 되어 있다. 넓게는 아라칸 해안지방의 아라칸 방언, 테나세림 지방의 타보이 멜귀 방언, 샨주(州) 남서부의 타운요 인다 다누 방언, 북부 미얀마의 요 방언을 포함한다.
계통적으로는 미얀마 북부로부터 중국에 걸쳐서 분포하는 말 라시 아치 폰 아찬 제어(諸語)와 J군(群)을 이루고 미얀마 인도 국경지방의 나가 친 제어, 카친주의 카친어, 중국의 윈난성(雲南省)과 그 주변에 분포하는 롤로어 티베트어 등과 티베트버마어족을 형성하고, 다시 카렌주의 카렌어 중국어 타이 제어와 중국티베트어족을 형성한다고 하지만, 그들 여러 언어의 친족관계는 충분히 증명되어 있지 않다.
버마어는 성조(聲調)가 있고 자음 중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에 무성무기음(無聲無氣音) 무성대기음(無聲帶氣音) 유성음의 구별이 있으며 비음(鼻音) 촉음(促音)에 무성음 유성음의 구별이 있다. 문법적 기능은 주로 조사 조동사 접사를 첨가함으로써 다할 수 있으며[예:can袍-d曦u z泂i-hm怖 l袍unj砲-n憙 泂inz砲-g袍u w暴-j砲n-b怖-d暴:우리들은 시장 에서 론지(남녀가 모두 사용하는 허리에 두르는 천) 와 상의 를 사고 싶습 니다], 유별사(類別詞)가 발달해 있다(l幅 ta-yau:사람 한 사람, myau hna-k怖un:원숭이 두 마리, phay怖 kh幅nna-sh幅:파고다 7 基).
또한 팔리어와 영어로부터의 차용어가 많고, 남인도계 파라와문자 계통의 몬문자를 이어받은 버마문자(팔리 글자)로써 필사(筆寫)되며 가장 오랜 문헌은 11세기의 비문이다.
롤로어(Lolo languages)
:티베트버마제어 중 버마롤로어군에 속하는 언어.
미얀마 북부와 타이, 라오스, 중국의 윈난성[雲南省], 베트남의 고산지방 종족들이 사용한다. 롤로어군에 속하는 주요 언어는 이(Yi)어, 라후(Lahu)어, 리수(Lisu)어, 하니(Hani:Akha)어이다. 롤로어군은 모든 버마어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자음군을 잃어버렸고 어말 자음도 급격히 소실되었다. 하나의 단일어로서 롤로어라고 할 때에는 이(Yi)어를 말한다.
리수어계열
중국티베트어족-티베트버마제어- 버마롤러어군- 롤러어- 리수어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5.28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17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