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언어정책과 문체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의 언어정책과 문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북한의 언어정책
1. 언어정책의 변천 과정
2. 언어의 정책 특성분석
3. 민족어 발전의 언어정책

Ⅲ. 북한의 언어 정책 추진 기관
1. 언어 연구 및 정책 기관
2. 교육기관
3. 문화어 학습

Ⅳ. 북한의 문체
1. 북한 문화어 문체의 개념과 분류
2. 문화어 문체의 구성요소
3. 문체의 특징
4. 어휘 문체론적 수법과 문장 문체론적 수법

Ⅴ.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법 통일안」을 만들 때 상해에 망명해 있었기 때문에 『맞춤법 통일안』제정에 참여하지 못하였던 김두봉은 「한글맞춤법통일안」에 자신의 견해를 넣어서 「조선어 신철자법」과 「조선어 철자법」을 제정하였던 것이다.「조선어 신 철자법」과 「조선어 철자법」을 주도하였고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 이사장을 지낸 김두봉이 1958년 3월 이른바 ‘8월종파사건’으로 숙청되자 『말과 글』및 『조선어문』지는 일제히 문자개혁안에 대해 비판하고 나섰고, 1964년에는 ‘조선언어학회’를 결성하였다. (조오현, 27)
1966년~1988는 문화어 운동의 전개시기인데 북한은 남한이 사용하고 있는 서울 표준어에는 영어나 일본어가 섞여 있고 부르주아적적 요소와 복고주의적 요소가 있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면 인민들의 의식 속에 반동적사상과 낡은 사상이 머리를 쳐들게 될 것이라고 하면서 사회주의적 생활양식에 맞고 김일성이 몸소 쓰는 말을 써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조선말 규범집』을 간행, 공포했다. 『1조선말 규범집』은 『조선어 철자법』을 10여년 만에 개정한 것으로 맞춤법 띄어쓰기 문장부호법 표준발음법 등 4부로 되어 있는데 각기 총칙과 세칙의 여러 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이 규범집의 총칙에서는 가로쓰는 원칙을 규정하였으며 세칙으로는 종전 종전(從前) : 이전. 지금보다 이전.
의 사이표′를 없앴다. 북한은 남한의 언어정책을 신랄하게 비판하면서 남한의 언어를 미제국주의의 조선어 말살정책으로부터 지켜 나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유영옥,133)
1988년부터 현재까지는 새규범집에 기초한 시기이다. 이 때엔 ‘조선말규범집’을 새로 발
행하였고, \'조선말 발음법은 혁명의 수도 평양을 중심지로 하고 평양말을 토대로 하여 이룩된 문화어의 발음에 기준한다\'라고 하여 평양말을 기본으로 하고 있음을 명문화했다. 북한 국어사정위원회가 1987년 5월 15일 공포하고 1988년 사회과학출판사에서 책으로 발간한 \'조선말 규범집\'의 내용이다. 남한의 어문 규범은 \'한글 맞춤법\'이 총칙, 자모 자모(字母) : 음절의 근본이 되는 글자
, 소리에 관한 것, 형태에 관한 것, 띄어쓰기, 그 밖의 것, 문장 부호로 되어 있고, \'표준어 규정\'이 표준어 사정 원칙과 표준 발음법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북한의 \'조선말 규범집\'은 맞춤법, 띄어쓰기, 문장 부호법, 문화어 발음법의 네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문장 부호법에서 남한이 맞춤법을 부록으로 처리하고 있는 것과 북한이 독립적인 내용으로 처리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고 하겠다. 이 규범집은 1966년의‘조선말규범집’이 나온 이후 근 20년만의 일로서 이 역시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맞춤법’ ‘띄어쓰기’ ‘문장부호법’ ‘문화어 발음법’ 등으로 되어있다. 특히 새 규범집은 띄어쓰기를 강화하였는데 남한의 띄어쓰기 원칙인 단어별로 띄어쓰는 것에 조금 가까워졌다. 남북한에서 사용되는 부호를 비교해 보면 「표1」과 같다.(유영옥, 336)
『표1』 남북한에서 사용되는 부호의 비교
맞춤법남한
규범집북한
맞춤법남한
규범집북한
온 점
.

.
소 괄 호
반달묶음표
고 리 점
x
중 괄 호
{ }
x
물 음 표
?
물 음 표
?
대괄 호
「 ]
꺽쇠묶음표
「 ]
느 낌 표
!
느 낌 표
!
줄 표

풀 이 표

반 점
,
반 점

붙 임 표
-
이 음 표
-
모 점
x
물 결 표
~
물 결 표
~
가 운 데 점

x
드 러 냄 표
;
밑 점
...
쌍 점
:
두 점
:
숨 김 표
xx,
숨 김 표
o o
빗 금
/
x
o o
큰 따 옴 표
“”
인 용 표
《》
빠 짐 표
...
x
졉 낫 표
「」
x
줄 임 표
......
줄 임 표
...
작은따옴표
‘’
거듭인용표
<>
x
반 두 점
;
낫표
「」
x
x
같 은 표

<유영옥,『북한주민의 생활과 상식』, 336>
남북한 언어 정책의 차이점


언중(言衆)들의 언어 관습에 입각한 언어 정책
언어 정책이 한자 혼용과 한글 전용에 국한되어 있으며, 미미하게 국어 순화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가 최근에 와서야 맞춤법과 표준어, 외래어 표기법에 대한 표준을 제시한 것으로 보아 언어 정책의 대부분이 언어 변화를 뒤따라 가면서 정리하는 입장
국책에 의한 인위적, 획일적 정책
당과 수령의 주체적 언어 사상을 구현하는 목적하에 작위적인 변화 유도
한자어와 외래어의 고유어화를 강력하게 추진
≪북한의 언어 정책≫
1949년 한자 폐지 ― 한글 전용 정책을 실시
1954년 \'조선어 철자법\' 마련
1960년 \'조선말 사전\', \'조선어 문법\' 편찬
1964년 김일성 교시 ― 가로 풀어쓰기 비판, 한자 교육 필요성 강조, 외래어 정리
1966년 김일성 교시 ― 평양말을 중심으로 한 문화어 제시, \'조선어 규범집\' 공포 지시
1972년 교육용 한자 3,000자 지정
1973년 \'조선 문화어 사전\' 간행
1979년 \'조선 문화어 문법\' 제정
1982년 \'현대 조선말 사전\" 간행
1983년 \'조선말 예절법\' 간행 ― 주로 당과 김일성에 대한 예우 표현
1985년 \'외국말 적기법\' 수정 발표
1988년 수정 보완한 \'조선말 규범집\' 시행 공포
2. 언어 정책 특성 분석
1) 북한의 문화어
북한에서는 우리의 표준말에 해당하는 권장언어를 “문화어”라고 부른다. 북한의 문화어 기본은 평양말로 김일성 주석이 1966년 5월 평양말을 기준으로 한 문화어를 사용할 것을 교시한 데서 유래했다. 이 때문에 북한에서는 문화어를 “혁명적으로 세련되고 주체성 있게 발전한 우리 민족어의 전형”이라고 주장한다.
문화어는 기본적으로 언어의 정치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래서 김일성과 김정일에 대해 말할 때는 위대한 수령, 위대한 령도자, 위대한 어버이 등 과장된 극존칭 표현을 사용한다. 북한 방송 아나운서들의 말투에서 보듯이 높내림조의 억양을 사용하여 전투적이고 선동적인 뉘앙스를 풍긴다. 각종 구호에서도 ‘생산도 학습도 생활도 항일유격대식으로’ ‘선군의 기치높이 정치사상전선을 철벽으로 다져나가자’는 등의 표현을 써 주민들을 독려한다.
문화어의 특징은 된소리가 많다는 점이다. 원수를 원쑤, 둑을 뚝, 복수를 복쑤, 그믐달을 그믐딸, 손등을 손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6.06.10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42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