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 :Biologycal Oxygen Demand)측정 실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 :Biologycal Oxygen Demand)측정 실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Subject

Ⅱ. Object

Ⅲ. Theroy & Concept

Ⅳ. Apparatus

Ⅴ. Regent

Ⅵ. Procedure

본문내용

희석수의 pH는 부생세균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6.5-8.5 범위 내로 유지하면 된다. 인산염 시스템의 완충제를 사용하여 용액의 pH를 약 7.0으로 유지하는 것이 관례이다. pH조건을 항상 알맞게 유지 시키기 위해서는 완충제가 반드시 필요하다.
삼투조건은 완충용량을 부여하기 위해 넣어주는 인산칼륨과 인산나트륨에 의하여 적당하게 유지된다. 또한 희석수에 넣어주는 칼슘과 마그네슘염으로 전체 염 함량이 높아진다.
희석수는 필요한 미생물을 제외하고 BOD측정을 위한 모든 필수적인 물질을 포함하게 디었다. 여러 가지 다양한 물질들이 “식종”을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실험에 의하면 가정하수, 특히 합류식 하수구의 폐수에는 다른 어떤 것보다 잘 균형을 이류고 있는 생물 개체군이 들어 있으며 대체로 희석수의 1ℓ당 2㎖의 하수면 충분하다.
d. 바탕에 요구되는 사항
바탕값은 모든 BOD계산에 기준값으로 사용되므로 그 통계학적 신뢰도는 중요하다. 대체로 세 개의 바탕값이면 그와 같은 신뢰도를 부여할 수 있으나 무엇보다도 분석하는 자신이 만족할 수 있는 값을 구하여야 한다.
e. 폐수의 희석
보통 세가지 의 잣석액을 만드는 것이 적당하다. 시료의 강도를 어느 정도 정확히 알고 있을 때는 주가지 희석액을 이용해도 상관 없다. BOD는 0.5㎎/ℓ이하의 산소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2㎎/ℓ미만의 산소 소모량을 나타내는 희석액의 BOD값도 통계적으로 맏을 만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최소한 2㎎/ℓ의 산소 소모량을 나타내고, 배양기간의 끝에 남아있는 용존산소가 최소한 0.5㎎/ℓ인 시료에 대한여 BOD를 계산하는 것을 관례로 하고 있다. 대체로 이와 같은 제한사하은 산소의 소모된 농도범위가 2-7㎎/ℓ이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지식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희석비에 따른 측정 가능한 BOD범위를 나타내는 표를 작성할 수 있다.
혼합물을 사용할 때
300ml병에 피펫으로 직접 넣을 때
300ml병에 피펫으로 직접 넣을 때
%혼합비
BOD의 범위
ml
BOD의 범위
0.01
20,000-70,000
0.02
30,000-105,000
0.02
10,000-35,000
0.05
12,000-42,000
0.05
4,000-14,000
0.1
6,000-21,000
0.1
2,000-7,000
0.2
3,000-21,000
0.2
1,000-3,500
0.5
1,200-4,200
0.5
400-1,400
1
600-2,100
1
200-700
2
300-1,050
2
100-350
5
120-420
5
40-140
10
60-210
10
20-70
20
30-105
20
10-35
50
12--42
50
4-14
100
6-21
100
0-7
300
0-7
표 1-1 시료의 희석율과 측정 가능한 BOD범위
f.배양법
BOD분석어ㅔ 사용하는 병에는 유리마개가 갖추어져 있어야 하며 마개를 끼울 때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접촉부분이 연마되어 있어야한다. 또 배양기간 중병속으로 공기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병은 수밀

키워드

bod,   측정,   실험,   산소요구량,   호기성,   정량법,   희석법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6.13
  • 저작시기200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48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