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들어가며
1. what is LOHAS? (정의)
2. Where are you From?
3. How about LOHAS?
1) 시장의 규모 및 현황
2) 로하스족의 소비특징과 라이프 스타일
4. Be the LOHAS! (기업의 로하스적 사고 도입노력)
1) 그린마케팅
2) csr(corperate social responsibility)평가-기업의 사회기여도
3) 환경경영시스템(ems)구축
5.Why LOHAS.
1) 로하스 현상의 의의
2) 로하스(LOHAS)족의 마케팅적 의미
3) 기업의 대응-친환경 마케팅으로 이미지 쇄신
4) 정부의 친환경정책과 로하스-일본의 녹색구매법과 우리의 대응
◇마치며
1. what is LOHAS? (정의)
2. Where are you From?
3. How about LOHAS?
1) 시장의 규모 및 현황
2) 로하스족의 소비특징과 라이프 스타일
4. Be the LOHAS! (기업의 로하스적 사고 도입노력)
1) 그린마케팅
2) csr(corperate social responsibility)평가-기업의 사회기여도
3) 환경경영시스템(ems)구축
5.Why LOHAS.
1) 로하스 현상의 의의
2) 로하스(LOHAS)족의 마케팅적 의미
3) 기업의 대응-친환경 마케팅으로 이미지 쇄신
4) 정부의 친환경정책과 로하스-일본의 녹색구매법과 우리의 대응
◇마치며
본문내용
당자 규모면에서 향후 시장 잠재력이 가장 크다고 볼 수 있는 단서이고 이는 평균 이상의 연령이라는 특징과 맞물려 이제 막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에서는 향후 가능성을 더 크게 볼 수 있는 단서라는 점이다. 그리고 평균 이상의 학력이라는 특징 또한 로하스족의 정치적/사회적 영향력의 정도가 만만치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실제 로하스족은 자신의 이념에 부합하는 상품을 적극 구매하고 이념에 상반되는 제품은 구매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구매하지 못하도록 보이콧 캠페인을 벌이는 사회 참여적 적극성을 겸비하고 있어 경우에 따라서는 관련 NGO 결성을 주도하기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로하스족의 인구통계적 특성은 종국적으로 기업들의 경영이나 마케팅 차원에서의 변화를 촉진시키게 되는데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포드 자동차의 SUV인 \'포드 이스케이프\'이다. 즉, 포드사는 처음부터 로하스족을 염두에 두고 환경오염을 줄이고 연료를 절약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인 \'포드 이스케이프\'를 개발 출시한 것이다. 또한 세계 2위의 석유회사인BP 아모코가 태양에너지 연구에 최대 자금을 지원하면서 기업 슬로건을 \'석유를 넘어(Beyond Petroleum)\'로 리포지셔닝하는 작업이나, 지속가능한 경영 원칙을 통해 세계 3위의 요구르트 생산업체로 성공한 스토니필드 팜(Stonyfield Farm)사의 사례는 로하스족의 시장 영향력을 반증하는 사례들이라 할 수 있겠다.
결국 시차는 나겠지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로하스 족은 향후 시장 주도적인 소비 계층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 그런 개연성은 우리나라 대표적 친환경 NGO인 \'환경운동연합\'이나 \'녹색소비자연대\'는 물론, 최근의 만두 파동이나 새집증후군 문제와 관련하여 큰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한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과 같은 소비자 시민단체들의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다는 사실에서도 엿볼 수 있다. 특히 금년 초 새집증후군과 관련하여 건축물에 대한 친환경 제품의 수요가 증가한 현상이나, 유기화학물 계통의 제품 회피 현상은 이미 우리나라에서도 상당한 수의 로하스족이 형성되어 있음을 반영하는 사례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사실 환경운동연합 주도의 에코생협(www.ecocoop.or.kr)이 친환경 브랜드로 출시하는 자가발전 라디오와 손전등, 태양광 손목시계 등, 정부에서 시행 중인 친환경 농산물 인증 마크제, 일부 유기농 관련 생활 협동조합의 활성화로도 이미 국내에 로하스 족 대상 시장이 일정부분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기는 하다.
3)기업의 대응-친환경 마케팅으로 이미지 쇄신
21세기 소비시장의 특징은 균형이 기업에서 소비자로 이동한다는 것이다. 막강한 정보력을 지닌 프로 소비자의 등장은 전통적인 기업과 소비자의 관계를 바꾸어 놓을 것이다(오정훈 2000). 힘의 우위가 공급자에서 수요자로 역전되면서, 정보화 시대의 도래로 소비자들이 제품의 품질이나 가격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통로가 다양해 진 것이다. 이것은 소비자의 힘은 더욱 막강해 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소비자의 변화에 둔감한 기업은 점차 생존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5월21일 \'미래상품의 특성과 기업의 대응방안 연구\' 보고서에서 \"미국에서는 이미 80년대부터 로하스가 소비 트렌드를 형성하기 시작, 30% 이상이 로하스적 라이프스타일을 보이고 있다\"며 \"성공적인 상품 개발을 원한다면 웰빙은 물론 환경친화적인지 여부를 먼저 살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보고서는 그 예로, 미국 자동차 시장의 경우 전기와 휘발유를 함께 사용하는 친환경적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비율이 2010년 24%, 2030년에는 50%에 육박할 것으로 예측되는 등 선진기업들의 로하스 제품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며 교토의정서 발효로 이런 흐름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대한상의 경영조사팀 손세원 팀장은 \"교토의정서 발효와 주5일 근무제 등 미래의 소비환경이 급격히 변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환경을 규제가 아닌 새로운 마케팅 기회로 인식하는 발상의 전환과 함께 소비자들의 잠재수요를 정확히 파악해 낼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것이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로하스가 새로운 소비 트렌드로 떠오르면서 이에따른 기업의 대응도 발 맞추어 빨라지고있다.특히 지속가능성을 가치로 삼는 로하스 소비자는 제품력 뿐 아니라 기업의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도 큰 관심을 기울인다. 그리하여 기업들은 친환경 마케팅을 통해 이미지를 상승시키고자 해야 할 것이다.
최근 몇몇 기업들이 공익과 기업의 성공이라는 두 목적을 성취하려는 공익 연계 마케팅(cause-related marketing)에 대하여 증진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유한킴벌리가 1984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 캠페인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수단 - 목표 연쇄모형(means-end chain model ; Gutman 1982)에 따르면, 소비자의 제품관련 지식을 고려할 때 소비자의 욕구는 구체적인 제품 속성에서 추상적인 소비자 가치의 연속선상에서 발견, 설정될 수 있다. 즉, 유한킴벌리의 공익지향성은 자연스럽게 숲 보호라는 소비자 가치를 중요하게 인식하게 하였으며, 이로 인해 차별적이며 지속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그 결과 소비자의 머리 속에서 확고히 차별화된 유한 킴벌리의 포지션이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이성호 등 2003).
우리나라에 성공적으로 입점한 커피 전문 체인점 스타벅스의 경우, 기업 이익의 일부를 사회에 환원하는\'social responsibility\'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 (http// isatarbucks.co.kr) 지역 사회와 환경을 돕는 것을 기업 윤리의 중요한 덕목으로 정하고, 재단 운영과 동시에 생태계 보존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소비자들로부터 좋은 이미지 마케팅 활동을 벌이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이미지 마케팅 가운데에서도 특히 환경 산업에 주력하는 기업의 이미지는 로하스 족을 공략하기에 매우 적절한 도구 (tool)로 평가된다. 지속적인 소비를 추구하는 로하스 소비자들에게 이미지 마케팅은 유효적절하기
이러한 로하스족의 인구통계적 특성은 종국적으로 기업들의 경영이나 마케팅 차원에서의 변화를 촉진시키게 되는데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포드 자동차의 SUV인 \'포드 이스케이프\'이다. 즉, 포드사는 처음부터 로하스족을 염두에 두고 환경오염을 줄이고 연료를 절약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인 \'포드 이스케이프\'를 개발 출시한 것이다. 또한 세계 2위의 석유회사인BP 아모코가 태양에너지 연구에 최대 자금을 지원하면서 기업 슬로건을 \'석유를 넘어(Beyond Petroleum)\'로 리포지셔닝하는 작업이나, 지속가능한 경영 원칙을 통해 세계 3위의 요구르트 생산업체로 성공한 스토니필드 팜(Stonyfield Farm)사의 사례는 로하스족의 시장 영향력을 반증하는 사례들이라 할 수 있겠다.
결국 시차는 나겠지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로하스 족은 향후 시장 주도적인 소비 계층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 그런 개연성은 우리나라 대표적 친환경 NGO인 \'환경운동연합\'이나 \'녹색소비자연대\'는 물론, 최근의 만두 파동이나 새집증후군 문제와 관련하여 큰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한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과 같은 소비자 시민단체들의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다는 사실에서도 엿볼 수 있다. 특히 금년 초 새집증후군과 관련하여 건축물에 대한 친환경 제품의 수요가 증가한 현상이나, 유기화학물 계통의 제품 회피 현상은 이미 우리나라에서도 상당한 수의 로하스족이 형성되어 있음을 반영하는 사례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사실 환경운동연합 주도의 에코생협(www.ecocoop.or.kr)이 친환경 브랜드로 출시하는 자가발전 라디오와 손전등, 태양광 손목시계 등, 정부에서 시행 중인 친환경 농산물 인증 마크제, 일부 유기농 관련 생활 협동조합의 활성화로도 이미 국내에 로하스 족 대상 시장이 일정부분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기는 하다.
3)기업의 대응-친환경 마케팅으로 이미지 쇄신
21세기 소비시장의 특징은 균형이 기업에서 소비자로 이동한다는 것이다. 막강한 정보력을 지닌 프로 소비자의 등장은 전통적인 기업과 소비자의 관계를 바꾸어 놓을 것이다(오정훈 2000). 힘의 우위가 공급자에서 수요자로 역전되면서, 정보화 시대의 도래로 소비자들이 제품의 품질이나 가격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통로가 다양해 진 것이다. 이것은 소비자의 힘은 더욱 막강해 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소비자의 변화에 둔감한 기업은 점차 생존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5월21일 \'미래상품의 특성과 기업의 대응방안 연구\' 보고서에서 \"미국에서는 이미 80년대부터 로하스가 소비 트렌드를 형성하기 시작, 30% 이상이 로하스적 라이프스타일을 보이고 있다\"며 \"성공적인 상품 개발을 원한다면 웰빙은 물론 환경친화적인지 여부를 먼저 살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보고서는 그 예로, 미국 자동차 시장의 경우 전기와 휘발유를 함께 사용하는 친환경적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비율이 2010년 24%, 2030년에는 50%에 육박할 것으로 예측되는 등 선진기업들의 로하스 제품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며 교토의정서 발효로 이런 흐름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대한상의 경영조사팀 손세원 팀장은 \"교토의정서 발효와 주5일 근무제 등 미래의 소비환경이 급격히 변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환경을 규제가 아닌 새로운 마케팅 기회로 인식하는 발상의 전환과 함께 소비자들의 잠재수요를 정확히 파악해 낼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것이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로하스가 새로운 소비 트렌드로 떠오르면서 이에따른 기업의 대응도 발 맞추어 빨라지고있다.특히 지속가능성을 가치로 삼는 로하스 소비자는 제품력 뿐 아니라 기업의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도 큰 관심을 기울인다. 그리하여 기업들은 친환경 마케팅을 통해 이미지를 상승시키고자 해야 할 것이다.
최근 몇몇 기업들이 공익과 기업의 성공이라는 두 목적을 성취하려는 공익 연계 마케팅(cause-related marketing)에 대하여 증진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유한킴벌리가 1984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 캠페인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수단 - 목표 연쇄모형(means-end chain model ; Gutman 1982)에 따르면, 소비자의 제품관련 지식을 고려할 때 소비자의 욕구는 구체적인 제품 속성에서 추상적인 소비자 가치의 연속선상에서 발견, 설정될 수 있다. 즉, 유한킴벌리의 공익지향성은 자연스럽게 숲 보호라는 소비자 가치를 중요하게 인식하게 하였으며, 이로 인해 차별적이며 지속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그 결과 소비자의 머리 속에서 확고히 차별화된 유한 킴벌리의 포지션이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이성호 등 2003).
우리나라에 성공적으로 입점한 커피 전문 체인점 스타벅스의 경우, 기업 이익의 일부를 사회에 환원하는\'social responsibility\'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 (http// isatarbucks.co.kr) 지역 사회와 환경을 돕는 것을 기업 윤리의 중요한 덕목으로 정하고, 재단 운영과 동시에 생태계 보존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소비자들로부터 좋은 이미지 마케팅 활동을 벌이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이미지 마케팅 가운데에서도 특히 환경 산업에 주력하는 기업의 이미지는 로하스 족을 공략하기에 매우 적절한 도구 (tool)로 평가된다. 지속적인 소비를 추구하는 로하스 소비자들에게 이미지 마케팅은 유효적절하기
키워드
추천자료
미원의 인도네시아 진출사례를 통해 배우는 기업의 해외진출전략!
[소비자행동]엘라스틴 샴푸 - 소비자 결정에 따른 마케팅 전략
[마케팅] 화장품 아모레퍼시픽(태평양) 롤리카 렘피카 - 해외진출성공사례
[마케팅] GS 분석
[전자상거래][EC]전자상거래(EC) 특징, 동향과 역기능 및 전자상거래(EC) 성공조건(전자상거...
웰빙시대 식품 PB 브랜드 마케팅 전략
한국과 칠레의 FTA의 5년간 성과와 거시적 대응전략
닛산(Nissan)의 국내시장 진출 마케팅 전략
푸조(Peugeot) 기업조사!
도시개발 문화와 장소마케팅 전략간의 상관관계
마케팅전략(롯데리아사례)
KT&G의 마케팅 전략 분석
대림산업‘e-편한세상’ 기업 조사
소개글