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소수민족 정책과 소수민족 분리운동에 관한 연구(티베트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 소수민족 정책과 소수민족 분리운동에 관한 연구(티베트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 목적 ............................................ 1
2. 연구 내용 ....................................... 2

Ⅱ. 중국의 소수민족과 소수민족 정책
1. 중국의 소수민족 현황 ........................... 3
1) 소수민족의 규모와 분포
2) 소수민족의 분포 특징
2.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 ................................. 6
1) 소수민족 정책의 중요성
2) 소수민족 정책의 내용
3) 소수민족 정책에 대한 평가
3. 소수민족들의 분리운동 .................................. 11
1) 주요 소수민족의 민족주의
2) 소수민족들이 중국으로부터 독립하려는 이유
3) 중국이 소수민족 독립을 저지하는 이유

Ⅲ. 티베트의 분리운동과 중국의 대응
1. 티베트 분리 운동의 역사와 현황 ...................... 17
1) 티베트가 중국에 편입하게 된 역사
2) 달라이 라마를 중심으로 한 티베트 분리 운동
3) 티베트 분리 운동의 한계
2. 중국과 티베트 양측의 입장 .............................. 21
1) 티베트에 대한 중국의 입장
2) 중국에 대한 티베트의 입장
3. 티베트 분리운동에 대한 중국의 대응 .............. 23
1) 유화적 대응
2) 강압적 대응

Ⅳ. 결론 .................................................... 27

본문내용

, 결코 적극적인 지지를 보낼 수 없다는 것이다. 박장재,「서장독립 운동의 원, 근인 분석과 전망」, <중국 연구>, 제3권1호, 대륙연구소, 1995, p.97.
최근 달라이 라마가 완전한 분리 독립의 주장을 버리고 중국의 주권 귀속 하에 최고의 자치를 요구하는 방안을 제시 한 것도 이러한 현실적인 판단에 근거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티베트 민족에 있어서는 그들의 독립을 포기한다면 영원히 중국에서 자치구로 소수민족으로서 살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중국측 에서는 그만큼 사상적 통제 측면에서 곤란함이 있게 됨으로 달라이 라마의 주장을 쉽게 받아들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또 하나의 소수민족 운동에 있어서 변화된 의미는 중국이 위구르지역에 대한 확고한 진압 방침을 결정 했다는 것이다. 물론 과거부터 현재까지 격렬하게 독립운동을 펼쳐온 신강지역에 대해서 중국정부 역시 강경한 방침을 펼치고 있다. 지금까지는 위구르 지역의 독립운동이 전개되면서도 그들은 단지 독립운동을 한다는 이유로 탄압 했지만 현재 국제사회에서 테러가 공격의 대상이 되면서 공식적으로 이슬람 테러집단으로 규정하게 되고 어떤 공격을 가해도 일단 비난을 면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것을 소수민족의 입장에서 살펴보면 그들이 독립운동을 하는데 이제는 독립이 아니라 테러로 규정되게 되었다는데 그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이제, 중국의 소수민족 문제는 새로운 도전을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도전은 시장경제의 도입과 중국의 국제화라고 하는 경제의 개방화가 몰고 온 중국사회의 근본적 변화를 기반으로 하는 소수민족 사회의 변화이다. 이러한 근본 변화를 정책화시키기 위하여 중국정부는 한족지역과 소수민족 지역의 발전차이를 줄이고, 빈곤문제를 해결하며, 민족자치 행정부의 재정 상태를 점검하고, 민족지구가 위치한 변경지구의 발전을 위해 서부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소수민족이 이런 변화의 와중에서 사회가 근본적인 해체를 경험하면서 중국사회에 좀 더 통합될지 아니면, 중국정부의 정책에 좀 더 다원적인 성격을 가질 것인지는 좀 더 지켜보아야 한다.
근원적으로 따지자면 소수민족의 문제는 소수민족자체가 선택해야 하는 문제지만 현실상의 논리에서는 이것이 불가능 하다. 소수민족들은 현재로서는 그들 스스로 독립을 이룰 방법이 없다고 생각한다. 그들이 스스로 독립을 이루기 위해서는 경제력이 바탕이 되고 교육수준이 높아야 하지만 그들의 삶은 그렇지가 못하다. 그리고 민족 자체에 내성이 생긴 것도 문제라고 지적된다. 이미 반세기 이상을 중국의 일부로 살아왔기 때문에 그것에 대해서 반감이 그다지 크지 않은 경우도 많다. 이것은 중국의 대소수민족 정책에 기인해서 한족과 동화되고 강제 이주되고 문화가 파괴되면서 처음에는 저항을 하다가 어느 정도 인정을 하는 단계로 접어들었다. 중국의 입장에서도 순순히 소수민족의 독립을 관망하지는 않을 입장이다. 중국의 입장에서 어마어마한 자원덩어리의 땅을 그대로 포기할 리는 없기 때문이다. 이런 다양한 곳에서 소수민족 독립의 한계점이 드러나고 이 때문에 독립운동을 지속할 것인가 중국의 일부로 살 것인가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각 민족들은 자신의 이점을 잘 생각해 보아야 한다. 앞으로 독립의 여지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운동을 전재하는 것은 소모적일 수도 있고, 한편으로 독립적인 삶과 민족적 대의명분을 위해서는 끝까지 지속해야 할 수도 있다. 중국측 입장을 배재하고서라도 소수민족 내부의 갈등이나 분열을 초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들 스스로가 계속 저항할 것인지 이제 현실을 인정 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할 단계가 되었다. 물론 중국과의 관계도 지속적으로 개선시켜 나가면서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결론을 내려야 하는 것이 소수민족이 처한 현실이고 당면 과제라고 본다.
티베트의 문제에서도 볼 수 있듯이 중국의 소수민족 문제는 결코 중국정부의 일방적인 정책에 의해서만은 해결 될 수 없다. 또한 현실적인 면을 고려하지 않은 소수민족의 과격한 독립운동 역시 문제 해결에 도움 되지 않는다. 중국의 중심민족인 한족과 그 속에서 함께 살아가고 있는 55개 소수민족들은 서로가 동반자임을 인식하고 대화를 통한 문제해결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56개의 민족들이 각기 그들의 생활방식으로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을 때, 중국 역시 진정한 세계의 중심으로 발전 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 참 고 문 헌 >
Ⅰ. 단행본
1. 김병호. 『중국의 민족문제와 조선족』 학고방. 1997.
2. 왕순홍. 『중국의 어제와 오늘』 평민사. 1998.
3. 김종현. 『새롭게 읽는 현대 중국』 창경사. 2006.
4. 김한규. 『티베트와 중국-그 역사적 관계에 대한 연구사적 이해』 소나무. 2000
Ⅱ. 논문
1. 서상민. 「중국의 소수민족 현황과 정책」 <민족연구> 제6호. 한국민족연구원. 2001
2. 이동률. 「중국의 티베트 정책: 현황과 전망」 2005.
3. 김재기. 「중국-티베트 민족갈등의 정치적 동학」 전남대 박사학위 논문. 2001.
「중국의 민족문제와 티베트 이슈」 <한국동북아논총> 제30집.
한국동북아학회. 2004.
4. 이진영.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 <민족연구> 제9호. 한국민족연구원. 2005.
5. 박장재. 「서장독립운동의 원, 근인 분석과 전망」 <중국연구> 제3권1호. 1995.
Ⅲ. 인터넷 싸이트
1. “소수민족 문제” (http://ns.ptuniv.ac.kr/~chee/jaryo_26.htm)
2. "소련처럼 망할 수도...극심한 해체 공포증” (http://news.naver.com/오마이뉴스)
3. “신강위구르 조약” (http://www.uygurpeople.com/tribe/summary-uygur.htm)
4. "중국 ‘서부대개발’과 소수민족의 운명“ (http://news.naver.com/news/read/한 겨레 2003.01.29)
Ⅳ. 기타
1. 「中國人口地理」 上冊, 虎煥簫, 張善余, 華東師範大學出版社,上海, 1984.
2. 서장상보(西藏商報), 2005-04-08.
3. DIIR, 『Tibet-Proving Truth From Facts』, INDIA, 1996, p.48.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6.06.12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47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