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절. 재정 목표와 총수요의 역할
1. 재정 목표
2. 총수요와 산출량 및 물가
2절. 케인지안 거시재정이온(1)
1. 단순국민소득결정모형
2. 정부지출이 포함된 국민소득결정
3. 조세수입이 고려된 국민소득 결정
4. 균형예산하의 국민소득 결정
3절. 케인지안거시재덩이론(2)
1.유동성선호이론
2일반균형
4절. 재정이론의 동태적 분석
1.승수효과
2.가속도
1. 재정 목표
2. 총수요와 산출량 및 물가
2절. 케인지안 거시재정이온(1)
1. 단순국민소득결정모형
2. 정부지출이 포함된 국민소득결정
3. 조세수입이 고려된 국민소득 결정
4. 균형예산하의 국민소득 결정
3절. 케인지안거시재덩이론(2)
1.유동성선호이론
2일반균형
4절. 재정이론의 동태적 분석
1.승수효과
2.가속도
본문내용
다. IS선은 바로 실뭉부분의
I = S를 만족시켜 주는 Y와 i의 결합의 궤적이다.
i가 감소하면 Yrk 증가 한다. IS곡선은 부의 기울기를 가지고 있다.
② LM곡선 : 화폐부분에서의 균형조건은 화폐수요 L = M이다. LM곡선은 바로 화 폐부분의 L = M을 만족 시켜주는 Y와 i간의 정의관계이다. Y가 증가하면i도 증가한다. LM곡선의 기울기는 정의기울기를 가지고 있다.
⇒ IS곡선과 LM곡선이 서로 교차하는 Z점에서 한가지의 소득솨 이자율의 결합 을얻을수 있다. 그것이 바로 Y₁과 i₁인 것이다.
⇒ 정부투자지출의 증가 (G) : IS 곡선을 우상방으로 이동시킨다. E라서 일반균형 점이 형성되어 소득이 증가되고 이자율이 상승되는 결과로 나타난다.
⇒ 통화량의 증가 (M) : LM곡선을 우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일반규형점은 소 득 이되고 이자율이 하락디는 결과로 나타나게 된다.
3 . 재정승수와 화폐승수
⇒ e = 0이면 투자의 한계효울곡선이 수직으로 되며, h = ∞ 이면 이자율에 대한 화폐수요곡선이 수평으로 되는 극단적인 경우인 것이다.
⇒ ( a ) : LM곡선이 수직으로 나타나 있을 때이다. 재정지출의 증가로 IS곡선의 우상방으로 이동하여도 소득은 변화가 없으면 오로지 통화량의 증가로 LM선을 이동시켜야만 된다. 그래야지 소득의 효력이 발생한다.
( b ) : IS곡선의 이동은 화폐부분의 반작용 없이 승수효과를 충분히 발휘하면 서 국민소득을 증가시킨다. LM곡선이 수평으로 나타나 있을 때이다.
∴ 이자율이 낮을때에는 재정정책이 더 유효하고 , 완전고용에에 가까운 상황에서 반대로 금융정책이 더 유효 할수도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제 4 절. 재정이론의 동태적 분석
1. 승수효과의 시간 분석
① 최초의 정부증가분이 국민소득에 미치는 여향
- 제 1기 : 소득을 재소비할 시간적 여유가 없으므로 정부지출증분 그 자체가 소 득증분임 이 된다. ( ΔY = ΔG )
- 제 2기 : 재소비가 일어나므로 소득증분은 최초의 증분에 cΔG를 추가하게 됨.
- 제 3기 : 제 2기때 추가적 소득증분에 대해 재소비를 하게 되므로
ccΔG = c²ΔG가 새롭게 추가된다.
∴ 이처럼 추가적인 소비증분은 게속 증가하지만 크기는 감소되어 최종단계 는 추가적 소득증분이 0에 접근하게 됨으로써 전과정의 승수효과는 끝나게 된다.
2. 가속도원리
현실적인 실증을 통해서 투자는 도한 과거 소득변화의 함수 임을
I = S를 만족시켜 주는 Y와 i의 결합의 궤적이다.
i가 감소하면 Yrk 증가 한다. IS곡선은 부의 기울기를 가지고 있다.
② LM곡선 : 화폐부분에서의 균형조건은 화폐수요 L = M이다. LM곡선은 바로 화 폐부분의 L = M을 만족 시켜주는 Y와 i간의 정의관계이다. Y가 증가하면i도 증가한다. LM곡선의 기울기는 정의기울기를 가지고 있다.
⇒ IS곡선과 LM곡선이 서로 교차하는 Z점에서 한가지의 소득솨 이자율의 결합 을얻을수 있다. 그것이 바로 Y₁과 i₁인 것이다.
⇒ 정부투자지출의 증가 (G) : IS 곡선을 우상방으로 이동시킨다. E라서 일반균형 점이 형성되어 소득이 증가되고 이자율이 상승되는 결과로 나타난다.
⇒ 통화량의 증가 (M) : LM곡선을 우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일반규형점은 소 득 이되고 이자율이 하락디는 결과로 나타나게 된다.
3 . 재정승수와 화폐승수
⇒ e = 0이면 투자의 한계효울곡선이 수직으로 되며, h = ∞ 이면 이자율에 대한 화폐수요곡선이 수평으로 되는 극단적인 경우인 것이다.
⇒ ( a ) : LM곡선이 수직으로 나타나 있을 때이다. 재정지출의 증가로 IS곡선의 우상방으로 이동하여도 소득은 변화가 없으면 오로지 통화량의 증가로 LM선을 이동시켜야만 된다. 그래야지 소득의 효력이 발생한다.
( b ) : IS곡선의 이동은 화폐부분의 반작용 없이 승수효과를 충분히 발휘하면 서 국민소득을 증가시킨다. LM곡선이 수평으로 나타나 있을 때이다.
∴ 이자율이 낮을때에는 재정정책이 더 유효하고 , 완전고용에에 가까운 상황에서 반대로 금융정책이 더 유효 할수도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제 4 절. 재정이론의 동태적 분석
1. 승수효과의 시간 분석
① 최초의 정부증가분이 국민소득에 미치는 여향
- 제 1기 : 소득을 재소비할 시간적 여유가 없으므로 정부지출증분 그 자체가 소 득증분임 이 된다. ( ΔY = ΔG )
- 제 2기 : 재소비가 일어나므로 소득증분은 최초의 증분에 cΔG를 추가하게 됨.
- 제 3기 : 제 2기때 추가적 소득증분에 대해 재소비를 하게 되므로
ccΔG = c²ΔG가 새롭게 추가된다.
∴ 이처럼 추가적인 소비증분은 게속 증가하지만 크기는 감소되어 최종단계 는 추가적 소득증분이 0에 접근하게 됨으로써 전과정의 승수효과는 끝나게 된다.
2. 가속도원리
현실적인 실증을 통해서 투자는 도한 과거 소득변화의 함수 임을
추천자료
경영수익사업을 통한 지방재정확충방안
의약분업의 쟁점과 추가재정부담
지방자치 단체의 재정에 대해
한국 지방자치와 지방재정연구
도시정부의 지출압박을 증가시켜 도시재정 상태를 악화시키는 요인
EU 경제공동체 연구 - 재정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의 조세․재정정책 평가 모형 동태적 계량경제 일반균형분석
금융 위기에 대응한 한미 재정정책과 전망- 불황에 대응한 고용 관리 정책을 중심으로
[사회복지] 복지정책과 재정건전성 문제.PPT자료
2012년도 보건복지분야 재정 운영 및 복지분야 개선방향
[사회복지 재정] 사회복지 재원조달(공공재원조달, 민간재원조달)
[사회복지정책 재정] 사회복지 재원의 유형별 특성(조세 사회보험료 민간재원조달방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