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로티시즘 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에로티시즘 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머 리 말 >

< 본 문 >
1. 에로티시즘과 에로티시즘의 문학적 의미
2.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에로티시즘의 세 가지 양상
3. 작품분석

< 맺 음 말 >

본문내용

몸을 자기 욕망의 통로로 삼게 된다. 따라서 성적 욕망은 금기에 대한 반항으로서 에고이즘을 가장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기제가 된다.
2.2. 위반의 기호로서의 몸과 제의의 기제
이러한 유형에서의 몸은 위반과 제의의 장소가 된다. 죽음의 현실과 반대 극점에 있는 에로스의 세계를 추구하는 태도가 반항이라면, 위반은 죽음을 극복하기 위하여 도리어 죽음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생명을 획득하는 제의의 양식을 취하게 된다. 제의적 기제를 통해 죽음과 에로스는 단선적이기보다 복합적인 관계망을 형성하게 된다. 한계선이라는 형상을 지닌 죽음을 염두에 두는 데서 형성되는 에로티시즘은 주로 죽음을 의식하는 것을 피하려 하고, 우리가 당장 죽지 않는다는 것을 가정하려고 한다. 이러한 죽음에 대한 반응에서 제의가 형성되는 것이다. 제의는 죽음을 초월적 사건으로 제시하고, 죽음을 생명의 원리로 수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죽음을 저지르는 최고의 위반은 생명을 구가하는 역설적 행위가 되는 것이다. 제의와 만나는 죽음은 선/악, 혼돈/무질서, 도덕/비도덕의 가치 개념을 동반하게 된다. 이러한 가치 개념들은 삶과 죽음을 해석하는 인간의 근원적 의식을 함축하는 것이다.
2.3. 연속의 기호로서의 몸과 우주와의 합일
몸은 연속성과 우주(질서)의 장소가 된다. 이러한 시 들은 에로티시즘의 궁극적 세계라고도 할 수 있는 우주와 합일을 실현하게 된다. 여기서 우주란 조화와 질서를 지니고 있는 원초적 세계이다. 원초적, 연속적 세계는 죽음과 생명이 더 이상 경계를 지니지 않는 곳으로서 고향과 어머니, 그리고 우주가 바로 그 원초적 세계의 상징이다. 몸의 결핍을 인식하면서 출발한 에로티시즘의 시적 정신이 최종적으로 귀결되는 곳이 고향이며, 그 고향은 최초의 원초적인 몸의 원형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모체의 상징적 공간이다. 이 고향의 회귀를 통하여 상실된 자아와 육체, 그리고 생명을 완전히 회복하게 된다. 이것은 세계와 분열되었던 자아가 세계와 조화로운 관계로 돌아섰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3. 작품분석
3.1. <욕망의 기호로서의 몸과 규범에서의 반항> 유형의 시
애비는 종이었다. 밤이기퍼도 오지않었다.
파뿌리같이 늙은할머니와 대추꽃이 한주 서 있을뿐이었다.
어매는 달을두고 풋살구가 꼭하나만 먹고 싶다하였으나…흙으로 바람벽한 호롱불밑에
손톱이 깜한 에미의 아들.
갑오년이라든가 바다에 나가서는 도라오지 않는다하는 외할아버지의 숯많은 머리털과
그 크다란눈이 나는 닮었다한다.
스믈세햇동안 나를 키운건 팔할이 바람이다.
세상은 가도가도 부끄럽기만 하드라
어떤이는 내눈에서 죄인을 읽고가고
- 서정주, 자화상 중에서
자화상은 자신이 누구인가를 탐색하기 위해 몸을 해석학적 장소로 원용하고 있다. 자기 몸에 대한 정밀한 탐색을 통하여 자기 정체성을 확립하고 있는 것이다
‘종’은 구속, 속박, 억압, 징역 등을 상징한다. ‘종’이라는 정보에 초점을 두어 아버지를 이해하는 시적 자아의 시점에서 우리는 시적 자아가 자기 정체성을 종의 혈통 속에 두고 있음을 확인할 수가 있다.
‘외할아버지의 숯많은 머리털과/그 크다란눈이 나는 닮었다한다’를 통하여 시적 자아가 가계의 혈통에서 자유롭지 못함을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노예 의식은 ‘어떤이는 내눈에서 죄인을 읽고가고’를 통해 죄의식으로 심화되고 있다.
손톱, 머리털 눈, 입 등은 시적 자아가 처한 종의 현실을 인식하게 하는 몸의 지체들로 제시되고 있다.
서정주의 시에서 에로스의 발상법은 원죄의식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원죄로 인해 인간이 삶의 기반을 상실했다면, 에로스는 그 삶에 대한 끈질긴 욕망이라 할 수 있다.
찰란히 티워오는 어느아침에도
이마우에 언친 시의 이슬에는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6.05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31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